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도시근린 보행환경 정비 및 관리 실태 연구 -서울 노원구 거리 환경을 중심으로-

        윤윤정 한국장애인개발원 2020 장애인복지연구 Vol.11 No.2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design evaluation focusing on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local neighborhoo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The neighborhood living area of ​​the city is the main residential environment of local residents and the main settlement environment of urban residents and is the primary street environment experienced by residents and pedestrians.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s of streets that can appear in the neighborhood living area, centering on Nowon-gu, and grasped the actual state of operation and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for each street type.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reet environment tangible and public design facilities were measured through field survey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reet environment of Nowon-gu could be classified into a total of three types: central commercial street, neighborhood commercial street. In common, the basic and essential safety and accessibility of the universal design, and clear pathway is not secured, and the inconsistent arrangement of bicycle paths in the sidewalks caused collisions with the pedestria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ven though legal systems such as the universal design ordinance were established, the professional and technical proficiency was very weak, which could not be realized concretely in the actual street environment.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proposing the direction of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in the Seoul autonomous region. By checking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management by street type in other autonomous districts together with this example of Nowon-gu, it can be used as basic empirical data to prepare a street environment maintenance guide for universal design.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설디자인 도시 조성 관점에서 지역근린 생활권 보행 환경을 중심으로 디자인 평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도시의 근린생활권은 지역 거주민의 주요하면서 도시민의 주요한 정주환경으로 거주민과 보행자들이 경험하는 1차적 거리환경이다. 본 연구는 노원구를 중심으로 근린생활권에서 나타날 수 있는 거리 유형을 파악하고, 거리 유형별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의 운영관리 실태를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장조사를 통한 거리환경 유형화와 공공디자인 시설을 실측하였다. 분석결과 노원구의 거리 환경은 총 세 개 유형(중심상업가로, 근린상업가로, 생활가로)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공통적으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안전과 접근성, 통행로가 확보되지 않았으며, 보도 내 자전거 도로의 일관성 없는 배치는 보행약자와의 충돌을 발생하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조례 등 법제도 수립이 되었음에도 실제 거리환경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지 못하는 전문적이면서 기술적인 숙련도가 매우 취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 자치구 권역에서의 지자체의 거리환경 정비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안한 데 연구 의의가 크다. 본 노원구 사례와 함께 타 자치구 거리유형별 유니버설디자인 관리 실태를 점검함으로써 유니버설 디자인을 지향하는 거리환경 정비 가이드를 마련하는 기초 실증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도시재생 전략으로서 노후 슈퍼블록 유휴 공지의 도시설계적 대안 연구 - 유휴 공지의 임시 활용을 통한 도시성 회복을 중심으로

        윤윤정,이성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urban design alternatives to vacant open spaces in superblock complexes as a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In Seoul metro city in Korea, the superblock complex is one of the superior housing types. Superblock complexes had been constructed as land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large-scale housing supply in the 1980s; however, as time has gone by, the superblock site caused urban decline issues: the lack of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living SOC accessibility. Besides, currently, most of the superblock complexes have deteriorated; the authors try to find urban design alternatives by reusing vacant open spaces, rather than the existing large-scale physical development methods such as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actical urbanism and recovering urbanity, field investigation, interview, and living SOC mapping are implemented; as a result, the types of vacant open spaces are verifie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urban design alternatives are suggested based on a more local urban context. They reflect the demands of modern urban residents to enhance accessibility of neighboring living SOC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회적 변화에 따른 한국 도시 내 전면공지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재해석 - 국내 식품접객업 옥외영업공간의 기능적 분화를 중심으로

        윤윤정(Yun, Yun-J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4

        국내 도시내 식품접객업소의 옥외영업화 경향은 도시민의 옥외 수요 증대, 『식품위생법』 개정을 통한 본격적인 옥외영업 허용 등 사회 및 제도적 변화와 맞물려 있다. 본 연구자는 공적 공간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던 체류 및 휴식활동의 증대, 사회적 교류와 같은 행위가 옥외영업공간과 같은 새로운 비공식적 공공 공간의 출현으로 이러한 행위와 활동을 지원하는 잠재적 장소로서의 부상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주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현대적 공공성의 확대를 사회제도적 변화와 전면공지의 옥외영업 용도로의 확산 경향을 시계열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이용행태의 다양성 변화와 함께 재해석하여 도시 관리적 수단으로서의 ‘공공성’에 대한 발전적 논의를 가능케 하는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옥외영업 활성화에 따른 전면공지의 기능적 변화를 관련 제도와 함께 시계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전면공지의 공익성을 다면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는 도시내 전면공지의 대안적 활용을 위한 관련 법제도 개정 필요성과 함께 현행 식품위생 단속 차원의 행정 지도적 공간의 대상이 아닌 도시설계 및 관리 차원의 대상으로 환원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author pays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at new informal public spaces such as outdoor business spaces in Korean cities emerge as potential places to support increasing staying and relaxing activities, and social changes, having mostly done in public spaces. This study compiles the socio-institutional changes and the emerging trend of allowing public open space for outdoor dining purposes in a time-sequential manner, and reinterprets them along with the changing diversities of user behaviors, and develops an argument about ‘publicness’ as a potential urban management tool. These attempts will be made in the urban design and management-level laws and system regulations along with the necessity of amendment of the relevant legal system for alternative use of the level of publicity.

      • KCI등재

        In Vitro Metabolism of a New Cardioprotective Agent, KR-33028 in the Human Liver Microsomes and Cryopreserved Human Hepatocytes

        김효진,윤윤정,김현미,차은영,이혜석,김정한,이규양,이석영,천혜경,유성은,이상섭,신재국,류광현 대한약학회 2005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28 No.11

        KR-33028 (N-[4-cyano-benzo[b]thiophene-2-carbonyl]guanidine) is a new cardioprotective agent for preventing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etabolic pathway of KR-33028 in human liver microsomes and to compare its metabolism with that of cryopreserved human hepatocytes. Human liver microsomal incubation of KR-33028 in the presence of NADPH and UDPGA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four metabolites, M1, M2, M3, and M4. M1 and M2 were identified as 5-hydroxy-KR-33028 and 7-hydroxy-KR-33028,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LC/MS/MS analysis with the synthesized authentic standard. M3 and M4 were suggested to be dihydroxy-KR-33028 and hydroxy-KR-33028-glucuronide, respectively. Metabolism of KR-33028 in cryopreserved human hepatocytes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M1, M2, and M4. These data show a good correlation between major metabolites formed in human liver microsomes and cryopreserved human hepatocytes. In addition, KR- 33028 was found to inhibit moderately the metabolism of CYP1A2 substrat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metabolic pathway of KR-33028 is proposed.

      • KCI등재

        도시 근린생활권의 공공디자인 적주성(適住性)지표에 관한 연구

        윤정우(Jeong Woo Yoon),윤윤정(Yun Jung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도시 근린생활권의 적주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공 공간 및 공공시설 정비에 활용할 수 있는 적주성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린생활권과 공공 공간, 적주성과 공공디자인과의 관계에 대하여 의미를 고찰하고, 공공디자인 적주성 지표 개발을 위한 기존 유사 지표들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공공디자인 적주성 지표를 쾌적성, 편의성, 사회성, 지속성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공공디자인 대상별로 상대적으로 중요시되어야 할 지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린생활권내에 설치되는 공공 공간 및 시설별로 상대적으로 우위에 두어야 할 적주성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공공디자인 대상 및 시설별로 적주성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공간 및 시설의 특성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린생활권 내 공공 공간과 공공시설은 주민들의 적주성을 지원하는 시설로 필수적으로 정비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으나 공간 및 시설의 특성에 따라 중점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세부적 항목의 내용은 다르게 나타났다. 적주성 지표의 활용방안으로써 공공디자인 정비 가이드라인(체크리스트)을 예시적으로 제안하였다. Neighborhood livability in urban areas can bemeasured by the quality of life residents receive andpublic welfare, which in turn are influenced by thequality of physical facility design and urban openspaces. These concerns are usually managed under thefield of public design in Korea. To further develop theseideas, the study aims to find public design factors thatsupport neighborhood livability and to develop livabilityindicators in neighborhood public design. To specify theconceptual relationship among neighborhood, livability, public design, the author implemented detailedreviewing on the neighborhood public spaces and thevalue of public design in terms of supportingneighborhood livabilityThrough detailed research on conceptually similarindicators, final four public design indicators - amenity, convenience, sociability and sustainability - weredeveloped to evaluate neighborhood livability. Usingthese indicators, a survey of expert opinions was drawnup to decide relative priority between livabilityindicators for neighborhood public design facilities andspaces. From the relative priority score of livabilityindicators, the author found two valuable implications. First, the livability indicator`s relative priority varies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facilities and spaces. In the pedestrian street, theamenity score came out higher than other indicators. On the other hand, the score of convenience andsociability are higher for parks like neighborhoodsmall-scale park and children`s park. Secondly, therelative priority scores of livability indicators did notalways come out high. In the case of pocket spaces andsmall-scale architecture in urban neighborhoods, thescores were lower overall than those for streetenvironments and parks. These lower scores indicatethat pocket spaces and small-scale architecture tend toplay auxiliary roles in urban neighborhood livabi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specific and detailedmanagement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neighborhood public design facilities and spaces shouldbe encouraged to enhance and deliver neighborhoodliv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