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층주거지 주민의 공공공간이용과 커뮤니티의식 상관관계 연구

        윤정우(Yoon, Jeong W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저층주거지의 공공공간이 중요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는 수많은 기존연구와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제 지역 및 공공공간 환경이 주민의 삶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 주민들이 어떻게 공간을 사용하고 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서울의 저층주거지역과 그 곳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람들이 실제로 공공공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사용하고 있는지 공공공간에 대하여 원하고 기대하는 역할은 무엇인지를 밝혀냄으로서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저층주거지 공공공간에 대한 환경인식 및 이용행태, 이웃간 관계에 대하여 주민 설문조사 총 348부와 면접 조사 26명의 정성적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들은 공공공간별로 다른 기준을 지니고 있다. 골목길은 ‘지역의 특색/관리’, 주민센터는 ‘녹화/관리/접근성’, 초등학교는 ‘안전 관리/접근성/시야개방성/소속’ 놀이터 및 공원은 ‘관리/시야 개방성/접근성/시설/녹화’를 들 수 있다. 둘째, ‘일정한 시간, 규칙적 방문, 개인목적을 위한 선택적 활동’을 통한 ‘마주침’을 통해 이웃관계가 발전하게 된다. 셋째, 이웃교류요인과 놀이터 및 공원 이용빈도간의 상관관계가 높다. 넷째, 공공공간에 대한 주민의 선호도와 기대요소가 다르다. Despite public spaces of low-rise residential are important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numerous previous studies, there are not Clearly known that the public spaces of low-rise residential are how to play a role in the life and the residents are how to use the public spaces. This study analyzed such limitations as what is the role that public space are actually perceived and used in low-rise residence. The analyzed Qualitative data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s for the public space is a total of 348 surveys and 26 interviews about low-rise residential usage patterns and environmental awareness, social interaction among the neighborhood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residents may have different criteria for each public space. Alleys ar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 management’, the community center is ‘Natural / Management / Accessibility’, primary schools are ‘Safety Management / Access / View / Belong’, playgrounds and parks are ‘Management / Viewing Openness / Accessibility / Facilities / Natural’. Second, the neighbor relationships developed through ‘Facing’ with ‘regular time, regular visits, optional activities for personal purposes’. Third,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 of Social Interaction among the neighborhood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arks and playgrounds. Fourth, there are the different elements between of the preferences of the public spaces and expectations of citizens.

      • 다중 태그 IoT 주변 후방산란 통신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실험

        윤정우(Jeong Woo Yoon),정기(Gi Yun Jeong),이소영(So Young Lee),김수민(Su Min K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본 논문은 IoT 주변후방산란 통신 환경에서 다중태그를 사용했을 경우 단일 수신기에서의 무선신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USRP를 이용하여 주변 후방산란 통신 환경을 구축하고, 다중 태그의 랜덤 전송과 협력 전송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다수 태그가 동일한 신호를 보낼 경우, 태그의 개수에 비례하여 평균 수신전력이 높아져서 랜덤 전송 대비 협력 전송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중 태그 주변 후방산란 통신시스템의 지능적인 전송 패턴 설계와 수신기에서 디코딩 기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도시 근린생활권의 공공디자인 적주성(適住性)지표에 관한 연구

        윤정우(Jeong Woo Yoon),윤정(Yun Jung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도시 근린생활권의 적주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공 공간 및 공공시설 정비에 활용할 수 있는 적주성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린생활권과 공공 공간, 적주성과 공공디자인과의 관계에 대하여 의미를 고찰하고, 공공디자인 적주성 지표 개발을 위한 기존 유사 지표들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공공디자인 적주성 지표를 쾌적성, 편의성, 사회성, 지속성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공공디자인 대상별로 상대적으로 중요시되어야 할 지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린생활권내에 설치되는 공공 공간 및 시설별로 상대적으로 우위에 두어야 할 적주성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공공디자인 대상 및 시설별로 적주성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공간 및 시설의 특성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린생활권 내 공공 공간과 공공시설은 주민들의 적주성을 지원하는 시설로 필수적으로 정비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으나 공간 및 시설의 특성에 따라 중점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세부적 항목의 내용은 다르게 나타났다. 적주성 지표의 활용방안으로써 공공디자인 정비 가이드라인(체크리스트)을 예시적으로 제안하였다. Neighborhood livability in urban areas can bemeasured by the quality of life residents receive andpublic welfare, which in turn are influenced by thequality of physical facility design and urban openspaces. These concerns are usually managed under thefield of public design in Korea. To further develop theseideas, the study aims to find public design factors thatsupport neighborhood livability and to develop livabilityindicators in neighborhood public design. To specify theconceptual relationship among neighborhood, livability, public design, the author implemented detailedreviewing on the neighborhood public spaces and thevalue of public design in terms of supportingneighborhood livabilityThrough detailed research on conceptually similarindicators, final four public design indicators - amenity, convenience, sociability and sustainability - weredeveloped to evaluate neighborhood livability. Usingthese indicators, a survey of expert opinions was drawnup to decide relative priority between livabilityindicators for neighborhood public design facilities andspaces. From the relative priority score of livabilityindicators, the author found two valuable implications. First, the livability indicator`s relative priority varies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facilities and spaces. In the pedestrian street, theamenity score came out higher than other indicators. On the other hand, the score of convenience andsociability are higher for parks like neighborhoodsmall-scale park and children`s park. Secondly, therelative priority scores of livability indicators did notalways come out high. In the case of pocket spaces andsmall-scale architecture in urban neighborhoods, thescores were lower overall than those for streetenvironments and parks. These lower scores indicatethat pocket spaces and small-scale architecture tend toplay auxiliary roles in urban neighborhood livabi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specific and detailedmanagement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neighborhood public design facilities and spaces shouldbe encouraged to enhance and deliver neighborhoodlivability.

      • KCI등재

        신도시 보행자 전용도로의 디자인 및 이용 현황 연구

        윤정우(Jeong Woo Yoon),서연(Seo Yeon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1기 신도시 보행자 전용도로의 물리적 현황 디자인과 이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이용행위를 관찰하여 지역별로 비교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각 지역별로 특성을 도출하고 도시설계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계획요소와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분당과 평촌의 중심상업지구 내 보행자 전용도로이며, 결론으로 제안한 차후 보행자 전용도로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요소와 디자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적 특성과 이용자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용자 특화된 거리를 조성하여야한다. 평촌의 경우, 구도심에학원가가 조성되어져 있어 신도시가 조성된 후에도 중심상업지구에서 10대 청소년을 많이 관찰할 수 있었으며 10대를 겨냥한 상업시설이 형성되어 있다. 둘째, 노상점포의 분포가 보행자의 이용행위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노상점포의 수와 밀도가 높을 경우 보행자의 이동속도가 늦어지고 주변상가이용도더욱 활발하였다. 셋째, 중심상업지구 내에 위치한 관공서-분당구청과 안양시청-는 오히려 보행자의 흥미를 저하시키는 요소로써 보행량을 떨어지게 하는 요인이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우리나라 초창기 신도시의 보행자 전용도로 상황을 20년이 지난 현재 상황에서 재검토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observed the design of physical present condition of exclusive pedestrian roads in first period of New town and the act of utilization of the pedestrians, and compares and analyse them by districts. After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on-site pedestrian road, this study suggests the elements to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design, planning and direction. The site of this study is pedestrian roads with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of Bundang and Pyeongchon. The results as planning elements and vision are, first, exclusive pedestrian roads should be developed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and the pedestrians of the district. In case of Pyeongchon, an institution street was located in old towns therefore plenty of teens are still observed in central business district even after New town was built. In addition, commercial buildings aimed for teens are developed in the New town. Second,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are showed, due to street vendor distribution. If the number and density of street vendors are high, pedestrians speed is slow and visits more to commercial. Third, government office-Bundang and Anyang ward office-within the Central busines district is a factor that let pedestrians`` interests fall, and decreases the volume of pedestrians. This study can be found as significant in terms of reconsideration of the status of the pedestrian roads that were composed in early 1990s, in a current situation, 21st century.

      • KCI등재

        자질기반 감성분석 모델 학습을 위한 주석데이터셋 FeSAD 구축 방법론

        윤정우 ( Yoon Jeong-woo ),남지순 ( Nam Jee-sun ) 한국현대언어학회 2021 언어연구 Vol.37 No.3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FeSAD (Feature-Sentiment-Annotated Dataset) based on the Semi-automatic Propagation methodology (SSP), which aims for Korean FbSA (Feature-based Sentiment Analysis). FeSAD was constructed by a 2-step annotation process: the SSP methodology is applied first, and then human annotators revise the annotated results. The linguistic resources for SSP consist of the LGG (Local Grammar Graph) patterns and the DECO (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een) Korean machine-readable dictionari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SSP-based approach with Cosmetics and Food domain texts. The result shows 0.93 and 0.90 F1-score for each domain, which reveals that the SSP-based approach could reduce the amount of the human annotators’ task by under 10%.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