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주지역에서 식물제제에 의한 급성 간손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천우정(Woo Jung Chun),윤병구(Byung Gu Yoon),김남일(Nam Il Kim),이구(Goo Lee),양창헌(Chang Heon Yang),이창우(Chang Woo Lee),서정일(Jeong Ill Suh)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2

        배경: B형 간염 백신의 도입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간손상은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반면에 식물제제나 건강식품에 의한 약인성 간손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급성 간손상에 대한 일치된 진단방법과 원인평가의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경주 인근지역의 급성 간손상의 분포와 특성, 식물제제에 의한 급성 간손상의 빈도와 원인물질, 임상양상 등을 알아보고, 원인평가기준으로 제시된 CIOMS 진단점수표와 Maria & Victorino 진단점수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4월부터 2001년 3월까지 급성 간손상으로 동국대 경주병원에 입원한 150예의 환자 중에서 이전 간질환의 병력이나 상습적인 음주력, 대사성 간질환 및 간담도 질환, 바이러스성 간염과 자가면역성 간염을 제외한 7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명확한 약제의 복용력이 있으면서 ALT, ALP, Total bilirubin 중 한 가지 이상이 정상범위 상한의 2배(2N) 이상이며, 약제복용 중단후 특별한 치료없이 간검사가 정상으로 회복된 경우만을 대상으로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예에 대해 복용약제, 간손상의 양상, 약제 중단 후 회복기간, 음주력, 다른 간담도질환의 존재 여부, 의심되는 약제의 재투여 여부, 바이러스성 간염 표지자, AST, ALT, TB, ALP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각 예를 식물제제에 의한 군과 양약제에 의한 군으로 구분하여 두 군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CIOMS 진단 점수표와 M&V 진단 점수표의 유용성과 일치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4년 동안 급성 간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는 150예였고, 그 중 약인성 간손상이 78예(52.0%)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원인약제로는 양약이 39예(50.0%)였으며, 식물제제와 건강식품 또한 39예(50.0%)였다. 그 중 한약제가 23예(58.9%)였고, 환약 5예(12.8%), 인진쑥 3예(7.7%), 사슴 액기스 3예(7.7%), 키토산이 2예(5.1%), 호박소주, 잉어, 풀뿌리 등이 각 1예(2.6%)였다. 간손상의 양상은 간세포성 간손상이 48예(61.5%)로 가장 많았고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 CIOMS와 M&V 진단점수표 간에 등급이 일치하는 경우는 2예(2.6%)에 불과하여 kappa값을 이용한 카이제곱 검정으로 계산이 되지 않을 만큼 매우 낮은 일치율을 보였다. 결론: 급성 간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들에게서 약인성 간손상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그 중 식물제제에 의한 간손상의 비중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손상의 가능성이 있는 양약제 및 식물제제의 무분별한 남용에 대해 사회적 경각심을 고취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식물제제에 의한 간손상의 빈도가 높은 한국적 특성에 맞는 새로운 진단 점수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acute viral liver injury is decreasing, but drug induced liver injury by herbal medicine and health foods is on an increasing trend after introduction of vaccination. Nevertheless, there is no consensus of diagnostic method and causality assessment for acute liver injury. Therefore, the cause, clinical features, prevalence and pattern of acute liver injury caused by herbal medicine and health foods in Gyeongju area were analyzed. Moreover, Counci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Medical Science (CIOMS) scale and Maria and Victorino (M&V) scale, clinical scales for causality assessment in hepatotoxicity were compared. Methods: 78 patients in whom there was definite evidence of taking medicine and there was one more increase of over 2N (upper limit of the normal range) in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or total bilirubin (TB) or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self-remitted after drug stop were selected excluding patients with previous liver disease history and history of alcohol, metabolic liver disease and hapatobiliary disease and viral, autoimmune, unknown origin hepatitis among 150 patients of admission due to acute liver injury, from April 1997 to March 2001. Each case was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about taken medicine, the pattern of liver injury, recovery period after drug stop, history of alcohol, other hepatobiliary disease, pregnancy, recent hypotension, rechallenge and viral markers of hepatitis,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T, TB, ALP. Also, herb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groups were compared and consistency with CIOMS scale and M&V scale were investigated. Results: For four years, among 150 cases, drug-induced liver injury were 78 cases (52.0%), occurred the highest prevalence. In taken medicine, western medicine were 39 cases (50.0%), herbal medicine and health foods were 39 cases (50.0%), too. Among those cases, herbal medication were 23 cases (58.9%), pellet 5 cases (12.8%), In-jin-ssuk 3 cases (7.7%), deer extract 3 cases (7.7%), kitosan 2 cases (5%) and pumpkin extract, carp, plant roots was 1 case (2.5%) respectively. In the pattern of liver injury, hepatocellular liver injury were 48 cases (61.5%), occurred the highest prevalence. Between CIOMS and M&V scale, best correlation were only 2 cases (2.6%), therefore, their agreement was very low.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drug induced liver injury is on an increasing trend in Gyeongju area and acute liver injury caused by herbal medicine and health foods had very high incidence was ascertained. Therefore, we should attend to indiscreet use of herbal medicine and health foods and should give a warning to our society. And a new clinical scale suitable for characteristic of our country that had high prevalence of liver injury caused by herbal medicine and health food is needed. (Korean J Med 63:141-150, 2002)

      • 고빌리루빈혈증을 동반한 자가면역성 간염 1례

        서영범,김성욱,장재식,강혁주,이중현,윤병구,김욱년,이광헌,이구,유석동,양창헌,이정호,이영현,이창우,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자가면역성 간염은 대개 만성 경과를 가지며, 혈중 자가면역항체와 혈청 글로불린치의 상승, 그리고 조직학적으로 괴사 염증성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아직 정확한 병인이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발병연령은 대개 젊은 영자(15-25세)에서 호발한다. 이 질환은 급성 간염의 임상경과를 보일 수 있으나, 심한 급성 간염이나 전격성 간염으로도 나타날 수 있는데, 이 경우 아주 나쁜 예후를 보인다고 한다. 치료는 자가면역성 간염 임상 경과의 다양성이나 병인, 병리기전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대개 steroid 치료에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개 80%의 관해율을 나타내며 궁극적으로 간경변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자들은 58세 남자에서 발생한 급성의 경과를 가지고 심한 황달을 동반한 자가면역성 간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utoimmune hepatitis (AIH) is a chronic necroinflammatory liver disorder of unknown cause associated with circulating autoantibodies and a high serum globulin level. The age of onset of AIH show a peak between the age of 15 and 25 years. AIH can develop and be manifested as acute hepatitis, but severe form of acute hepatitis or fulminant hepatic failure has a poor prognosis. Although AIH is likely to progress from chronic active hepatitis to cirrhosis, steroid therapy can control the disease activity, prolong surviva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and defer liver transplantation. In the present report we describe a 58-year-old man who admitted because of progressive jaundice and fatigue. He was diagnosed with AIH from laboratory test result showing positivity for antinuclear antibodies, anti-smooth muscle antibodies, and negativity for hepatitis viral markers and from liver biopsy. Steroid therapy, oral administration of prednisolon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ver function test. Following liver biopsy 6 months after onset shows markedly improved necroinflammatory activity.

      •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치험한 식도 과립상 세포종 1례

        강혁주,김성욱,최석진,이중현,장재식,서영범,윤병구,박건욱,김성자,김용섭,강승완,이구,양창헌,이창우,김욱년,이광헌,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과립상 세포종은 Schwann 세포 기원으로 생각되며 인체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한다. 과립상 세포종은 전신 어느 곳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주로 혀, 구강, 피부 혹은 유방 등에서 호발하며 드물게 위장관에서 발견된다. 위장관에서는 식도에서 가장 호발하며 다음으로 위, 대장 순이다. 과립상 세포종은 대부분, 특히 위장관에서는 양성이며 소수의 악성 병변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수술 전의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립상 세포종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술이다. 최근에 시도되는 치료방법들로는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 용종절제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등이 있다. 저자들은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식도 과립상 세포종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현재 재발없이 경과 관찰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s, which occur infrequently, are probably of Schwann cell origin. They can occur almost anywhere in the body but usually affect the tongue, oral cavity, skin, or breasts and are rare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The esophagus is the most frequent gastrointestinal site, followed by the stomach and the colon. Granular cell tumors are generally benign, especi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ome malignant lesions have been reported. For this reason, and also because preoperative diagnosis is difficult, the standard treatment for granular cell tumor has until now been surgical excision. In recent years, other therapeutic methods is endoscopic laser therapy (ELT), polypectiom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granular cell tumor which was diagnosed by an endoscopy and managed us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

      • 위장에 직접 침범한 점액성 유두종양 1예

        박재석,손석만,정소연,윤병구,이재욱,김남일,양창헌,이창우,서정일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췌장의 점액성 유두종양(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은 췌관을 따라서 원주양 세포들이 유두상 증식을 하여 점액을 과다하게 분비하여 췌관의 폐쇄와 함께 확장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화장된 유두 개구부에서의 다량의 점액분비와 췌관내 충만결손을 포함한 췌관의 확장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 질환이다. 침윤성 점액성 유두종양에 대한 보고는 주로 췌장실질 조직으로 침윤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광범위한 국소침윤으로 인하여 주위장기로의 침범이 보고된 경우는 드물다. 췌장의 정맥성 유두종양이 위의 기저부로 직접침범을 해서 위장의 종괴처럼 나타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IPMT) of the pancreas are characterized by intraductal papillary epithelial growth and hypersecretion of thick mucin and obstruction and dilation of pancreatic duct. It is also characterized by abundent mucin at the opening of papilla and filling defect and dilatation in pancreatic dud. Invasive IPMT, direct invasion to panceas parenchyme has been reported in only a few cases, and we report a case of IPMT directly invading in the fund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