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볼품없는 용모를 지닌 영웅, 강감찬의 출생 이야기 연구

        윤준섭 ( Yoon Joon-seob ) 한국중세사학회 2021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64

        Gang Gam-chan is a hero who saved the nation from a crisis. Therefore, many stories about Gang Gam-chan are passed down. However, look at the story of Gang Gam-chan, two questions arise. One is the birth narrative, which is differently inherited from the literature records and oral tales, and the other is his unattractive appearance. In response, this paper sought to find the secret of the birth of Gang Gam-chan, an unprepossessing hero. “Goryeosa” “Gang Gam-chanjeon” is understood to be a work that talks about ‘the lifetime of the hero Goryeo' rather than 'the lifetime of the hero Gang Gam-chan.’ In other words, it depicts not Gang Gam-chan but Hyeonjong, a Goryeo Dynasty figure, who led the war to victory in the war against the Kitan. In other words, “Goryeosa” “Gang Gam-chanjeon” is a literature record that reflects the chroniclers’ attitude to put the center of the story in Goryeo, not in Gang Gam-chan. However, “Gang Gam-chanjeon” is also a story that contains not only ‘the lifetime of hero Goryeo’ but also ‘the memory of Gang Gam-chan’. Therefore, “Gang Gam-chanjeon” is part of the ‘Hero Goryeo’s lifetime’ and records not only the victory of Goryeo but also a particular point about Gang Gam-chan. Those are ‘falling star birth narrative’ and ‘unattractive appearance’. In “Gang Gam-chanjeon”, the mystic birth narrative is described as a ‘falling star birth narrative’. Originally, however, “Gang Gam-chanjeon”’s birth narrative is considered to be a ‘birth narrative through a fox’, which is passed down by oral tradition. In other words, “Gang Gam-chanjeon”’s ‘falling star birth narrative’ is a birth narrative reorganized by the chroniclers. As a result of interpreting Gang Gam-chanjeon’s birth story, which is handed down from the private sector, ‘birth story through foxes’ has been transformed into ‘falling star birth narrative’. This pattern is also found in the “Dangun Mythology”, which transformed the appearance of Dangun from being born through bears to being descended from heaven. Then why Gang Gam-chan’s matrilineage was a fox? The reason is that birth narrative through a fox was a story that kept traces of the progenitor myth. Birth narrative through a fox was created in connection with Gang Gam-chan, an extraordinary hero, over time. In the oral folk tale, Gang Gam-chan was remembered as a descendant of a human and a fox. Therefore, Gang Gam-chan’s appearance was bound to resemble a fox. The appearance resembling a fox is his face gets pockmarked, which is expressed in the literature as an ‘unattractive appearance’.

      • 삼청각 일주문의 건축적 의미

        윤준섭(Yoon, Jun-Seop),류성룡(Ryoo, Seong-Lyong)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significance of Samcheoggak-Iljumun. Samcheoggak-Iljumun is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aving Korean traditional Iljumun shape. Through the comparative roll of Yongsan Tongdosa-Iljumun and Geasanjodang, This study seeks the way to develop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통과 단절의 사이에서 길을 만들다, 함경도 구비서사시 <양산백·축영대> 연구

        윤준섭(Yoon, Joon-seob)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 No.53

        《문굿》의 구비서사시 〈양산백·축영대〉가 구연되는 함경도 망묵굿은 죽음의 의례이다. 죽음으로 비롯된 생자(生者)와 망자(亡者)의 단절에서 굿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때 생자는 굿을 통해 망자가 저승으로 잘 가기를 희망하면서도 그와 다시 만나기를 소망한다. 이를 위해 생자는 망자와 소통하는 길이 필요했다. 본 논문은 〈양산백·축영대〉의 주인공 축영대가 생자와 망자 사이의 끊어진 길을 잇는 신이 되는 과정을 살폈다. 먼저 고전소설 〈양산백전〉과 달리 〈양산백·축영대〉는 양산백, 축영대의 사랑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서사시임을 확인했다. 그런데 이때 〈양산백·축영대〉가 구연되는 제차로 알려진 《문굿》과 연관 지어 논의하면 여러 의문점이 발생했다. 실제 망묵굿에서 《문굿》의 연행 여부와 《문굿》에서 〈양산백·축영대〉의 연행 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것이다. 다만, 임석재, 장주근, 김태곤이 남겨 놓은 조사 보고에는 〈양산백·추영대〉가 망묵굿에서 구연되는 이유를 해명할 수 있는 자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 자료는 김태곤이 남긴 〈양산백·추영대〉에 관한 주석이다. 그는 이 서사시가 젊어서 죽은 망인의 경우에만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본 논문은 김태곤이 이러한 주석을 붙인 것은 〈양산백·축영대〉가 ‘혼사굿’에서 구연되었기 때문임을 파악했다. 즉, 서사시의 주인공인 양산백, 축영대는 현실에서 사랑을 이루지 못했지만 저승에서 사랑을 이룬 인물임을 확인한 것이다. 그렇기에 양산백, 축영대는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젊어서 죽은 망령들을 위로하는 신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자료는 임석재, 장주근이 남긴 《문굿》의 실제 명칭이다. 임석재, 장주근은 〈양산백·축영대〉가 구연되는 제차를 ‘《문굿(문굿천두질굿)》’이라 표기했다. 이에 본 논문은 〈양산백·축영대〉를 ‘문굿’을 넘어 ‘길굿’의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양산백·축영대〉에서 축영대는 사랑의 힘으로 양산백에게 가는 새로운 길을 놓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렇기에 축영대는 생자와 망자 사이의 끊어진 길을 다시 잇는 신이 될 수 있었다. 정리하면 〈양산백·축영대〉는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젊어서 죽은 망령들을 위로하는 신에 관한 내력과 생자와 망자 사이의 끊어진 길을 다시 잇는 신에 관한 내력이 다층적으로 담긴 서사시라고 볼 수 있다. Mangmukgut in Hamgyeong-do, where the epic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of “Mungut” is featured, is a ritual of death. Because the ritual[gut] begins at the disconnection from the dead of the dead and the living beings. At this time, the living beings hope that the dead will go to the otherworld well, but hope to see them again. To do so, the living beings needed a way to communicate with the dead.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 of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becoming a god connecting the cut-off path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First, unlike the classic novel “YangsanBaekjeon”, it was confirmed that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is an epic that focuses on the love between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However, there were many questions when discussing it in connection with “Mungut”, known as the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It is not clear whether “Mungut” was performed in Mangmukgut and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in “Mungut”. However, the survey report left by Lim Seok-jae, Jang Joo-geun, and Kim Tae-gon confirmed that there was material to explain why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was played in Mangmukgut. The first was a comment on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left by Kim Tae-gon. He explained that the epic only applies to die young. This paper found that Kim Tae-gon made such annotations because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was performed in Honsagut(otherworld wedding ritual). In other words, the main characters of the epic,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proved that they did not achieve love in reality, but they achieved love in the otherworld. Thus,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can be seen as gods that comfort the spirits who died young without achieving love. The second was the actual name of “Mungut” left by Lim Seok-jae and Jang Joo-geun. They labeled the ritual procedure, which performed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as “Munduchoendujilgut.” In response,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from the perspective of “Gilgut” beyond “Mungut”. As a result, in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Chukyeongdae confirmed that a new path to Yangsanbaek is set by the power of love. Therefore, the Chukyeongdae was able to become a god connecting the broken road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In short,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is a multi-layered epic about a god who comforts the specter who died young without achieving love and a god who reconnects the broken path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 KCI등재

        서사무가 안동본 <바리데기> 연구

        윤준섭(Yoon, Joon Seob)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8

        본 논문은 해방 이후 최초로 채록된 안동본을 여타의 지역본과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피고, 그 원인을 무속과 불교와의 관계에서 해명했다. 먼저 바리데기가 버려지고 부모가 병에 걸리는 장면을 다른 지역본과 비교하면, 안동본은 가부장제나 남아선호사상에 대한 반성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그 대신 부모가 병든 상황에서 여덟 딸과 바리데기의 행동 대비를 통해 ‘효’를 강조한다. 다음으로 안동본에 불교가 스며드는 양상을 고찰했다. 안동은 제비원 미륵불로 표현되는 불교적 전통과 성주신앙 및 바위신앙으로 표현되는 무속적 전통이 모두 융성했던 지역으로 보인다. 그러나 안동본에는 한 종교의 절대적 우세나, 혹은 두 종교의 대립이 발견되지 않는다. 그 대신 이 둘을 조화하여 겉으로는 바리데기가 망자를 시왕세계로 천도하는 불교적 신이 되지만, 그 이면에는 자매간의 갈등을 통해 효를 환기하는 이야기로 구성됨이 확인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dong version of Princess Bari, the first recorded vers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comparing it with versions from other regions and elucidating its source in relation to shamanism and Buddhism. First, through comparing the scene in which Princess Bari is abandoned and her parents afflicted with illness with that depicted in versions of other regions, this paper found that reflection on the patriarchy and the preference of sons over daughters in the Andong region was unclear. Instead, it found that the Andong version focuses on highlighting the “filial piety” of the other eight daughters in contrast with the youngest daughter, when faced with the illness of their parents. Next, this paper studied the features of the influence of Buddhism in the Andong version. Andong is a region where the Buddhist tradition, in the form of the Jaebiwon Maitreya, and shamanist traditions, manifested in the form of the Sungju faith and rock faith, both flourish. However, in the Andong version, there is neither assertion of the superiority of one religion over the other, nor a conflict between the two religions. Instead, the Andong version unites the two religions. On the surface, Baridegi appears to be a Buddhist god who transfers the dead to the realm of the ten kings, but on the other hand, the Andong version is also a tale of the rousing of filial piety through conflict between sisters.

      • KCI등재

        <도랑선비·청정각시>에 나타난 청정각시 죽음의 의미 -희생제의의 전통과 관련하여-

        윤준섭 ( Yoon Joon-seop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3 No.-

        이 글은 <도랑선비·청정각시>에서 청정각시가 겪는 시련과 죽음의 의미를 희생제의, 열녀담, 연행적 맥락에서 새롭게 이해하고자 했다. 청정각시가 겪는 시련과 죽음은 표면적으로 불교의 화소를 수용한 것이지만, 그 이면에는 열의 추구, 남성지배 질서의 강화라는 유교적 담론이 발견된다. ‘열’이 도덕적 폭력이 되어 청정각시의 신체에 자연스럽게 새겨졌기에 그녀는 자신에게 주어진 시련과 죽음을 당연하게 받아들인 것이다. 나아가 공동체 내에 잠재하던 폭력이 도덕적 폭력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통해 이 무속서사시는 희생제의와 깊은 관련이 있음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청정각시와 조선조 열녀들의 모습을 비교했다. 「열녀편」의 열녀들, 유서를 남기고 떠난 부인들은 모두 남성 지배 사회의 희생양이라는 점에서 청정각시와 닮아 있다. 그녀들은 무속서사시나 관찬서, 그리고 유서 속에서 열을 수호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 존재였다. ‘열’이 비합리적이며 잔혹할지라도 여성들에게 주입이 가능했던 것은 그것이 희생제의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청정각시의 내면을 이 서사시가 연행되는 굿판의 참가자들과 관련지어 이해하고자 했다. 중세의 도덕적 관념이 우선시 되는 「열녀편」, 「유서류」와 달리 <도랑선비·청정각시>는 喜怒哀樂 등 인간의 보편적 정서를 간직한 고대의 무속서사시이다. 청정각시가 시련과 죽음에 자발적으로 임하는 것은 ‘열’이 이로운 폭력이 되어 작용했다고 볼 수 있지만 실상 그 이면에는 도랑선비를 만나고 싶은 청정각시의 바람, 즉 도랑선비에 대한 애정이 자리 잡고 있다. 청정각시의 이러한 심정은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굿판에 모인 참가자들의 마음과 동일하다. 요컨대 청정각시는 소중한 사람을 떠나보내고 그와 재회하고픈 기주와 지인들의 소망이 투영된 신성한 인물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heongjeonggaksi’s ordeal’ and 'death’ in the context of acrifice, discourse of virtuous women(烈女譚), Performance. While the ordeal and death of a “Cheongjeonggaksi” apparently accepted Buddhist motif, there are Confucian discourse on the pursuit of ‘Yeol’ and the reinforcement of male dominion. She took the ordeal and death for granted because ‘Yeol’ became a moral violence and was naturally accepted by her body. Furthermore, the shift from potential violence within the community to moral violence proves that < Dorangseonbi · Cheongjeonggaksi > is deeply related to the offer of sacrifice. Next, we compared the images of Cheongjeonggaksi and Virtuous Women in the Joseon Dynasty. Virtuous Women in < Yeollyeophyeon > and The women who left behind the will are all ‘scapegoat’ of a male-dominated society, which resembles Cheongjeonggaksi. They sacrificed themselves to defend ‘Yeol’ in the shamanism of epic, the book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and the will. Moreover, the remains of a sacrifice offer at discourse of virtuous women are understood to be an example of the transformation of ancient religious communication into medieval ethical communication. Lastly, understanding the inner side of Cheongjeonggaksi with reference to the participants in the Gutpan where the shamanism of epic is taken. Cheongjeonggaksi’s spontaneously participation in ordeal and deaths can be seen as an act of beneficial violence. But behind it lies the affection for Dorangseonbi. This sentiment of Cheongjeonggaksi is the same as that of the participants at Gutpan, who left their loved ones. In short, Cheongjeonggaksi’s story in < Dorangseonbi · Cheongjeonggaksi > express the mind of Kiju(祈主) and acquaintance who left their precious people and expressed their wishes at the Gutpan.

      • <유씨삼대록>의 ‘순씨’ 우행(愚行)에 나타난 웃음의 의미

        윤준섭 ( Yoon Joon-seob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7 동방문학비교연구 Vol.7 No.-

        <유씨삼대록>에서 순씨는 우행을 통해 주변 인물들의 웃음을 유발한다. 유씨 집안 여성들이 순씨를 보고 웃는 것은 따듯한 웃음보다 비웃음에 가까웠다. 그 웃음은 순씨의 외양이나 문화적 취향의 결핍, 투기, 음주 등 부녀자의 덕목위반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순씨는 주변 인물들의 비웃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마음을 자유롭게 표현한다. 그 마음은 남편 유세필을 향한 것이었다. 이 모습은 유교적 예법에 충실하여 자신을 엄숙하게 단속했던 유씨 집안의 여성들과 대비된다. 이 점에서 순씨가 유씨 집안의 여성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는 양상을 다시 볼 수 있다. 순씨는 자신의 본능대로 우행을 저지르지만 유교적 예법에 얽매이지 않는 인물이다. 오히려 유교적 예법에 얽매여 스스로 본성을 억누르는 유씨 집안의 여성들의 삶이 본성에 충실한 순씨의 자유로운 삶과 비교할 때 웃음거리가 된다. Sunssi in < Yussisamdaerok > causes laughter from surrounding characters through a foolish action. It is almost a mockery that the Yu's women laugh at her. This is due to the woman's violation of virtues, such as Sunssi's appearance, a lack of cultural tastes, jealousy, and drinking. But Sunssi expresses her mind freely despite the laughter of people around her. It is directed at her husband Yu Sepil. This contrasts with the Yu's women who control herself, sticking to Confucian etiquette. In this regard, you can reconsider the way in which Yu's women makes a fool of Sunssi. Sunssi is a character who behaves according to her instinct rather than being bound by Confucian etiquette. Rather, the lives of Yu's women, who are bound by Confucian etiquette and restrained themselves, are a laughing matter compared with Sun`s free life, which is faithful to her instinct.

      • KCI등재

        조선 후기 화훼류 우언 〈리국각매문답(籬菊閣梅問答)〉연구 - 우언과 문대를 활용한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

        윤준섭(Yoon, Joon-seob)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리국각매문답(籬菊閣梅問答)>은 안효술이 조인영의 사퇴를 만류하고자 우언과 문대를 활용한 글쓰기 방식을 통해 시중(時中)에 따른 자신의 출처관을 우의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리국각매문답>은 1882년 9월 조인영이 영의정을 사퇴하던 당시에 창작된 것으로 확인된다. 당시 안효술은 영천군수에서 파직되고 간동(諫洞)에서 조은(朝隱)하던 시기였다. 안효술은 <리국각매문답>에서 자신의 뜻을 표현하고자 우언과 문대라는 글쓰기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먼저 <리국각매문답>에서 등장인물은 현실과 관련된 인물이 화훼로 의인화되고, 배경 또한 상징적이며 추상적인 동리와 동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리국각매문답>은 현실의 문제가 허구적으로 읽히는 우의성을 지니게 된다. 한편 <리국각매문답>에는 동리처사와 동각선생이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의론을 전개하는 문대가 발견된다. 그런데 문대는 일반적으로 두 인물 중 한 인물이 절대적인 우위에 서게 되는데<리국각매문답>은 특정한 인물이 절대적 우위를 점하지 않는다. 즉, 동리처사와 동각선생이 서로 공감하고 상대의 잘못된 점을 고쳐준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문대와는 차이가 있다. <리국각매문답>은 우언이나 문대라는 글쓰기 방식을 창조적으로 활용하였지만 작품의 내용은 전통적인 유교적 출처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때 유교적 출처관이란 『주역』에 근거한 ‘시중’에 따른 선비의 출처를 강조하는 것이다. 하지만 안효술은 <리국각매문답>에서 이를 단순한 방식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매화와 국화의 생태적 속성과 그와 관련한 고사를 이용하여 문학적으로 교양 있게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곧 안효술의 <리국각매문답>은 화훼의 생태적 속성을 반영하고 우언과 문대라는 글쓰기 방식을 통해 ‘시중’에 따르는 자신의 출처관을 표현한 작품이다. "Ligukgakmaemundap(籬菊閣梅問答)" was created by Ahn Hyo-sul to dissuade Jo In-young from resigning, and he used the form of the question and the answer[問對] and the allegory[寓言]. At the same time, the work expresses allegorically his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It was confirmed that "Ligukgakmaemundap" was created in September 1882 when Cho In-young resigned from the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領議政], and Ahn Hyo-sul was dismissed from his post as the governor of Yeongcheon-gun[永川郡守] and was in the period when he was in Gandong[諫洞]. Ahn Hyo-sul actively uses the writing style of the allegory and the question and the answer to express his meaning in "Ligukgakmaemundap". First of all, the character of "Ligukgakmaemundap" appears as a personification of a flower related to reality, and the background is also symbolic and abstract set in a Dong-ri and Dong-gak. As a result, "Ligukgakmaemundap" has the right to read the real world"s problems fictitiously. In "Ligukgakmaemundap", there is also a phrase for Dong-ri Cheosa[東籬處士] and Dong-gak Sunsaeng[東閣先生] to ask and answer questions. In general, however, one of the two characters has an absolute advantage, but "Ligukgakmaemundap" does not have an absolute advantage. In other words, Dong-ri Cheosa and Dong-gak Sunsaeng sympathize with each other and correct each other"s mistakes. It differs from the existing the question and the answer. Although "Ligukgakmaemundap" creatively used the writing method that the allegory and the question and the answer,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the work did not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The Confucian viewpoint emphasized the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timely based on "Juyeok(周易)". However, Ahn Hyo-sul simply does not emphasize the Confucian viewpoint in "Ligukgakmaemundap". This is becaus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um and chrysanthemum and related historical events are used to create outstanding literary figures. Ahn Hyo-sul"s "Ligukgakmaemundap" is a work that reflects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and expresses his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based on circumstances through the writing method the allegory and the question and the ans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