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석원 낭만음악사 2003 낭만음악 Vol.- No.58
지금까지 악기 음향학에서 다루었던 현악기와 건반악기 관악기는 대부분 시대적 필요에 따라 구조와 기능이 바뀌었음을 보았다. 이들 악기는 서양 고전음악 문화의 산물이며, 음악양식의 변화에 따라, 또 연주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악기와 연주법 역시 변화하였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인간의 목소리는 어느 시대, 어느 지역에든 공통적으로 있어온 악기이다. 아담 스미스가 “노래와 춤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본능”이라고 말했으리만큼, 인간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본능적으로 목청을 이용해 노래를 불러왔다. 이 연재의 마지막 회가 될 이번 장에서는 인성을 낼 수 있는 악기로서 인체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인성의 여러 가지 요소에 관해 살펴본다.
이석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0 No.2
본 연구는 평가역량의 결정요소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데이터 수집과 평가방법론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사회재정 분야 사업평가를 위한 데이터의 수집원리 및 전략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데이터 수집전략의 대안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평가 방법론과 데이터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근본적으로 재정립하고, 평가 방법론의 선택기준을 먼저 도출한 후, 이들을 충족시킬수 있는 데이터 구축의 원리를 마련하고, 종합적으로 평가방법론과 연계한 데이터 수집 및 구축대안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평가상황에 비추어 사회 재정사업의 평가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 수집전략의 대안을 세 가지로 제안할 수 있었으며 통제집단 설문조사 + 실험적 평가방법 > 특수목적 설문조사 + 비실험적 평가방법 > 일반목적 데이터베이스 + 비실험적 평가방법의 순으로 대안 간 선택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었다.
이석원,정종원,남석우,이인모,Lee Seok-Won,Jung Jong-Won,Nam Seok-Woo,Lee In-Mo 한국지반공학회 2005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1 No.3
When a tunnel is excavated below groundwater table, the groundwater flows into the excavated wall of tunnel and seepage forces are acting on the tunnel wall. The ground reaction curve i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pressure and radial displacement of tunnel wall. Therefore, the ground reaction curve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epage forces.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solutions of ground reaction curves were derived for both the dry condition and the seepage forces. The theoretical solutions derived were validated by numerical analysis. The ground reaction curves with the support characteristic curve were also analyzed in various conditions of groundwater table. Finally, the theoretical solutions of the ground reaction curve deriv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easily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time of support systems, the stiffness of support system and so forth for the reasonable design.
바람축 롤각을 고려한 궤환선형화 기반 유도탄 조종루프 설계
이석원,김유단,이용우,홍유경,전병을,문관영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상태변수로 6 자유도 STT(Skid To Turn) 유도탄의 조종루프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받음각, 옆미끄럼각과 자세각을 사용한다. 동체 자세각 대신 바람축 롤각을 사용하여 조종루프를 설계하면 직접 자세각을 조종할 때와는 달리 불필요한 동체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세각과 바람축 롤각 사이의 관계식을 고려하여 적절한 자세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체축 롤각 안정화를 위하여 바람축 롤각 명령을 사용하는 궤환선형화 기반 STT 유도탄 조종루프를 설계하였다.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된 바람축 롤각 명령과 기존의 조종루프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Angle of attack, side slip angle, and bank angle are widely used as the states to design an autopilot of 6-DOF STT (Skid To Turn) missile autopilot. When aerodynamic bank angle is used to design the autopilot instead of the roll angle, an unnecessary roll maneuver may occu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enerate the appropriate aerodynamic bank command by using the relation between body angle and aerodynamic angle. In this study, feedback linearization based STT Missile autopilot is designed using aerodynamic bank angle. Numerical simulation is perform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