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의 근경으로부터 Anemarsaponin B의 분리 및 함량분석

        이주미,이승호,박정일,강신정,장승엽,이경순,손건호,Lee, Joo-Mi,Lee, Seung-Ho,Park, Jeong-Hill,Kang, Shin-Jung,Chang, Seung-Yeup,Lee, Kyong-Soon,Son, Kun-Ho 한국생약학회 1999 생약학회지 Vol.30 No.2

        A method for isolation and qantitative determination of anemarsaponin B from the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has been developed. Isolation of anemarsaponin B was achieved by silica gel and RP-18 column chromatography. The HPLC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nemarsaponin B provided a method for standardization of the crude drug. It suggested that the content of anemarsaponin B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is about 0.12-1.48%.

      • SCOPUSKCI등재

        두충(杜沖, Eucommiae Cortex)으로부터 Geniposide의 분리 및 함량분석

        이주미,장승엽,이경순,손건호,Lee, Joo-Mi,Chang, Seung-Yeup,Lee, Kyong-Soon,Son, Kun-Ho 한국생약학회 2001 생약학회지 Vol.32 No.2

        Geniposide, an iridoid glucoside, was isolated from the cortex of Eucommia ulmoides by repealed silica gel chromography and identified by its spectral data.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eniposide with HPLC has been developed and this method provided a tool for standardization of the commercial Eucommiae Cortex.

      • KCI등재

        이청준 판소리동화에 나타난 판소리의 변형과 보존 양상

        이주미(Lee, Joo-mi)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8 No.-

        Lee Cheong-jun had oneself independent literary world. He adopted the organization of narrative called ‘Stratified structure’. But He recreated Pansori into a fairy tale in the mid-1990s. Fairy tale consists of simple plot, simple character and concise sentences. Therefore he gave up his literary personality to write the Pansori fairy tales. He were trying to pass on literary tradition through the Pansori fairy tales. But Lee Cheong-jun’s Pansori fairy tales did not preserve the tradition intact because he made reference a block book of Sinjaehyo. He adapted a block book of Sinjaehyo to match Child’s identity. He has enhanced tragic aesthetic to emphasize the subject in 〈Singcheong-ga〉 and 〈Chunhyang-ga〉. Also, he was removed a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social in 〈Sugung-ga〉. Nevertheless, Lee Cheong-jun’s Pansori fairy tales are an important value because realistic hope was realized by using fantasy. In 〈Heungbu-ga〉 〈Onggojip-taryeong〉, a punishment is a prerequisite of enlightenment. In other words, a fantasy is a prerequisite of initiation.

      • KCI등재

        이청준 동화의 특징과 아동문학적 가치 -전래동화 채록의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이주미 ( Joo Mi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8 No.-

        이청준은 90년대 중반부터 판소리동화와 전래동화를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거대서사에 대한 불신이 증폭된 시기이자 포스트모더니즘 사조와 다양한 소비문화가 대중의 일상과 의식을 지배하기 시작한 시기인 90년대 중반에 작가가 동화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것은 근대적 합리주의 이전의 세계를 복원하려는 의지를 구체화한 것으로 보인다. 동화라는 장르 자체는 근대성의 산물이지만 이청준의 전래동화는 어린이의 정체성이나 동화문법을 충분히 고려하기보다는 구전의 의미와 가치를 환기시키는 데에 주력하였으며 동화의 내용 전개에 있어서도 지혜나 미담을 강조하여 전통사회의 윤리적 덕목을 재생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이청준의 전래동화는 개작보다는 채록에 역점을 두었다. 말의 타락이 심각한 수준에 달한 90년대에 이청준은 순결한 말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유년 시절에 들은 옛이야기를 복원하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이청준은 전래동화의 보급을 통해 삶의 유전적 정서를 되살리고자 하였다. 우화소설 『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에 등장하는 꽃씨 할머니 이야기는 기교를 절제한 원초적 상태를 상징하는 것으로, 꽃씨 할머니가 꽃씨를 뿌리고 다니는 행위는 삶의 유전적 정서가 담긴 옛이야기의 유포방식으로 해석된다. 이청준의 전래동화 작업은 궁극적으로 게마인샤프트를 지향하는데, 게마인샤프트는 접촉성과 친밀성을 전제로 하고 구성원 상호간의 양해와 용서를 질서의 동력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작가가 기왕의 작품에서 꾸준히 구상해 온 대안적 공간들과 동질적이다. Lee Chung-jun began introducing pansori children`s books and children`s folk tales in the mid 1990s. Lee Chung-jun paid attention to create children`s books in the 1990s in which a consumption culture began to rule the ordinary lives and consciousnesses of the public, and it seems that he concretized his will to restore the world which existed prior to modern rationalism. The genre of children`s books is the product of modernity, but the children`s folk tales by Lee Chung-jun focused on arousing the meaning and value of oral tradition rather than satisfactorily considering the identity of children or grammar in children`s books, and also tried to revive the ethical virtue of traditional society by emphasizing wisdom or moving stories. In particular, children`s folk tales by Lee Chung-jun emphasized recording in existing stories rather than rewriting them. In the 1990s when there appeared to be a severe deterioration in the language, Lee Chung-jun began to restore old stories he heard in his childhoo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pure words``. Also, he attempted to revive the hereditary emotion of life through the distribution of children`s folk tales. In <Humanist, Musojak`s life story>, the act of scattering flower seeds by the flower seed granny is interpreted to be an act of disseminating old stories that contain the hereditary emotion of life. His work on children`s folk tales ultimately inspires Gemeinschaf, and Gemeinschaft is homogeneous to alternative spaces that he had consistently devised in existing works in that Gemeischaft considers the understanding and forgiveness among its members as the driving force of public order.

      • KCI등재

        자유주제 : 박태순의 현실 감각과 문학적 감수성

        이주미 ( Joo Mi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1

        박태순은 예민한 예술적 감수성과 지식인으로서의 비판의식으로 시대의 과오를 치밀하게 파헤친 작가이다. 그러나 그는 70년대 중반 이후 ‘소설이 현실변혁에 무용하다’는 소회를 밝히고 절필을 선언한 바 있다. 물론 그의 절필 배경에는 문인 간첩단 사건을 비롯해 창작을 지속할 수 없게 한 상황적 요인들이 있었으나, 이 글에서는 작가에게 절필은 사회적 자각과 역사적 각성을 문학예술 형태로 승화시키는 데 실패한 결과이기도 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절필의 내재적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박태순은 초기소설에서 모더니즘적 감수성을 보여주었으나 지식인으로서의 소명의식을 자각하면서 민중의 삶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한다. 그런데 그러한 태도 변화는 물적 토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지 자신의 아비투스에 새겨진 계급적 본성을 자각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렇기 때문에 리얼리즘을 표방하고 씌어진 첫 번째 작품 ?정든 땅 언덕 위?(1966)에서는 작가가 민중의 소박한 삶을 대상화함으로써 리얼리즘적 성취에는 도달하지 못했으며 ?낮에 나온 반달?(1969)에서는 작가의 인텔리 의식이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특히 박태순은 초기 작품에서 과시적으로 표출했던 인텔리 의식을 외촌동 시리즈에 와서는 과도하게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식인 문학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비해 ?무너진 극장?에서는 초기 소설에서 보여준 모더니즘적 감수성과 419 체험을 절묘하게 결합시켜 새로운 감성을 보여줄 수 있었다. Looking back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e can often find authors who declared giving up writing due to the discord with the time. If giving up writing has some legitimate reason, it may be regarded as meaningful resistance, but otherwise, it may become failure. Pak Tae Sun that was highlighted with his works such as ?Collapsed Theater? and ?On the Hill of the Dear Land? did not write any works after the mid-1970`s with a reason that literature is useless for social revolution. After 1974, he emphasized social responsibility in literature and participated in social movement actively. Therefore, his giving up of writing seems to be the resistance against the unjust reality. In the meantime, overall evaluation on his works is not very favorable, so this also makes it look like literary failure. The reason he could not release any successful works after the mid-1970`s was that he could not harmonize his sensitivity as an artist with his beliefs as an intellectual ideally. The fact that he could observe 4.19 with his own unique viewpoint in ?Collapsed Theater? is because it is based on the keen sensitivity he had shown in his initial works. After the mid-1970`s, Pak Tae Sun could not resolve his own ‘habitus’ so failed to embody the people as the power of historical development.

      • KCI등재

        『신화를 삼킨 섬』에 나타난 아기장수 신화의 소설적 전유 방식

        이주미 ( Lee Joo-mi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9 No.-

        『신화를 삼킨 섬』에는 아기장수 신화가 액자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청준 소설에 신화나 굿이 등장하게 된 시점은 80년대 이후 작가가 공동체의 운명을 탐색하던 시기와 맞물린다. 아기장수의 운명은 노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연에 의해 결정되며, 아기장수 신화는 결과적으로 실패가 예정된 결정적 세계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신화를 삼킨 섬』의 현실은 아기장수 신화의 분위기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진정성이 결여된 사업에 동원될 처지가 된 제주 심방들은 `역사 씻기기 사업`으로 양분된 두 집단 중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으려 한다. 신화의 꿈을 종결짓지 않고 자기치유에 나서는 제주 심방들의 행보는 자유의지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신화를 삼킨 섬』에서 운명공동체로서의 속성을 잘 드러내는 인물들은 섬 심방들이다. 이청준이 굿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판소리에 대한 관심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서편제」에서 이청준은 판소리로 용서와 화해를 모색한 바 있다. 판소리가 개인적 차원에서 한을 풀어내는 양식이었다면 굿은 집단의 원한을 풀어내는 양식이라 할 수 있다. 『Island that Swallowed a Myth』 has the myth of baby Samson as a frame story. Taking a look at the time when a myth or a gut in Lee Cheong-chun`s novels, his early novels dealt with personal existential issues while those in the 1980s and thereafter explored the fate of communities. The characters that have well revealed the attributes of a community sharing a common fate are none other than island shamans. The fate of baby Samson is to be determined by accident not by effort. The Jeju shamans are destined to be mobilized into carrying out a project lacking sincerity in inner narration and, at this time, the actions of Jeju villagers seeking to belong to neither of those two groups split due to the `history washing project` can be considered an expression of free will.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erest in gut by Lee Cheong-chun is naturally linked to his interest in pansori, a traditional Korean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In 「Sopyonje」, Lee Cheong-chun sought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by means of pansori. While pansori is used as a vehicle to release `han`, spite or resentment, on a personal level, gut is performed in a bid to release grudge or resentment of a group or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암시(暗示)와 명시(明示) 사이 - 「비화밀교」를 중심으로-

        이주미 ( Lee Joo-mi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4 No.-

        이청준의 중편 「비화밀교」에서 암시의 원관념이 되는 비가시적 세계는 세층위의 암시, 즉 연극적 상황에 해당하는 제의, 현상적 질서에 해당하는 소설적 현실, 그리고 초월적 신념에 해당하는 신화를 통해 가시적인 것으로 치환된다. 첫 번째 가시화의 층위는 등장인물 조 선생이 보여준 제야의 밀교의식이다. 이 의식은 민초들이 세속의 질서를 떠나 한 가지 소망으로 뭉쳐서 보이지 않는 모종의 힘을 탄생시키고 지켜 나가게 하는 의식이다. 이 행사에서 울려 퍼진 ‘기이한 합창소리’는 일종의 증상이자 민초들의 저항 방식이다. 이 밀교의식을 통해 조 선생은 가시적 현상세계 이면에 비가시적 세계가 존재함을 말하고 소설가인 나에게 ‘암시’의 방법으로 그 숨은 힘의 질서를 증명하도록 주문한다. 이것이 두 번째 가시화 층위이다. 소설가의 시선으로 볼 때 비가시적 세계는 현실을 매개로 할 때 비로소 존재의미를 지닌다. 개별적 현상이 보편적 의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소설의 본령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 가시화 층위로서, 소설가 ‘나’는 비밀이 폭로된 제야행사를 객관화하고 의미화 하는 과정에 아기장수 신화를 끌어들인다. 『신화를 삼킨 섬』에서 아기장수 신화가 꿈과 기다림의 상징으로 언급되었던 것처럼 「비화밀교」에서도 아기장수는 비극의 역사가 반복될지라도 포기하지 않고 살아가는 민초들의 소망으로 암시된다. In < Bihwamilgyo >, the invisible world that is original perspective of implication may be replaced as the visible one in three stratum. One is the cult ceremony of watch night displayed by one of the characters, Mr. Cho. This ceremony is the ceremony to give birth to and keep the same for certain invisible force for base popular gathering in unified longing by leaving the secular world order. The ‘peculiar chorus sound’ dispersed in this event is a type of symptom, that is a resistance method of base popular displaying the presence of underground world in sensical ways while not displacing the place of origin for such sound. Through this cult ceremony, Mr. Cho speaks of the invisible world existing on the hindsight of the visible phenomenal world and orders me to verify the order of hidden force by way of implication to a novelist. This is the second visualized strata. When looking with the view of a novelist, the invisible world would have the implication of its presence only when the reality is taken as media.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intrinsic nature of this novel is to enable the individual phenomenon to acquire general implication. As for the third visualized strata, the novelist, ‘I’, have objectify the watch night event exposing the secrecy, and in the process of implication, the Tale of Agijangsu is introduced. In < Island that Sallowed a Myth >, the myth of the baby warrior of Agijangsu is mentioned as the symbol of dream and longing, and in < Bihwamilgyo >, the Agijangsu implies as the desire of base popular that live on without giving up even if the tragic history is repeated.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을 통해 본 그로테스크와 숭고 -『소문의 벽』,「괴상한 버릇」,「가면의 꿈」을 중심으로-

        이주미 ( Joo Mi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2

        이청준의 작품은 대체로 난해하고 기괴하다는 인상을 준다. 기이한 행동을 보여주는 인물들이 등장하거나 예술적인 삶과 세속적인 삶, 아름다움과 추함, 삶과 죽음 등의 양면적 요소가 해소되지 않은 채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작가가 현실의 부조리를 작품에 반영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이 연구에서는 소재와 인물구성, 창작시기 등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소문의 벽』 「가면의 꿈」「괴상한 버릇」을 대상으로 그로테스크와 숭고의 감정을 고찰하였다. 「가면의 꿈」에서 명식이 변장을 하고, 「괴상한 버릇」에서 주인공이 죽은 척을하고, 『소문의 벽』에서 박준이 미친 척을 하는 등의 기행에는 현실과 허구, 삶과 죽음, 이성과 광기가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그로테스크한 상황을 통해 인물들은 일상의 질서를 뒤집는 생의 심연을 경험하게 된다. 한편, 주인공의 행동을 관찰하는 「괴상한 버릇」의 ‘아내’, 「가면의 꿈」의 ‘지연’과 『소문의 벽』의 ‘나’에 의해 가면, 가수면, 광기와 같은 위장된 사물화는 현실의 압력에 대응하려는 초월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주인공들의 공포와 고통은 관찰자들의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관조에 의해 숭고한 감정으로 전화된다. Lee Cheong-jun’s works seem esoteric and grotesque. There are characters involved in strange deeds, or double-sided elements such as art and secularity, beauty and ugliness, and life and death often collide in the works. It is because the writer intends to reflect absurdity in reality in his works. Keeping this in mind, this researcher attempts to consider relations between subject matters, characters arranged, and periods of creation, in order to examine grotesque or noble sentiments found in The Wall of Gossiping, The Dream of a Mask, or The Strange Habit. In The Dream of a Mask, Myeong-sik disguised, and in The Strange Habit, the main character pretends to be dead. Also, in The Wall of Gossiping, Pak Jun acts insane. In these peculiar deeds, reality and fiction, life and death, and rationality and madness mingle. With such grotesque behavior, the characters get to experience what is psychological abyss. With the wife in The Strange Habit observing what the main character does, Ji-yeon in The Dream of a Mask, and I in The Wall of Gossiping, however, disguised objects such as the mask, trance, and insanity for disguise are interpreted as the expression of will for transcendence to cope with the pressure of reality. The main characters’ terror and pain come to be converted to noble sentiment by the observers’ objective and rational contemp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