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부정적 경험이 우울증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윤나리,하은혜 한국발달지원학회 2019 발달지원연구 Vol.8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in variables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in order to effect of adverse experiences on adolescent 's mental health. The survey subjects were 7,962 youth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n 2016, 3,741 middle school students and 4,221 high school stud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irst,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iendship,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tatic correlation with family function and residence safety. Second, the greater the number of negative experiences experienced in the ecological system, the greater the impact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Third, the ecological system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depression of adolescents was school factor (friendship) among micro system variables, and suicide thought was family factor (abuse) among micro system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necessity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여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부정적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증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주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조사대상은 2016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7,962명으로 중학생 3741명, 고등학생 4,221명이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생태체계 이론에 기반 하여 개인체계,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우울증과 자살생각의 변량분석을 추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 자살생각은 친구관계, 차별경험과 정적상관을, 가정기능, 거주지 안전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생태체계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경험의 수가 많을수록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주변 환경에서 겪는 부정적 경험들이 많을수록 우울증, 자살생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청소년의 우울증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은 미시체계 변인 중 학교요인(친구관계)이었고 자살생각은 미시체계 변인 중 가족요인(학대)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원인 불명의 가역성 반무도증 1예

        윤나리,최정란,심병주,강현희,김영수,윤선애,김영주,박정욱,김영옥 대한신장학회 2006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5 No.5

        Uremic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HD) therapy are prone to develop encephalopathy, but the cause is often unclear. Clinical signs of encephalopathy in the uremic patient often overlap with several other affections causing neurological disorders. Chorea or hemichorea occurs very rare, when basal ganglia are injured in HD patients. We hereby report a case of hemichorea of unknown cause in a hemodialysis patients. A 57-year-old diabetic HD patient was presented with sudden onset of right hemichorea. We could not find causes of hemichorea such as hyperglycemia, hepatic failure, drug, hyponatremia, and thiamine deficiency. T1-weighted MRI demonstrated hyperintense lesion limited to the left basal ganglion. Hemichorea disappeared completely 6 months after the onset with support care.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신부전증 환자는 다양한 뇌병증에 의한 임상증세가 잘 나타난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뇌병증의 원인은 대개 불분명하며 증세 또한 다양하여 다른 신경학적 질환과의 감별을 요한다. 혈액투석 요법 혹은 신부전증과 관련된 뇌병증으로 현재까지 밝혀져 있는 질환으로는 요독성 뇌병증, 투석불균형증후군, 투석 치매 (dialysis dementia) 등이 있다1, 2). 뇌병증의 일종인 무도증은 사지의 세밀한 불규칙한 불수의 운동이 다양하게 반복되는 것으로 얼굴을 찡그리거나 혀의 움직임을 동반하며 얼굴-손-발-혀 따위가 뜻대로 되지 않고 저절로 심하게 움직여, 마치 춤을 추는 듯한 모습이 되는 질환이다3-5). 유전적 소인이 아닌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무도증의 원인은 대개 불분명하나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원인으로는 뇌혈관질환 혹은 혈관염, 저산소증, haloperidol이나 methyldopa 등의 약물, 전신성홍반성낭창 등의 류마티스질환, 일산화탄소 증독, 고열을 동반한 감염성질환, 대사성질환 등이 있다6-9). 대사성 질환의 원인으로는 고혈당, 저나트륨혈증, 간성 혼수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6) 드물게 요독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11). 요독증 환자에서 무도증의 발생기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일부에서는 티아민 결핍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0, 11). 저자들은 최근 당뇨병성 말기신부전증으로 지속적인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에서 원인불명의 가역성 반무도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의 신개념 유지 방식: Fiber post의 설측 수평 삽입에 의한 유지력 보완

        윤나리,이성복,이석원,안수진,박수정,Yoon, Na Ree,Lee, Richard sungbok,Lee, Suk Won,Ahn, Su Jin,Park, Su J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1

        The retaining methods of implant prosthesis were classified into a screw-retained and a cement-retained type. A screw-retained prosthesis has many advantages, such as retrievability, preventing residual cement, while their disadvantages include the possibility of screw loosening and fracture, on the contrary advantages of cement-retained prosthesis are relatively low cost, but they are difficult to retrieve.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both type,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SCRP) type have been introduced. But they still require ideal implant placement. So we introduce fiber post retained prosthesis without residual cement for preventing soft tissue trouble due to excessive cement.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부정적 경험의 중복과 정서문제, 행동문제 및 학교생활과의 관계

        윤나리,하은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21 놀이치료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ultiple adverse experienc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08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2017 panel survey. Results of the study First, 68.0%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ported at least one negative experience, 68.6%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63.4%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y were classified into a no experience group, a single experience group, and a multiple experience group. Thir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differences in school life by group, it was found that the multiple experiences group ha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on and stress, experienced more running away, and had more suicidal thoughts. Fourth, the mor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t belongs to a multipl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개인정보자기결정권침해소송에서의 위법성의 증명책임-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 12. 13. 선고 2016가소5944347사건을 중심으로 -

        윤나리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연구 Vol.60 No.3

        지금껏 국내 법조계는 실무가와 이론가가 각각 별개의 세상에서 살아왔다. 실무가들은 마치 야전 사령관처럼 눈앞에 닥치는 각종 사건들을 제때 처리하기에 급급해 학문적, 논리적 근거 없이 막연한 직업적 직관에 의존해 사건을 처리해 왔고 이론가들 또한 그들만의 세상에서 실제 적용될 가능성이 거의 없는 학문적 성과들을 쌓아왔다. 필자는 실무가로 지낸 15년의 세월 동안 이러한 상황, 특히 법관들이 막연한 직관에 따라 중요한 쟁점들을 축소해서 넘어가는 상황이 안타깝기도 하고 위험해보이기도 하였다. 재판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많은 직관적 판단들 중 어떤 부분은 좀 더 명확히 쟁점으로 부각되어 학문과 이성의 불빛이 비추어져야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실제 진행되었던 재판을 대상으로 재판과정에서 부각되지는 않았으나 재판의 승패를 좌우했던 숨은 쟁점을 드러내어 이 쟁점을 기존의 학문적 성과들에 비추어 보고 그럴 경우 결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는 보여주고자 한다. 이 사건 소송의 재판부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침해를 이유로 한 손해배상을 구하는 사건에서 원고들이 위법성에 대한 증명책임을 다하지 못하였다며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사건의 진행경과에 비추어 보면 이러한 결론에 이르기 위해서는 재판부가 위법성에 대한 증명책임이 전적으로 원고들에게 있다는 중간판단을 묵시적으로 내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판부의 판단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권리성, 권리침해와 위법성의 관계, 증명책임의 전환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 성과들을 검토해 보았더라면 달라졌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불법행위소송의 요건인 위법성의 유래를 검토함으로서 권리침해는 위법성을 징표하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라는 점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증명책임 일반에 대해 논의한 후 원고들이 침해당했다고 주장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헌법상 기본권인 동시에 실정법에 근거한 권리라는 점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원고들이 자신들의 권리가 침해되었다는 점을 충분히 주장, 입증하였으므로 위법성에 대한 주관적 증명책임이 전환되어 피고가 스스로 자신들의 행위가 적법한 것임을 입증해야하고 이를 다하지 못하면 패소의 부담을 얻는다는 결론에 이를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실질적인 증거들을 모두 지배하고 있는 피고의 입증방해, 통신자료제공요청제도에 대한 권력적 통제의 필요성 등 증명책임분배에 관한 현대적 요소들을 고려해 보아도 마찬가지라는 점 역시 덧붙일 것이다.

      • 여대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애착과 이원적 자아존중감의 경로분석

        윤나리,하은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19 兒童硏究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애착의 하위요인과 이원적 자아존중감의 구 조적인 경로를 탐색하였다. 조사대상은 여자대학생 143명이며 SPSS 18.0과 AMO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 자아 존중감 긍정과 부정,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이 대학생활 적응 하위요인 중 대인관 계에 직접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 긍정을 통해 간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회피애착 은 대학생활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와 학업활동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 긍 정은 대학생활 적응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와 학업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 부정은 학업활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사항,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필 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pathways of adult attachment and dual self – esteem affecting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ubjects were 143 female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2.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ub – factors of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affirmative and negative self - esteem,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cond, when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nxiety attachment, they had direct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ositive self - 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cademic activities. Third, the avoidance attachmen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It affect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cademic activities through the affirmation of self - esteem, and negatively affects the academic activities when self - esteem is negativ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negative effect of self - esteem o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limitations of research, and necessity for follow - 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야외공간을 가진 갤러리 특징에 관한 연구

        윤나리,윤선영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2 전시디자인연구 Vol.19 No.1

        Due to the increase in interest in art works, the number of gallery visitors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space of the gallery is gradually becoming a complex cultural space.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preference for outdoor spaces continues, but outdoor spaces are not often used in galleries where commercial purposes are the main.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outdoor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llery by analyzing the cases of four galleries with outdoor spaces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our galleries with outdoor spaces, including the layout, components, usage, functions, and roles of outdoor spaces, the outdoor space of the gallery mainly has a function of relaxation and is used as an exhibition space for special events such as exhibition open parties and artist talks. Although it had only a function of relaxation or an element of prospect that was not linked to the exhibition, it had a closed character compared to public art museum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outdoor spaces, not limited to indoor spaces, can show professionalism through exhibition linkage, establish gallery identity through various services, and increase the frequency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미술작품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갤러리 방문객은 급속하게 증가했으며 갤러리의 공간도 점차 복합문화공간화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야외공간에 대한 선호도는 계속되고 있으나 상업적 목적이 주가 되는 갤러리에서는 야외공간을 활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야외공간을 가진 갤러리 4곳의 사례를 분석하여 야외공간의 기능과 갤러리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야외공간의 배치형태, 구성요소, 사용현황, 기능 및 역할과 더불어 야외공간의 접근성, 서비스, 전시 연계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갤러리의 야외공간은 주로 휴식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전시 오픈 파티와 아티스트 토크 같은 특별한 행사에 활용되거나 야외에 설치가 가능한 작품이 있을 경우 전시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전시와는 연계성이 없는 휴식의 기능이나 전망 요소로의 기능만 갖추고 있기도 하였지만, 공공미술관에 비교해볼 때 폐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실내공간에 국한되지 않은 야외공간의 활용은 전시연계를 통한 전문성을 잘 보여줄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갤러리 정체성을 확립하고 방문객의 빈도와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음이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성명권의 내용 및 인격권에 기한 금지청구권의 인정요건에 관한 고찰 - ʻ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18다249995 판결ʼ을 중심으로 -

        윤나리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4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right to name in question is whether the right to exclusive use of the name can be recognized. However, the Supreme Court in this case does not clarify the judgment in this part and is immediately moving toward the judgment of infringement. The judgment on whether the exclusive right to a name can be recognized, in which case the exclusive right to a name is recognized, and if the exclusive right to a name that cannot be recognized by humans is certain, the judgment on whether it can be recognized by an organization is omitted. However, considering the function of the name and the nature of the name right as a personal right, the exclusive right to the name itself cannot be recognized, and this conclusion is the same even if the subject of the name right is a corporation. In addition, although infringement is naturally determined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contents of the right to name, the Supreme Court precedent in this case only judges infringement in balancing manner, omitting the process of specifically forming the contents of the right to name related to the dispute. However, balancing is not a judgment method used to apply legal norms, but is essentially an argument method that is difficult to exclude arbitrariness. In addition, the specific results obtained by balancing are difficult to generalize and abstract. The role of the Supreme court is not a remedy for the interests of the parties in a specific case, but rather a role of securing legal unity, that is, forming a law that can be generalized. This is even more so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court's judgment is replacing legislation regarding civil protect. 이 사건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문제되는 성명권의 내용은 성명 자체에 대한 전용사용권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그러나 이 사건 대법원판례는 이 부분 판단을 명확히 하지 않고 바로 침해판단으로 나아가고 있다. 성명권에 전용사용권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인지, 어떠한 경우 성명에 대한 전용사용권이 인정되는 것인지, 인간에게는 인정될 수 없는 성명에 대한 전용사용권이 일정한 경우 단체에게는 인정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생략된 것이다. 그러나 성명의 기능, 인격권으로서의 성명권의 성질 등을 고려해 볼 때 해당 성명 자체에 대한 전용사용권은 인정될 수 없고 이러한 결론은 해당 성명권의 주체가 법인 등에 해당한다 할지라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침해여부는 성명권의 내용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판단되는 것임에도 이 사건 대법원판례는 분쟁과 관련된 성명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생략한 채 만연히 침해여부만을 이익형량의 방식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익형량은 법규범을 적용할 때 사용되는 판단방식이 아닐뿐더러 본질적으로 자의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논증방식이다. 또한 이익형량으로 얻어진 구체적 결과는 일반화, 추상화하기 어렵다. 상고심법원이 해야 할 역할은 구체적인 사건에서의 당사자의 이익구제라기보다는 법적인 통일성의 확보, 즉 일반화할 수 있는 법형성의 역할이다. 인격권에 관한 민사적 보호에 관해서는 법원의 판단이 입법을 대신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고려해 보면 더욱 그렇다. 또한 인격권이 침해된 경우에도 다른 절대권이 침해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법성이 추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위법성의 본질은 권리침해이기 때문이다. 위법성이 추정되므로 위법성에 관한 최종적인 판단은 소극적으로 즉 위법성조각사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이익형량적 논증방식으로 판단해야한다.

      • KCI등재

        불법행위법에서 정신적 고통의 개념 및 역할

        윤나리 한국재산법학회 2023 재산법연구 Vol.40 No.2

        Regarding property-related disputes, many theories and practical experiences have been accumulated, but when disputes related to mental distress arise, there are insufficient specific and practical standards or solutions to solve them. However, in modern times, the suffering caused by material poverty is disappearing. Most of the incidents that decorate the newspaper are related to mental distress such as abuse, discrimination, sexual harassment, bullying, defamation, insults, relative poverty, and various violations of personality rights. There will be several steps to go through to resolve this situation legally, but the most urgent thing is to clarify the basic concepts and roles necessary in dealing with these types of disputes. This is because law is basically a discipline that develops logic using concepts. Among them,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role of mental suffering. The reason for focusing on mental suffering is that non-property damage, personality rights, and consolation money are somewhat organized concepts, and Article 751 of the Korean Civil Code uses the term “mental suffering” instead of the term “non-property damage” or “personality rights.” Within our civil law studies, there are few studies that actively define mental suffering. It is only replaced by an explanation of non-property damage, personality rights, and consolation money. In other words, these terms are used interchangeably without clearly distinguishing them.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role of mental suffering,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cept of non-property damage, personality rights, consolation money, and their role in the tort law. In addition, in order to actively define the legal concept of mental suffering, we examine how mental suffering is viewed in the field of adjacent studies. In summary, mental suffering refers to a very unpleasant negative emotion and is a type of mental damage. Damage under our civil law can be divided into property damage and non-property damage, and non-property damage can be divided into mental suffering, that is, mental damage and other non-property damage. On the other hand, infringement of personality rights is a type of illegal act, and consolation money refers to not only compensation for mental damage but also overall compensation for non-property damage. In other words, personality rights are a concept necessary to judge illegality, non-property damage and mental suffering belong to the type of damage, and consolation money is one of the types of compensation. 재산과 관련된 분쟁에 관해서는 많은 이론들과 실무경험이 축적되어 있지만 정신적 괴로움과 관련된 분쟁이 발생할 때에는 이를 해결할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기준이나 해결책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법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거쳐야 할 여러 단계가 있겠지만 가장 시급한 것은 이러한 유형의 분쟁들을 다룰 때 필요한 기본 개념과 역할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정신적 고통의 개념 및 역할을 정립하고자 한다. 정신적 고통을 중심으로 잡는 이유는 비재산적 손해, 인격권, 위자료는 어느 정도 정리된 개념들이기도 하고 우리 민법 제751조가 ‘비재산적 손해’나 ‘인격권’이라는 용어 대신 ‘정신적 고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우리 민법학 내에서는 정신적 고통에 대해 적극적으로 정의내리고 있는 연구가 거의 없다. 비재산적 손해나 인격권, 위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넘어갈 뿐이다. 즉 이들 용어들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정신적 고통의 개념과 역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불법행위법의 일반적 성립요건 및 위법성과 손해에 대한 개념정의 뿐만 아니라 정신적 고통과 유사하거나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비재산적 손해, 인격권, 위자료의 개념 및 이들이 불법행위법에서 자치하는 역할과의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적 고통의 법적 개념을 적극적으로 정의내리기 위해 인접학문분야에서 정신적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도 검토해 보아야 한다.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보면, 위법성의 판단대상은 법익침해라는 객관적 요소 및 고의 또는 과실이라는 주관적 측면이 모두 포함된 행위이다. 그리고 위법성의 판단기준은 성문법규를 포함된 사회질서 전반이다. 법적 손해는 불이익 발생이라는 사실적, 자연적 손해를 기본으로 해서 이에 대해 규범적 제한을 가한 것이다. 우리 민법상 손해는 재산적 손해와 비재산적 손해로 나뉠 수 있고 비재산적 손해는 다시 정신적 고통, 즉 정신적 손해와 기타 비재산적 손해로 나뉠 수 있다. 법적 정신적 고통은 매우 불쾌한 부정적 감정을 말하는 것으로 손해의 한 종류인 정신적 손해이다. 한편 인격권침해는 위법한 행위의 한 유형이고, 위자료는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뿐 아니라 비재산적 손해에 대한 배상 전반을 말한다. 이들의 관계는 인격권은 위법성을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고, 비재산적 손해와 정신적 고통은 손해의 종류에 속하는 개념이며, 위자료는 배상의 종류 중 하나로 정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