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포 영화 장면 노출 후 수평적 안구 운동이 심박수 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이해원,염명걸,김석현,이윤정,김대호,Lee, Haewon,Yum, Myung-Kul,Kim, Seok Hyeon,Lee, Yun Jeong,Kim, Daeh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8 생물정신의학 Vol.15 No.1

        Objectives : There has been a continued debate regarding the role of eye movements in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EMDR).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le autonomic effect of horizontal eye movements after being exposed to fearful stimuli. Methods : Fifty two healthy adult women were randomly allocated to eye movement or eye fixed groups after watching a five minute fear-inducing film clip. ECG was recorded during the resting state, after watching the clip, and the treatment. A spectral power analysis of the heart rate variability was performed. As the variables violated the rule of normal distribution and the number in each group is small the non-parametric test was used. Results : Overall, we did not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both time and frequency domains. Some minor differences found were not consistent with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Conclusions : Effect of eye movement on autonomic nervous system during fear desensitization was not supported in this experiment. Further study with other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ole of eye movements in treatment of traumatic memory.

      • KCI등재

        위임입법의 측면에서 살펴본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문제점 -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고시 및 정보통신망법을 중심으로 -

        이해원 ( Haewon Lee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集 Vol.23 No.1

        개인정보 보호 분야의 일반법인 「개인정보 보호법」이 2011년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각 분야별로 개인정보 보호를 규율하는 개별법이 산재하여 있고, 이에 따라 추진체계도 분산되어 있는 상황이다.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정비가 요원한 현실에서 차선책은 현행 일반법-개별법 체계의 틀 안에서 법적 문제점을 발굴하고 이를 개선해나가는 것이다. 정보화 사회를 넘어 IoT(Internet of Thing)으로 대변되는 초연결사회로 진화함에 따라 네트워크에서의 개인정보 보호를 규율하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이 개인정보보호법을 대신하여 사실상 일반법으로 기능하고 있다. 정보통신망법은 수범자가 준수해야 할 기술적·관리적 조치에 관하여 법령이 아닌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고시(이하 ‘보호조치 고시’)에 세부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데, 수범자가 위 고시를 위반할 경우 침익적 행정처분뿐 아니라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위임입법 체계의 적법성을 중심으로 정보통신망법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보호조치 고시의 근거법령이 포괄재위임금지원칙에 위배되고, 보호조치 고시 제4조 제9항, 제4조 제4항이 명확성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점을 지적한 후, 결론으로 정보통신망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입법절차적 측면에서 보호조치 고시와 같은 ‘법령보충적 행정규칙’의 사전적·사후적 통제 절차를 신설할 것을 제안한다. Sinc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IPA’) was enacted in 2011, individual laws that regulate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re scattered in each social sector, and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are also dispersed accordingly. In the reality that the reforming of PIPA and individual laws is troublesome, the next best thing is to find legal problem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o improve them. As the current information society has evolved into a hyper-connected society,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CNA’), which regulate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n the network, operates as de-facto general law instead of PIPA. The ICNA delegates 「Public Announcement of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Protection Measures of Personal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IP Announcement’) to stipulate mandatory regulations regarding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measur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oth administrative disposition and criminal punishment could be ordered with the violation of PIP Announcement. This article raises the issues on ICNA regarding the legality of such delegation system, contends that such delegation violates not only the non-blanket-redelegation doctrine but also the rule of clarity(especially PIP Announcement article 4.9. and 4.4.).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e way to remove unconstitutionality of ICNA and PIP Announcement. In addition, this article proposes both ex ante and ex post procedure which could be applicable to enact law-supplementary administrative rule such as PIP Announcement.

      • KCI등재

        테크노 크레아투라(Techno Creatura) 시대의 저작권법

        이해원(LEE, Haew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8-1

        빅데이터(big data) 기술과 컴퓨팅 연산능력(computing power) 기술로 무장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고 여겨졌던 ‘창작’(creation)에까지 도전하고 있다. 오늘날 인공지능은 사람의 창작적 개입이 없거나 그 개입이 최소화된 상황에서도 사람의 지적 결과물과 다를 바 없는 수준의 창작물 을 대량으로 생산해내는 테크노 크레아투라(Techno Creatura)의 수준에 이른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공지능 창작물이 저작권이 인정될 수 있는지에 관한 학계의 논의와 해외 사례를 소개한 뒤, 저작권의 철학적 관점, 법리적 관점, 그리고 법해석적 관점에 비추어 볼 때 현행 법제에서는 인공지능 창작물에 저작권이 인정될 수 없고, 인공지능 창작물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한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에 속해야 함을 논증한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퍼블릭 도메인 이론이 논리적으로는 타당한 결론이나 인공지능 창작물을 사람이 자신의 창작물이라고 주장하는 ‘거짓 저작권 주장’을 해결하기 어려운 현실적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끝으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인공지능을 우리 법제가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 또 그에 따라 저작권과 같은 기존의 전통적인 법제는 어떻게 정비할 것인지와 같은 큰 틀에서의 논의를 시작할 것을 제안한다. Presently we are living in the era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hereafter ‘AI’). AI armed with the enormous big data and hyper-speed computing power now challenges the ‘creation’, which has been believed as the intrinsic value of human beings. The power of AI has already reached the degree of ‘Techno Creatura’, the machine that has a capability of generating works of human arts autonomously with almost no human intervent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s regarding authorship and copyright of AI-generated works of human arts. Firstly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heories and cases regarding those problems. After that this article contends that the AI-generated works should not be copyrighted and therefore resided the ‘public domain’ by analysing in the light of philosophy of copyright, the legal theory of copyright, and the interpretation theory. Furthermore, this article indicates the practical loophole of the public domain solution so-called ‘false copyright claim’ caused by the difficulty of distinguishing between AI-generated works and human-generated work. With this respect this article finally suggests that it is the right time to commence the debate regarding how to embrace AI into our legal system and how to redesign traditional copyright system.

      • KCI등재

        인공지능과 제조물책임

        이해원(Haewon Lee) 한국정보법학회 2021 정보법학 Vol.25 No.2

        자율성, 예측불가능성, 설명불가능성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인공지능의 등장으로기존에는 예견하지 못하였던 ‘인간의 개입이 없거나 최소화된 상황에서 인공지능이자율적으로 판단하고 동작한 결과 발생한 사고’(이하 ‘인공지능 사고’)가 문제되고 있다. 인공지능 사고는 특성상 인공지능의 동작을 사람의 행위로 귀속시키기 어렵고, 과실이 인정되기 곤란하며, 피해자의 증명도 현실적으로 대부분 불가능하므로 과실책임주의에 기초한 전통적인 불법행위책임법리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이유로 인공지능 사고를 규율하는 유력한 책임법리로 제조물책임이 거론되고 있다. 본고는 인공지능 사고에 제조물책임을 적용할 경우의 쟁점을 인공지능의 제조물성, 인공지능의 결함 판단, 피해자의 증명책임, 제조업자의 항변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이 유체물과 결합하지 않은 ‘순수한 소프트웨어’ 또는 ‘서비스’의 형태로도 유통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소프트웨어가 포함되도록 제조물 개념이 확장될 필요가 있다. 둘째, 결함에 관한 기존 제조물책임법리는 인공지능 사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의 특성상 결함의 증명이 어려울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여 이는 피해자의 증명책임과 관련된 문제이다. 셋째, 인공지능 사고에 관하여 제조물책임이 이론적 차원을 넘어 실천적 법리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증명 부담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제조업자의 불이익과의 적절한 균형을 달성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피해자에게 인공지능 로그기록 접근권을 보장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개발위험의 항변 등 현행법상 규정된 제조업자의 항변은 인공지능 사고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인정되는 것이 타당하다. 제조물책임은 제조물의 결함으로 손해를 입은 자가 배상받도록 보장함과 동시에제조업자가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를 유발하지 않도록 경제적 유인책을 제공하는 양자의 기능을 균형있게 수행하여야 한다. 인공지능의 경우에도 이러한 제조물책임의 역할은 관철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key issues with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hereinafter ‘AI’) is how to deal with the ‘accidents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autonomous judgment and operation of AI in a situation where there was no or minimal human intervention’(hereinafter ‘AI accidents’). Due to the features of AI such as autonomy, unpredictability, and inexplainability, there are substantial limitations that apply the traditional tort liability law based on negligence to AI accidents. For this reason, product liability is being discussed as a rational liability principle regulating AI accidents.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in the case of applying product liability to AI accidents by dividing them into ‘AI as a product’, ‘defectiveness of AI’, ‘burden of proof’, and ‘manufacturer’s def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at AI is being distributed in the form of software or service without being combined with physical objects, the concept of products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software. Second, the existing defect theory of product liability can be equally applied to AI accidents. Third, in order for product liability to function as a practical legal principle beyond the theoretical level in relation to AI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of proof on the victim and achieve an appropriate balance with the disadvantages of the manufacturer. Specifically,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guarantee victims a right to access AI log records. Fourth, it is reasonable that manufacturers’ defenses stipulated in the current law, such as development risk, are equally recognized in the case of AI accidents. Product liability should perform the function of providing the balance between economic incentives to ensure that the damage caused by the defect in the product is compensated and to prevent the manufacturer from causing damage due to the defect in the product. Even in the case of AI, this role of product liability should be attained.

      • KCI등재

        드론 촬영의 형법적 문제

        이해원(Lee, Haewon) 대검찰청 2017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4

        드론이 사회 전 분야에 걸쳐 급속히 확산되면서 드론 촬영으로 인한 사생활 및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촬영 대상의 동의를 받지 않고 이루어진 ‘드론 무단 촬영’의 형사처벌 가능성을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책임, 위치정보법 위반 책임, 사생활 침해 책임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현행 법체계상 드론 무단 촬영을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으로 처벌하기는 어려우며, 위치정보법상의 개인위치정보수집 위반죄 혹은 형법상의 주거수색죄가 성립할 가능성은 있으나 그 처벌의 타당성에 관하여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 드론을 규율하는 명확한 법률 조항이나 개별 법률이 없는 현행법제 하에서는 드론 무단 촬영을 형법적으로 규율하기에 한계가 있다. 드론 무단 촬영의 규제 여부, 형사처벌 여부 및 그 처벌의 수준에 관하여 사회적 합의를 거쳐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Drone’ is a common term representing ‘Unmanned Aerial Vehicle’. As the drone spreads rapidly throughout the society, the privacy invasion and personal information intrusion issues from the ‘unconsenting drone filming’ - the filming performed by drone without consent of the target - are rising.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the criminal punishment on the unconsenting drone filming by reviewing the criminal lia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hereafter ‘PIPA’),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Act(hereafter ‘LIPA’), and privacy intrusion. This article contends that (ⅰ) the PIPA is hardly applicable to hold the unconsenting drone filming criminally liable and (ⅱ) the penalty of ‘unauthorized collection of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on LIPA or ‘illegal search of human habitation or body’ on Criminal Code Act might be applicable to the unconsenting drone filming with considerable controversy over the validity of the punishment. The limitation of penal regulation on the unconsenting drone filming is unevitable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without specific article or law regarding drone. The public consensus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regulating and punishing on the unconsenting drone filming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drone law should be legislated based on that consensus.

      • KCI등재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기반 국내외 의료용 마약류 모니터링 시스템 비교 분석

        이해원(Haewon Lee),김하린(Harin Kim),김주희(Juhee Kim),김수빈(Subin Kim),김대진(Daejin Kim) 대한약학회 2024 약학회지 Vol.6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domestic system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HIT) system using cases to prevent misuse and abuse of controlled substances. Korea,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were selected as the countries to be investigated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nationwide use of HIT. Literatur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official website of the system operating organization and major literature databases and search engines such as Pubmed and Google Scholar using the name of each country's HIT system as a keyword. We focused on analyzing the purpose of system operation, target drugs,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system operation method, and compensation to system users. Korea’s Narcotic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IMS) is the only system that can track the serial numbers of controlled substances in connection with prescription and dispensing records, and is designed and operated with a focus on regulatory purposes to improve legal compliance. NIMS had a relatively long reporting cycle, so there were limitations in checking the latest controlled substances prescription and dispensing records. It was also the only system in which pharmacists did not have the authority and role to check and monitor prescription records.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misuse and abuse of controlled substances, the reporting cycle must be shortened by switching to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nonreimbursement medication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guarantee pharmacists the authority to request prescription records before dispensing and the roles that accompany this.

      • KCI우수등재

        비방ㆍ모욕 상표의 등록 거절과 표현의 자유의 충돌

        이해원 ( Haewon Lee )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5

        1883년 ‘공업소유권의 보호를 위한 파리 협약’이 체결된 이래 비방ㆍ모욕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공통된 규범이었다. 그러나 2017년 미국 연방대법원은 Matal v. Tam 판결(이하 ‘Matal’)에서 비방ㆍ모욕 표현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한 미국 연방상표법 제1052(a)조(이하 ‘비방금지조항’)를 무효화하였다.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여 위헌이라는 것이다. 반면 유럽사법법원은 Matal 판결이 선고된 이후에도 Constantin v. EUIPO 판결(이하 ‘Constantin’)을 통하여 비방ㆍ모욕 상표는 공공정책이나 도덕관념에 반하여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상표와 표현의 자유의 충돌 문제라는 동일한 쟁점에 관하여 미국과 유럽연합이 서로 상반된 결론을 내린 것이다. 본고에서는 Matal 판결과 Constantin 판결을 중심으로 비방ㆍ모욕 상표의 등록 거절과 표현의 자유 사이의 충돌 문제에 관한 미국과 유럽연합의 판결례를 살펴보고 그 타당성을 검토한 후, Matal 판결은 우리나라에 선례가 될 수 없고, 우리나라 상표법의 비방금지조항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볼 수 없음을 주장한다. Since the enactment of the Paris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 in 1883, it has been a global standard that disparaging trademark should not be registered. But in 2017, the US Supreme Court ruled that Matal v. Tam (hereafter ‘Matal’), the Lanham Act Article 1052(a) ‘disparaging clause’ is unconstitutional because of infringing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even after the Matal, the European Union General Court ruled that Constantin v. EUIPO (hereafter 'Constantin'), disparaging trademark is against the public policy or accepted morals so that it should not be registered. In this paper, firstly the U.S and European Union’s decisions regarding the conflict between trademark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are reviewed, focusing on Matal and Constantin. After that this article contents that Matal cannot be stare decisis in Korea, and the disparaging clause of Korean trademark law will not be regarded to infringe freedom of expression.

      • KCI등재

        당나라의 유학생 관리체제 연구

        이해원 ( Lee Haewon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20 中國學論叢 Vol.0 No.70

        The Tang dynasty was one of the most cosmopolitan in Chinese history. The princes as a hostage and students, including monks from foreign countries came to China. The three most important kinds of visitors were the envoys, clerics, students except merchants. They stayed as the palace guard and studied Chinese culture at school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ystem and organizations. Foreign students consisted of diplomatics, clerics, students, foreign envoy, guest. Tang government offered free tuition, assisted their living allowance, provided free for clothing expenses, medical expenses and funeral costs, assisted to return to their countries. The political rights were granted to the foreign students. After passing the national examination, the successful candidates went into government service, participated in national ceremonies, and registered census registration. Foreign students exercised their own rights of civil affairs and assumed the legislative duties. They were not allowed wearing Chinese clothes, and could marry with Chinese women, but placed strict restrictions, and not permitted to do business.

      • KCI등재

        개인정보 보호법의 적용 범위에 관한 연구

        이해원(Haewon Lee) 한국정보법학회 2022 정보법학 Vol.26 No.1

        1980년대 이후 개인정보 보호 관련 연구가 법학, 행정학, 정책학, 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개인정보 보호법의 적용 범위를 집중적으로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고는 개인정보 보호법의 적용 범위를 인적(人的) 측면과 지리적(地理的) 측면에서 각 검토하고 해석론 및 입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적 적용 범위: 내외국인 불문하고 개인정보 보호법상의 요건을 갖추면 정보주체 및 개인정보처리자에 해당한다. 정보주체가 미성년자인 경우 만 14세 이상이라 하더라도 민법의 제한능력자 규정이 적용되어 본인의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동의권 행사에 있어 법정대리인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보아야 한다.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제59조)의 개념은 판례와 달리 ‘현재의 개인정보처리자 또는 과거의 개인정보처리자’로 해석하여야 한다. 2) 지리적 적용 범위 : 역내 개인정보 처리의 경우 속지주의 원칙상 국내 개인정보처리자는 물론 외국 개인정보처리자에게도 개인정보 보호법이 적용된다. 다만 실제집행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개인정보 보호법상의 규제 수준이 다수의 국가나 국제협력체 등에서 합리적이고 보편타당하다고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역외 개인정보 처리의 경우, 국내 개인정보처리자의 역외 개인정보 처리에는 해당국의 법률이존재한다면 그 법률을 적용하는 것이 비합리적이라는 특별한 사정이 존재하지 않는한 해당국의 법률을 적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우리 개인정보 보호법을 적용하는것이 합리성의 원칙이나 이익형량의 원칙상 타당하다. 외국 개인정보처리자의 역외개인정보 처리에는 효과주의 이론에 따라 그 영향이 국내에 미치는 경우에 한하여 개인정보 보호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처럼 다소 복잡한 결과가 도출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개인정보 보호법의 적용 범위 문제가 전적으로 해석론에 맡겨져 있기 때문이다. 수범자의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보장하고 법집행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개인정보 보호법의 적용 범위 문제는 해석론이 아닌 입법론으로 해결될 필요가 있다. Since the 1980s, research rela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hereinafter ‘PIPA’)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law, public administration, policy studies, and engineering. However, It is rarely found studies focusing 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IPA.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IPA from the hum an and geographical perspective and to suggest reasonable interpretation and legislation methodology of it. The review results are as follows. 1) Personal scope of application: Regardless of domestic or foreign nationals, if they meet the definitions under the PIPA, they are the subject of the ‘data subject’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If the data subject is a minor, even if he or she is 14 years of age or older, the provisions of the Civil Act for persons with lim ited capacity apply, so the consent of a legal representative is necessary to exercise the right to consent. The concept of ‘a person who has processed or processed personal information’ (PIPA article 59) should be interpreted as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or former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2) Geographical scope of application: In the case of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within the region, the PIPA applies not only to domestic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but also to foreign ones under the principle of territoriality. However,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actual enforcement, the level of regulation under the PIPA should be recognized as reasonable and universally valid in the majority of countries or international cooperatives. In the case of offshor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if there is a law in that country, the law of that country is applied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offshore, unless there is a special circumstance that it is unreasonable to apply the law. It is reasonable to apply PIPA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offshore by foreign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only if the effect is domestic according to the theory of effectiveness.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is rather complicated result is that the issue of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IPA is entirely left to leg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In terms of ensuring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offenders and securing objectivity and transparency in law enforcement, the issue of the scope of application of PIPA needs to be resolved through legislative theory rather than interpretation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