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의 근경으로부터 Anemarsaponin B의 분리 및 함량분석

        이주미,이승호,박정일,강신정,장승엽,이경순,손건호,Lee, Joo-Mi,Lee, Seung-Ho,Park, Jeong-Hill,Kang, Shin-Jung,Chang, Seung-Yeup,Lee, Kyong-Soon,Son, Kun-Ho 한국생약학회 1999 생약학회지 Vol.30 No.2

        A method for isolation and qantitative determination of anemarsaponin B from the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has been developed. Isolation of anemarsaponin B was achieved by silica gel and RP-18 column chromatography. The HPLC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nemarsaponin B provided a method for standardization of the crude drug. It suggested that the content of anemarsaponin B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is about 0.12-1.48%.

      • SCOPUSKCI등재

        두충(杜沖, Eucommiae Cortex)으로부터 Geniposide의 분리 및 함량분석

        이주미,장승엽,이경순,손건호,Lee, Joo-Mi,Chang, Seung-Yeup,Lee, Kyong-Soon,Son, Kun-Ho 한국생약학회 2001 생약학회지 Vol.32 No.2

        Geniposide, an iridoid glucoside, was isolated from the cortex of Eucommia ulmoides by repealed silica gel chromography and identified by its spectral data.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eniposide with HPLC has been developed and this method provided a tool for standardization of the commercial Eucommiae Cortex.

      • KCI등재후보

        최승희의 "조선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

        이주미 ( Joo Mi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3 No.-

        최승희가 조선 신무용을 개척하고 세계적 무용가로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카프의 문예운동을 주도한 최승일과 안막이 있다. 그들과 함께 최승희는 카프 이념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거나 민족주의 진영의 이념에 편승하지 않고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개척했다. 식민지 시대 조선 문단의 관심사는 `조선심`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집중됐다. 조선주의에 대한 관심은 민족주의문학 진영에서 프로문학에 대한 대타적 성격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부각되었지만 1935년 카프의 퇴조 이후에는 문단과 정세의 변화에 따라 고전과 `조선적인 것`에 대한 논의가 전 문단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민족주의 진영의 것이든 1930년대 중후반의 것이든 조선적인 것에 대한 논의는 심정적이고 낭만적인 차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한 약점 때문에 정치적 전술에 교묘하게 이용되기도 하였다. 과거의 조선춤은 양반들의 여흥을 돋우던 기생춤에 불과했으나 최승희는 그것을 무대예술로 승화시키고 민족예술로 정착시켰다. 민족문학 진영이 한국적 특수성을 시조에서 찾고 과거 사대부 문화를 복원시키려고 할 때, 최승희는 향토적이고 서민적인 생활문화에서 그것을 발견하고자 했다. 또한 향토적인 것의 세계화를 위해 미국, 유럽, 남미 등으로 순회공연을 다녔다. `조선적인 것`의 탐색이 저항적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하였다면, 1930년대 말부터 내선일체를 조선정신을 말살하려 한 일제에게 있어 `동양정신`의 탐색은 공격적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것이었다. 최승희도 동양주의에 타협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조선, 일본, 중국을 대등하게 놓고 각 국의 전통무용 속에서 동양적 특징을 발견하고자 했다. The artistic world of Choi Seung-Hee was greatly influenced by Choi Seung-Il and An-Mak who led the art and literature movement of KAPF. However, Choi Seung-Hee did not accept their ideology as they are but pioneered her own art worl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literary society of Chosun was mainly interested in discovering the "mind of Chosun." This was primarily dealt in the nationalistic literary group and after the fall of KAPF in 1935, the whole Korean literary society started to discuss the ancient and "chosun-istic" qualities. However, their discussions were limited to being abstract and emotional. When the nationalistic literary group tried to find the special quality of Korea in Sizo (old poems) and to recover the Sadebu culture of the past, Choi Seung-Hee tried to find it in the living culture of the native and common people. Dance in the previous Chosun period was only regarded as the activity of the prostitutes who entertained the Yang-bans (the ruling people of society). However, she developed the Korean traditional dancing as a performing art and established it firmly as a traditional art. Also,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native qualities, she moved around and performed in America, Europe, South America, etc. From the late 30`s, Japan enforced the policy of Ne-Sun-Il-Che (Korea and Japan are one body) and tried to eliminate the spirit of Chosun. Exploration of "Chosun-istic qualities" was characterized by its resistant nationalism, and the exploration of "oriental qualities" supported by Japan during this era was given to aggressive nationalism. Choi-Seung Hee compromised her art with this orientalism, but she actually treated Chosun, Japan, and China equally and found the oriental characteristic by examining the traditional dancing of each country. It is clearly evident in her dancing that she did form some close ties with Japan, but her unique artistic world must be highly rated.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암시(暗示)와 명시(明示) 사이 - 「비화밀교」를 중심으로-

        이주미 ( Lee Joo-mi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4 No.-

        이청준의 중편 「비화밀교」에서 암시의 원관념이 되는 비가시적 세계는 세층위의 암시, 즉 연극적 상황에 해당하는 제의, 현상적 질서에 해당하는 소설적 현실, 그리고 초월적 신념에 해당하는 신화를 통해 가시적인 것으로 치환된다. 첫 번째 가시화의 층위는 등장인물 조 선생이 보여준 제야의 밀교의식이다. 이 의식은 민초들이 세속의 질서를 떠나 한 가지 소망으로 뭉쳐서 보이지 않는 모종의 힘을 탄생시키고 지켜 나가게 하는 의식이다. 이 행사에서 울려 퍼진 ‘기이한 합창소리’는 일종의 증상이자 민초들의 저항 방식이다. 이 밀교의식을 통해 조 선생은 가시적 현상세계 이면에 비가시적 세계가 존재함을 말하고 소설가인 나에게 ‘암시’의 방법으로 그 숨은 힘의 질서를 증명하도록 주문한다. 이것이 두 번째 가시화 층위이다. 소설가의 시선으로 볼 때 비가시적 세계는 현실을 매개로 할 때 비로소 존재의미를 지닌다. 개별적 현상이 보편적 의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소설의 본령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 가시화 층위로서, 소설가 ‘나’는 비밀이 폭로된 제야행사를 객관화하고 의미화 하는 과정에 아기장수 신화를 끌어들인다. 『신화를 삼킨 섬』에서 아기장수 신화가 꿈과 기다림의 상징으로 언급되었던 것처럼 「비화밀교」에서도 아기장수는 비극의 역사가 반복될지라도 포기하지 않고 살아가는 민초들의 소망으로 암시된다. In < Bihwamilgyo >, the invisible world that is original perspective of implication may be replaced as the visible one in three stratum. One is the cult ceremony of watch night displayed by one of the characters, Mr. Cho. This ceremony is the ceremony to give birth to and keep the same for certain invisible force for base popular gathering in unified longing by leaving the secular world order. The ‘peculiar chorus sound’ dispersed in this event is a type of symptom, that is a resistance method of base popular displaying the presence of underground world in sensical ways while not displacing the place of origin for such sound. Through this cult ceremony, Mr. Cho speaks of the invisible world existing on the hindsight of the visible phenomenal world and orders me to verify the order of hidden force by way of implication to a novelist. This is the second visualized strata. When looking with the view of a novelist, the invisible world would have the implication of its presence only when the reality is taken as media.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intrinsic nature of this novel is to enable the individual phenomenon to acquire general implication. As for the third visualized strata, the novelist, ‘I’, have objectify the watch night event exposing the secrecy, and in the process of implication, the Tale of Agijangsu is introduced. In < Island that Sallowed a Myth >, the myth of the baby warrior of Agijangsu is mentioned as the symbol of dream and longing, and in < Bihwamilgyo >, the Agijangsu implies as the desire of base popular that live on without giving up even if the tragic history is repeated.

      • KCI등재

        『신화를 삼킨 섬』에 나타난 아기장수 신화의 소설적 전유 방식

        이주미 ( Lee Joo-mi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9 No.-

        『신화를 삼킨 섬』에는 아기장수 신화가 액자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청준 소설에 신화나 굿이 등장하게 된 시점은 80년대 이후 작가가 공동체의 운명을 탐색하던 시기와 맞물린다. 아기장수의 운명은 노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연에 의해 결정되며, 아기장수 신화는 결과적으로 실패가 예정된 결정적 세계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신화를 삼킨 섬』의 현실은 아기장수 신화의 분위기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진정성이 결여된 사업에 동원될 처지가 된 제주 심방들은 `역사 씻기기 사업`으로 양분된 두 집단 중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으려 한다. 신화의 꿈을 종결짓지 않고 자기치유에 나서는 제주 심방들의 행보는 자유의지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신화를 삼킨 섬』에서 운명공동체로서의 속성을 잘 드러내는 인물들은 섬 심방들이다. 이청준이 굿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판소리에 대한 관심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서편제」에서 이청준은 판소리로 용서와 화해를 모색한 바 있다. 판소리가 개인적 차원에서 한을 풀어내는 양식이었다면 굿은 집단의 원한을 풀어내는 양식이라 할 수 있다. 『Island that Swallowed a Myth』 has the myth of baby Samson as a frame story. Taking a look at the time when a myth or a gut in Lee Cheong-chun`s novels, his early novels dealt with personal existential issues while those in the 1980s and thereafter explored the fate of communities. The characters that have well revealed the attributes of a community sharing a common fate are none other than island shamans. The fate of baby Samson is to be determined by accident not by effort. The Jeju shamans are destined to be mobilized into carrying out a project lacking sincerity in inner narration and, at this time, the actions of Jeju villagers seeking to belong to neither of those two groups split due to the `history washing project` can be considered an expression of free will.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erest in gut by Lee Cheong-chun is naturally linked to his interest in pansori, a traditional Korean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In 「Sopyonje」, Lee Cheong-chun sought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by means of pansori. While pansori is used as a vehicle to release `han`, spite or resentment, on a personal level, gut is performed in a bid to release grudge or resentment of a group or community.

      • KCI등재

        자유주제 : 박태순의 현실 감각과 문학적 감수성

        이주미 ( Joo Mi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1

        박태순은 예민한 예술적 감수성과 지식인으로서의 비판의식으로 시대의 과오를 치밀하게 파헤친 작가이다. 그러나 그는 70년대 중반 이후 ‘소설이 현실변혁에 무용하다’는 소회를 밝히고 절필을 선언한 바 있다. 물론 그의 절필 배경에는 문인 간첩단 사건을 비롯해 창작을 지속할 수 없게 한 상황적 요인들이 있었으나, 이 글에서는 작가에게 절필은 사회적 자각과 역사적 각성을 문학예술 형태로 승화시키는 데 실패한 결과이기도 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절필의 내재적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박태순은 초기소설에서 모더니즘적 감수성을 보여주었으나 지식인으로서의 소명의식을 자각하면서 민중의 삶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한다. 그런데 그러한 태도 변화는 물적 토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지 자신의 아비투스에 새겨진 계급적 본성을 자각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렇기 때문에 리얼리즘을 표방하고 씌어진 첫 번째 작품 ?정든 땅 언덕 위?(1966)에서는 작가가 민중의 소박한 삶을 대상화함으로써 리얼리즘적 성취에는 도달하지 못했으며 ?낮에 나온 반달?(1969)에서는 작가의 인텔리 의식이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특히 박태순은 초기 작품에서 과시적으로 표출했던 인텔리 의식을 외촌동 시리즈에 와서는 과도하게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식인 문학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비해 ?무너진 극장?에서는 초기 소설에서 보여준 모더니즘적 감수성과 419 체험을 절묘하게 결합시켜 새로운 감성을 보여줄 수 있었다. Looking back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e can often find authors who declared giving up writing due to the discord with the time. If giving up writing has some legitimate reason, it may be regarded as meaningful resistance, but otherwise, it may become failure. Pak Tae Sun that was highlighted with his works such as ?Collapsed Theater? and ?On the Hill of the Dear Land? did not write any works after the mid-1970`s with a reason that literature is useless for social revolution. After 1974, he emphasized social responsibility in literature and participated in social movement actively. Therefore, his giving up of writing seems to be the resistance against the unjust reality. In the meantime, overall evaluation on his works is not very favorable, so this also makes it look like literary failure. The reason he could not release any successful works after the mid-1970`s was that he could not harmonize his sensitivity as an artist with his beliefs as an intellectual ideally. The fact that he could observe 4.19 with his own unique viewpoint in ?Collapsed Theater? is because it is based on the keen sensitivity he had shown in his initial works. After the mid-1970`s, Pak Tae Sun could not resolve his own ‘habitus’ so failed to embody the people as the power of historical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을 통해 본 그로테스크와 숭고 -『소문의 벽』,「괴상한 버릇」,「가면의 꿈」을 중심으로-

        이주미 ( Joo Mi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2

        이청준의 작품은 대체로 난해하고 기괴하다는 인상을 준다. 기이한 행동을 보여주는 인물들이 등장하거나 예술적인 삶과 세속적인 삶, 아름다움과 추함, 삶과 죽음 등의 양면적 요소가 해소되지 않은 채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작가가 현실의 부조리를 작품에 반영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이 연구에서는 소재와 인물구성, 창작시기 등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소문의 벽』 「가면의 꿈」「괴상한 버릇」을 대상으로 그로테스크와 숭고의 감정을 고찰하였다. 「가면의 꿈」에서 명식이 변장을 하고, 「괴상한 버릇」에서 주인공이 죽은 척을하고, 『소문의 벽』에서 박준이 미친 척을 하는 등의 기행에는 현실과 허구, 삶과 죽음, 이성과 광기가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그로테스크한 상황을 통해 인물들은 일상의 질서를 뒤집는 생의 심연을 경험하게 된다. 한편, 주인공의 행동을 관찰하는 「괴상한 버릇」의 ‘아내’, 「가면의 꿈」의 ‘지연’과 『소문의 벽』의 ‘나’에 의해 가면, 가수면, 광기와 같은 위장된 사물화는 현실의 압력에 대응하려는 초월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주인공들의 공포와 고통은 관찰자들의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관조에 의해 숭고한 감정으로 전화된다. Lee Cheong-jun’s works seem esoteric and grotesque. There are characters involved in strange deeds, or double-sided elements such as art and secularity, beauty and ugliness, and life and death often collide in the works. It is because the writer intends to reflect absurdity in reality in his works. Keeping this in mind, this researcher attempts to consider relations between subject matters, characters arranged, and periods of creation, in order to examine grotesque or noble sentiments found in The Wall of Gossiping, The Dream of a Mask, or The Strange Habit. In The Dream of a Mask, Myeong-sik disguised, and in The Strange Habit, the main character pretends to be dead. Also, in The Wall of Gossiping, Pak Jun acts insane. In these peculiar deeds, reality and fiction, life and death, and rationality and madness mingle. With such grotesque behavior, the characters get to experience what is psychological abyss. With the wife in The Strange Habit observing what the main character does, Ji-yeon in The Dream of a Mask, and I in The Wall of Gossiping, however, disguised objects such as the mask, trance, and insanity for disguise are interpreted as the expression of will for transcendence to cope with the pressure of reality. The main characters’ terror and pain come to be converted to noble sentiment by the observers’ objective and rational contemplation.

      • KCI등재

        중국조선족 서신을 통해 본 조선족의 경계인 의식과 민족 정체성 - 문화대혁명 이후 한중 수교 전까지의 서신에 나타난 ‘아리랑’을 중심으로 -

        이주미(Lee, Joo-mi)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조선족의 국적은 중국이지만 그들은 한반도에 대해 동포 감정을 지니고 살아간다. 아리랑에는 조선족이 경계인으로서 경험할 수 밖에 없는 문화적 갈등과 합의의 양상이 첨예하게 나타난다. KBS 라디오 사회교육방송국에서는 1970년대 중반 중국의 조선족 동포와 서신 왕래를 시작했는데, 방송국 측으로 보내온 서신의 발신자들은 한때 한반도에서 살았던 조선인이거나 그들의 후손이다. 이 연구는 중국의 문화대혁명이 끝날 무렵인 1974년부터 한중 수교가 이루어지는 1992년까지의 조선족 서신을 대상으로 조선족 아리랑의 내포적 의미와 거기에 담긴 경계인 의식을 구체적으로 살핀다. 중국은 10년간의 문화대혁명을 거치면서 소수민족의 자율성을 억압하고 민족의식을 말살하고 전통문화를 유린했다. 이 기간에 민족문화 예술단체가 해산되고 작가와 예술인이 추방당했다. 문화대혁명이 끝나자 민족성을 되찾고 민족 고유의 문화와 전통을 복원하려는 노력이 활발해졌는데, 이 연구는 바로 이 시기의 조선족 서신을 연구의 텍스트로 삼고 있다. 서신 데이터베이스 분석에 따르면 문화대혁명 이후 콩쿠르나 대회를 열어 민간 예인들을 발굴하고 민요를 수집 정리하려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리랑이 언급된 지역을 비율로 분석해보면 동북3성 가운데 흑룡강성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는 해당 시기에 남한 출신 조선족이 흑룡강성 지역에 많이 살았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이국땅에 정착하고 직업변동에 따라 이주가 빈번했던 조선족에게 아리랑의 지역성은 더이상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는다. 경계인의 특수성을 살린 조선족만의 민족 정체성 개발이 더 중요하게 다뤄진다. 요컨대 조선족에게 아리랑은 중심부 언어와 문화에 대항하는 포스트콜로니얼한 문화 코드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While the nationality of the Korean-Chinese is Chinese, they live with feelings of compatriotism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rirang sharply displays the cultural conflict that the Korean-Chinese inevitably experience as marginal people along with aspects of settlement. The KBS radio Social Education Broadcasting Station began correspondence with Korean-Chinese countrymen of China in the mid-1970s and those who sent letters to the broadcasting station were Koreans who had once lived in the Korean peninsula or their descendants. This study observes the connotative meanings of the Korean-Chinese Arirang and the consciousness of boundary men within them in detail based on the letters of the Korean-Chinese from 1974, about the time when the Great Chinese Cultural Revolution ended, to 1992, when Korea and Chin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hile going through a Great Cultural Revolution for a decade, China suppressed the autonomy of minority groups, annihilat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violated traditional culture. As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ended, active efforts were made to rediscover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store indigenous ethnic culture and tradition and this study uses letters of the Korean-Chinese at this time as its text. According to letter database analyses, competitions were held after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in an attempt to discover civilian artists and collect and organize folk songs. If the ratios of areas where the Arirang was mentioned are analyzed, the Heilongjiang Province occupies an overwhelmingly high percentage among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and this states that many Korean-Chinese people from South Korea lived in the Heilongjiang Province at that time. Howev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rirang are no longer considered to be important by the Korean-Chinese who settled in a foreign land and frequently moved according to occupational changes. The development of an ethnic identity that is unique to the Korean-Chinese and that vitalize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arginal men is handled with more importance. In sum, the Arirang has important meaning as it acts as a post-colonial culture code that opposes a central language and culture.

      • KCI등재

        위탁형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영어 수업에서의 정의적 요인 및 영어 능력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이주미(Lee, Joo-Mi),이진화(Lee, Jin-Hwa)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2 영어교육연구 Vol.24 No.3

        This case study examined three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over five months in a commissioned alternative school in Incheon in terms of the changes in affective factors (i. e., self-esteem, anxiety,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and English proficiency. The research data were mainly collected by pre- and post-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eachers, which were further triangulated with data from school records, student journals, and classroom observation. Overall, the three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affective factors with some individual variation. Their self-esteem increased and facilitative anxiety was formed while their debilitative anxiety was reduced. The students also showed increase in various types of motivation. This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ir positive attitude to English classes which was formed by level-appropriate, student-centered lessons in the commissoned alternative school. Theses change in the students’ affective factors did not lead to much increase in their English performance assessment. However, the students reported substantial improvement in various aspects of English proficien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missioned schools could be facilitative to English learning for underachievers by providing level-appropriate and learner-centered English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