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자연과학 텍스트에 나타난 유추와 은유 -개념구조의 사상을 중심으로-
신선경 한국어의미학회 2009 한국어 의미학 Vol.29 No.-
Shin, Sun-kyung. 2009. A Study on Analogy and Metaphor in Science. Korean Semantics, 29. Analogies and metaphors are distributive in language and thought from literary to scientific things. This paper aims to characterize analogy and metaphor in science and discuss how the meanings of an analogy or metaphor of science is derived from the meanings of its terms. We argue that the structure- mapping account is adequate to explain the phenomena of analogy and metaphor in science. As the result of study, we conclude as follows; First, Most of analogy and metaphor in science are characterized as relational metaphor rather than attributional metaphor. Therefore, structure- mapping account is better than pragmatic account In the generation and interpretation process of analogy and metaphor in science. Second, metaphor is not language problem but conceptual proble, therefore, metaphor and analogy can be explained as same phenomena. Both are generated by mapping of conceptual structure based on 6 principles suggested by Gentner & Jeziorski(1994:450).
신선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2 사고와표현 Vol.5 No.2
We have entered an age of knowledge convergence in whicheducated people and their ideas, facilitated and augmented by rapidlyevolving information technolog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hifting paradigms not only in scocio-cultural and industrial area butalso in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suggest that college writingeducation must shift paradigms to keep up the times. First, we discuss DIKW hierarchy and importance of knowledgedeveloping process and suggest that educational goal of collegewriting must be revised based on aspect of knowledge creation andconvergence with literary knowledge. Second, we discuss that most knowledge convergence is based onknowledge of humanity and suggest that college writing courseinclude basic knowledge of humanity and communication skill in theinterdisciplinary situation. Finaly, we discuss paradigim shifting in Education 3.0 and learningmethod for college writing in knowledge convergence age. We suggest that learner-centered, collaborative and project based learning methodfor college writing in knowledge convergence age. 본 연구는 새롭게 도래한 21세기 융합 시대의 시대적 특징과 시대적 특징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고등 교육의 방향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글쓰기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인과 공동체, 보편성과 개별성, 융합과 분화라는 상반된 가치들이 공존하는 지식융합 시대는 그 어느 때보다도 인문학적 통찰과 인문학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는 시대이며 이러한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 내용,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지식 융합 사회의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 주도의 지식 생산 교육을지향해야 한다는 전제 하에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논의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 서론 부분에서는 개인과 공동체, 보편성과 개별성, 융합과 분화라는 상반된 가치들이 공존하는 지식융합 시대의 시대적 특징에 대하여 논의하고 지식융합시대가 그 어느 때보다도 인문학적 통찰과 인문학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는 시대라는 것과 그러한 요구와 관련하여 대학의 글쓰기 교육이 인문학을 기반으로 한지식창출형 교육으로 재편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지식 융합 사회에서의 지식 생산 능력의 중요성을 지식의 발전 단계DIKW hierarchy(Data Information Knowledge Wisdom hierarchy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이 정보를 자기화 하는 학습자 주도의 지식 생산 교육으로 교육의 목표를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지식융합시대의 도래와 그에 따른 인문학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지식 융합적 측면에서 도구로서의 인문학과 내용으로서의 인문학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내용이 ①인문 기초 강화 ②학제간 협력 및 소통 능력 강화 ③수평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에 관한 내용 강화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수정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4장에서는 교육 3.0 시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면서 대학 글쓰기 교육도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학습자 주도 팀별 프로젝트식 교육 방식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재구성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덧붙여, 학습 활동의 다양화와 현장 중심 교육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 지식 생산 교육이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면서 전체 내용을 요약하며 마무리 하였다.
도시쓰레기 소각로 방지시설 중 다이옥신류 및 전구물질의 배출특성(II)
신선경,정영희,이원석,Shin, S.K.,Chung, Y.H.,Lee, W.S. 한국분석과학회 1999 분석과학 Vol.12 No.1
The Concentrations of PCDDs/PCDFs and their precusors(chlorophenols, chlorobenzenes, PCB) were analyzed from the dioxin control device such as EP and SCR to know the emission patterns of these compounds and find the dioxin index compounds. The dioxin concentration increased 7 times in outlet part than inlet part of EP and the concentration of CBs, CPs and PCBs also were increased through this control device. These phenomia may be related to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Electroprecipitator(EP), which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near the $300^{\circ}C$, the method of the decreasing the operating temperature need to consider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hese compounds. In the selected catalytic reactor with wet scrubber(SCR+WS), these compounds were removed after passing the device over 90% for CPs, 30~40% for CBs and 60% for PCBs. But, the systematic study have to perform to reduce the formation of PCDDs/PCDFs and precu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