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변화에 따른 한국 도시 내 전면공지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재해석 - 국내 식품접객업 옥외영업공간의 기능적 분화를 중심으로

        윤윤정(Yun, Yun-J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4

        국내 도시내 식품접객업소의 옥외영업화 경향은 도시민의 옥외 수요 증대, 『식품위생법』 개정을 통한 본격적인 옥외영업 허용 등 사회 및 제도적 변화와 맞물려 있다. 본 연구자는 공적 공간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던 체류 및 휴식활동의 증대, 사회적 교류와 같은 행위가 옥외영업공간과 같은 새로운 비공식적 공공 공간의 출현으로 이러한 행위와 활동을 지원하는 잠재적 장소로서의 부상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주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현대적 공공성의 확대를 사회제도적 변화와 전면공지의 옥외영업 용도로의 확산 경향을 시계열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이용행태의 다양성 변화와 함께 재해석하여 도시 관리적 수단으로서의 ‘공공성’에 대한 발전적 논의를 가능케 하는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옥외영업 활성화에 따른 전면공지의 기능적 변화를 관련 제도와 함께 시계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전면공지의 공익성을 다면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는 도시내 전면공지의 대안적 활용을 위한 관련 법제도 개정 필요성과 함께 현행 식품위생 단속 차원의 행정 지도적 공간의 대상이 아닌 도시설계 및 관리 차원의 대상으로 환원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author pays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at new informal public spaces such as outdoor business spaces in Korean cities emerge as potential places to support increasing staying and relaxing activities, and social changes, having mostly done in public spaces. This study compiles the socio-institutional changes and the emerging trend of allowing public open space for outdoor dining purposes in a time-sequential manner, and reinterprets them along with the changing diversities of user behaviors, and develops an argument about ‘publicness’ as a potential urban management tool. These attempts will be made in the urban design and management-level laws and system regulations along with the necessity of amendment of the relevant legal system for alternative use of the level of public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도시 근린생활권의 공공디자인 적주성(適住性)지표에 관한 연구

        윤정우(Jeong Woo Yoon),윤윤정(Yun Jung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도시 근린생활권의 적주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공 공간 및 공공시설 정비에 활용할 수 있는 적주성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린생활권과 공공 공간, 적주성과 공공디자인과의 관계에 대하여 의미를 고찰하고, 공공디자인 적주성 지표 개발을 위한 기존 유사 지표들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공공디자인 적주성 지표를 쾌적성, 편의성, 사회성, 지속성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공공디자인 대상별로 상대적으로 중요시되어야 할 지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린생활권내에 설치되는 공공 공간 및 시설별로 상대적으로 우위에 두어야 할 적주성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공공디자인 대상 및 시설별로 적주성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공간 및 시설의 특성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린생활권 내 공공 공간과 공공시설은 주민들의 적주성을 지원하는 시설로 필수적으로 정비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으나 공간 및 시설의 특성에 따라 중점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세부적 항목의 내용은 다르게 나타났다. 적주성 지표의 활용방안으로써 공공디자인 정비 가이드라인(체크리스트)을 예시적으로 제안하였다. Neighborhood livability in urban areas can bemeasured by the quality of life residents receive andpublic welfare, which in turn are influenced by thequality of physical facility design and urban openspaces. These concerns are usually managed under thefield of public design in Korea. To further develop theseideas, the study aims to find public design factors thatsupport neighborhood livability and to develop livabilityindicators in neighborhood public design. To specify theconceptual relationship among neighborhood, livability, public design, the author implemented detailedreviewing on the neighborhood public spaces and thevalue of public design in terms of supportingneighborhood livabilityThrough detailed research on conceptually similarindicators, final four public design indicators - amenity, convenience, sociability and sustainability - weredeveloped to evaluate neighborhood livability. Usingthese indicators, a survey of expert opinions was drawnup to decide relative priority between livabilityindicators for neighborhood public design facilities andspaces. From the relative priority score of livabilityindicators, the author found two valuable implications. First, the livability indicator`s relative priority varies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facilities and spaces. In the pedestrian street, theamenity score came out higher than other indicators. On the other hand, the score of convenience andsociability are higher for parks like neighborhoodsmall-scale park and children`s park. Secondly, therelative priority scores of livability indicators did notalways come out high. In the case of pocket spaces andsmall-scale architecture in urban neighborhoods, thescores were lower overall than those for streetenvironments and parks. These lower scores indicatethat pocket spaces and small-scale architecture tend toplay auxiliary roles in urban neighborhood livabi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specific and detailedmanagement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neighborhood public design facilities and spaces shouldbe encouraged to enhance and deliver neighborhoodliv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