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of Non-anaplastic Peripheral T-Cell Lymphom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ingle-center Experience

        이다래,고경남,변예지,김현진,서진경,이성욱,임호준,서종진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 2015 Clinical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Vol.22 No.2

        Background: Peripheral T-cell lymphoma (PTCL) is a rare form of non-Hodgkin’s lymphoma (NHL), and it is usually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Here, we report our experience in treating this disease over 19 years, with the aim of helping to establish better treatment methods.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18 non-anaplastic PTCL cases that were diagnosed at a medical center in Seoul between October 1995 and October 2014.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s, and outcomes were reviewed. Results: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lassifications for PTCL, 11 patients had PTCL, not otherwise specified (PTCL-NOS), 6 patients had extranodal natural killer/T-cell lymphoma, nasal type (ENKL), and 1 patient had subcutaneous panniculitis-like T-cell lymphoma. Patients were treated with various chemotherapeutic regimens. Of these 18 patients, 5 (27.7%) relapsed and 7 (38.9%) died from disease progression. Two relapsed patients received high-dose chemotherapy with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DCT-ASCT). The 5-year event-free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43.2% and 66.7% in all cases, 45.5% and 54.5% in PTCL-NOS, and, 25.0% and 83.3% in ENKL, respectively. Conclusion: PTCL-NOS showed a suboptimal outcome. Among 6 ENKL patients, 3 relapsed, but 2 of 3 relapsed patients were salvaged. For better prognosis, HDCT-ASCT in relapsing and refractory PTCL and chemo-radiotherapy in ENKL could be considered as a salvage treatment. Larg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outcome. Furthermore, an effort should be made to develop more efficient initial therapies through collaborative research.

      • KCI등재

        우리나라 도심지에서의 저장열 산출에 관한 연구

        이다래,김홍희,이상현,이두일,홍진규,홍제우,이근민,이경상,서민지,한경수 대한원격탐사학회 201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4 No.2

        Urbanization causes urban floods and urban heat island in the summer,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ing the changes of the thermal environment through urban climate and energy balance.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energy balance, but in urban areas, unlike the typical energy balance, the storage heat flux saved in the building or artificial land cover should be considered. Since the environment of each city is different, there is a difficulty in applying the method of retrieving the storage heat flux of the previous research. Especially,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re focused on the overseas citie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torage heat retrieval suitable for various land cover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areas in Korea.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it is to derive the regression formula which can quantitatively retrieve the storage heat using the data of the area where various surface types exist. To this end,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et radiation and surface temperature data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flux tower based storage heat estimates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trieved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applied to each independent variable to derive the storage heat retrieval regression formula. As a result of time series analysis with flux tower based storage heat estimates, it was well simulated high peak at day time and the value at night. Moreover storage heat retrieved in this study was possible continuous retrieval than flux tower based storage heat estimates. As a result of scatter plot analysis, accuracy of retrieved storage hea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50.14 Wm-2 and bias -0.94 Wm-2. 도시화는 여름철 도시형 홍수, 도시 열섬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 열환경 변화의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는 에너지 수지를 통해 설명될 수 있지만, 도심지의 경우 일반적인 에너지 수지와 달리 건물이나 인공토지피복에 의해 저장된 열에너지인 저장열을 고려하여야 한다. 하지만 저장열은 도시 표면의 복잡한 3차원 구조와 피복의 다양성 때문에 그 산출이 어려우며, 도시마다 다른 환경으로 인해 선행연구의 저장열 산출 방법을 타 도심지에 적용시키는 데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히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국외 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국내 도심지의 다양한 토지피복과 건물 특성에 적합한 저장열 산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심지의 다양한 지표타입이 존재하는 지역의 자료를 이용하여 저장열의 정량적인 산출이 가능한 회귀 식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순복사와 지표면 온도 자료를 독립변수로, 플럭스 타워 기반 저장열 추정치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산출된 회귀계수를 각 독립변수에 적용하여 저장열 산출 회귀 식을 도출하였다. 플럭스 타워 기반 저장열 추정치의 시계열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산출한 저장열이 주간의 high peak와 야간에서의 값의 분포와 경향을 잘 모의하고 있었고, 플럭스 타워 기반 저장열 추정치에 비해 연속적인 저장열 산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산점도 분석 결과 Root Mean Square Error (RMSE) 50.14 Wm-2, bias -0.94 Wm-2로 유의한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다.

      • KCI등재

        암모니아 산화용 DSA (Dimensionally Stable Anodes) 제작에서의 전구체 분산용 용매 영향 연구

        다래,박대원 대한환경공학회 202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4 No.9

        Objectives: An economical DSA that can be us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reduce the amount of precious Ru metal required in preparing the electrode was tried to be developed by using an ionic liquid instead of the alcohols as a solvent for electrode catalyst coating when preparing the DSA and comparing the performance. Methods: 1, 2 and 3 ㎎/㎠ RuO2 electrodes were prepared using butanol and imidazolium-based ionic liquid (HMIM)HSO4 as a solvent for electrode coating. To optimize conditions, the electrodes prepared using butanol and ionic liquid were compared by evaluating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SEM-EDS and XRD were used for evaluat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yclic Voltammetry was used for electrochemical properties. Results and Discussion: Through SEM-EDS can find an easily different point in the coating of Solvent for Electrodes. In XRD, the Butanol solvent electrode’s crystallinity is smaller than the Ionic liquid. Butanol solvent electrode’s average crystallinity is 69.9%, Ionic liquid electrode’s average crystallinity is 73.3%. The accelerated Lifetime tests in 0.5 M H2SO4 and applying 1 A/㎠ showed that Ionic liquid 1 ㎎/㎠ RuO2 maintained its potential for 16 hours, and the latest is about 201 hours, Butanol solvent 3 ㎎/㎠ RuO2. Calculated for Voltammetric charge values by Cyclic Voltammetry, Butanol electrodes gain the higher values. Conclusions: The smaller the crystallinity of the electrode, the longer the lifespan of the electrode, the greater the number of active sites on the electrode surface, the better the electrochemical reactivity, and it can be confirmed in a large area on the cyclic voltammetry graph. 목적: DSA 전극 제조시 전극 촉매 코팅을 위한 용매로 기존의 알코올류 대신 이온성 용액을 이용하여 전극을 제작하고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소요되는 Ru 귀금속 양을 줄이고 보다 오래 사용 할 수 있는 경제성 있는 DSA 전극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기존의 부탄올과 imidazolium 계열의 이온성 용액 (HMIM)HSO4을 전극의 코팅을 위한 용매로 하여 각 1, 2, 3 ㎎/㎠ RuO2 전극을 제작하여 물리화학적 성능 비교와 전기화학적 성능 비교를 통해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SEM-EDS, XRD 를 통해 표면분석, 결정화도를 비교하였고 0.5 M H2SO4를 전해질로 가속수명시험을 통해 전극의 수명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순환전압전류법 (Cyclic Voltammetry; CV)을 시행하여 전기화학적 활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및 토의: 가속수명시험 전, 후 SEM-EDS 를 측정을 통해 용매에 따른 차이가 있지만 모든 전극에서 가속수명시험 전 표면에 있었던 크랙이 시험 후 코팅된 Ru의 탈착으로 전극의 모체가 드러난 것을 확인하였다. XRD 분석을 통해 부탄올 전극의 평균 결정화도는 69.9% 이온성 용액 이용 전극은 73.3%로 용매 물질로 인한 전극의 결정화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용매별 1, 2, 3 ㎎/㎠ RuO2 전극을 대상으로 가속수명시험을 통해 이온성 용액을 이용하여 제작한 전극 1 ㎎/㎠ RuO2 이 16시간 만에 종료되어 가장 짧았고, 부탄올 이용하여 제작한 전극 3 ㎎/㎠ RuO2 이 201 시간에 종료되어 가장 긴 수명을 보였다. 순환전압전류법을 통해 부탄올 이용 제작한 전극의 활성 면적이 이온성 용액 이용 제작한 전극보다 더 넓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전극의 결정화도가 작을수록 전극의 수명이 길고, 전극 표면의 Active site 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전기화학적 반응성이 좋고, 순환전압전류 그래프의 넓은 면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 KCI등재

        Landsat 8 위성 기반 고해상도 지표면 광대역 알베도 산출

        이다래 ( Darae Lee ),서민지 ( Minji Seo ),이경상 ( Kyeong-sang Lee ),최성원 ( Sungwon Choi ),성노훈 ( Noh-hun Sung ),김홍희 ( Honghee Kim ),진동현 ( Donghyun Jin ),권채영 ( Chaeyoung Kwon ),허모랑 ( Morang Huh ),한경수 ( Kyung-soo 대한원격탐사학회 2016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2 No.6

        알베도는 태양에너지의 흡수량을 결정하는 주요 기후 변수 중 하나로서, 이러한 알베도를 산출하는 것은 기후 변화 연구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다. 이 때, 산출된 알베도 자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공간해상도와 장기간의 일관성 있는 산출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을 기반으로 Landsat 7과의 일관성을 유지한 고해상도 지표면 광대역 알베도를 산출하였다. 먼저, Landsat 7과 Landsat 8의 채널 별 일관성을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R)가 평균 0.96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Landsat 7 알베도와 Landsat 8 반사도 채널 자료를 다중회귀분석에 적용하여 Landsat 8 광대역 알베도 전환 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식을 통해 Landsat 8 지표면 광대역 알베도를 산출하고, Landsat 7 알베도 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R-square(R<sup>2</sup>)가 0.89, Root Mean Square Error (RMSE)가 0.003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Albedo is one of the climate variables that modulate absorption of solar energy, and its retrieval is important process for climate change study. High spatial resolution and long-term consistent periods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retrieved albedo data. This study retrieved surface broadband albedo based on Landsat 8 as high resolu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Landsat 7. First of all, we analyzed consistency of Landsat 7 channel and Landsat 8 channel. As a result, correlation coefficient(R) on all channels is average 0.96. Based on this analysis, we u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using Landsat 7 albedo, which is being used in many studies, and Landsat 8 reflectance channel data.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each channel calculated by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rive a formula for converting the Landsat 8 reflectance channel data to broadband albedo. After Landsat 8 albedo calculated using the derived formula is compared with Landsat 7 albedo data, we confirmed consistency of two satellite using Root Mean Square Error (RMSE), R-square (R<sup>2</sup>) and bias. As a result, R<sup>2</sup> is 0.89 and RMSE is 0.003 between Landsat 7 albedo and Landsat 8 albedo.

      • KCI등재후보

        집합효율성, 무질서 그리고 범죄의 두려움: Collective efficacy VS. Broken windows

        다래,박철현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9 공공정책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집합효율성, 무질서 그리고 범죄의 두려움이 어떠한 경로구조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샘슨의 집합효율성 이론에 따르면, 집합효율성은 지역의 무질서나 사회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지역주민의 응집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무질서에 선행하며, 결과적으로 범죄의 두려움을 낮추게 된다. 그러나 윌슨과 켈링의 깨어진 창 이론에 따르면, 지역의 무질서는 주민들 사이에서 범죄의 두려움을 낳고, 이러한 두려움은 지역주민들이 지역의 비공식적인 활동에 참여하지 않게 만들게 된다. 따라서 지역의 응집력을 낮추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집합효율성을 낮추게 된다. 이러한 이론적 쟁점을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 4~6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무질서가 범죄의 두려움을 낳고 이것이 다시 집합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깨어진 창 이론이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집합효율성이 무질서를 낮추고, 이것이 범죄의 두려움을 낮춘다는 집합효율성 모델이 맞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사회적 무질서가 아닌 물리적 무질서를 통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