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혁신학습공간 조성이 학생 역량에 미치는 영향 : A대학교 메이커스페이스 사례를 중심으로

        오방실(Oh, Bangsil),김경리(Kim, Kyungl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2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혁신학습공간, 특히 메이커스페이스 조성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A대학교의혁신학습공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혁신학습공간을 이용하여 학습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간 역량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만족도 조사와 핵심역량 진단조사에 모두 참여한 재학생 1,413명을 대상의 결과를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재학생이 교내 혁신공간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고, 11.2%만이 혁신공간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다. 혁신공간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향후 혁신공간 사용의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핵심역량 함양에 대해 살펴보았을 때, 혁신공간을 이용하여 학습한 학생은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문제해결역량, 창의적사고역량, 지식탐구역량, 자기주도역량, 책임의식역량, 사회배려역량, 의사소통역량, 세계화역량, 리더십역량, 팀워크역량이 높았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대해 고민하는 대학관계자에게 혁신공간구축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 perspectives and satisfaction with an innovative learning space in the A University.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of core competencies between students who had used the space and those who had not. The results of 1,413 students who participated both in satisfaction survey and a core competency self-assessment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most students were not aware of the innovative learning space, and only 11.2% had used the space. Students who had used the innovative learning space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to use the space in the future than those who had not used it.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who had used the innovative learning spac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problem-solving, creative thinking, knowledge-seeking, student agency, responsibility, consideration for others, communication, global competency, leadership, and teamwork than those who had not.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the use of makerspace and university administrators who are concerned about developing student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대학 자체교육인증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 :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오방실(Oh, Bangsil),김경리(Kim, Kyunglee)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대학의 자체 교육인증제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0학년도 K대학 재학생 1,957명을 대상으로 인증단계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도, 만족도 및 인식의 차이에 대하여 혼합방법 삼각측량을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본 연구의 양적분석 및 질적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인증 단계의 학생들은 기초인증 또는 예비인증 단계의 학생보다 비교과 참여 경험 및 접근성에 차이를 보이고,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과 지원 및 학과 내 비교과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 둘째, 본 연구의 양적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인증 학과 학생의 기초학습능력 및 전공 심화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질적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초인증학과 학생들의 전공 심화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양적자료 및 질적자료 분석 결과 모두 본인증 학과 학생들이 비교과 프로그램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에 효과성에 대해 기초인증 및 예비인증 학과 학생과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관계자들에게 전공 교육과정과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거버너스를 구축함으로써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함양, 더 나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시사점을 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K university self-accreditation on extra-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1,957 students in the extra-curricular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by accreditation level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in the main level departments more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ar programs, had better access to programs,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department supports and extra- curricular programs in departments than those of the basic or preliminary level departments. Second, the students in the main level departm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basic learning and major in-depth learning improvement programs, while the students in the basic level departments had more demands for programs to improve their major in-depth learning abilit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student agency competency by accreditation level.

      • KCI등재

        대학 자체교육인증 여부와 성별, 학년별에 따른 대학생 상담 참여 및 만족도 차이 분석

        오방실(Oh, Bangsil),김경리(Kim, Kyung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과 상담체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대학 자체교육인증제도의 교육성과로써 상담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증단계, 성별, 학년에 따른 대학생의 상담 참여도, 만족도, 인식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재학생 만족도 및 인식조사에 응답한 1,957명을 대상으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결과를 비교하는 혼합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상담체계를 구축한 예비인증 및 본인증 학과 학생들의 상담 참여도 및 만족도가 기초인증 학과 학생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상담 참여도는 낮지만, 다양한 상담 창구를 통한 상담 기회 확대에 대한 요구가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상담 참여도 및 만족도에 있어 학년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신입생이 고학년에 비해 상담 기회가 적은 반면, 전반적인 상담, 학업상담, 대학생활 관련 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고학년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의 자체인증제를 통해 정규 교육과정 및 상담체계를 종합적으로 관리함이 대학생의 상담참여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가 교원들에게 상담지원 기초자료 및 상담/지도 방향 설정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university self-accreditation system on counseling by examining differences in counseling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perspectives by accreditation level, gender, and grade. The data of 1,957 under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a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ption survey was examined by using a mixedmethods triangulation design approach.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in preliminary and main accreditation level departments that had established a counseling system were higher than those of basic accreditation level department students. Furthermore, while female respondents had participated less in counseling than males, they had a higher demand for expanded counseling opportunities through diverse types of counseling programs. Third, while freshmen had fewer counseling opportunities than seniors, they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overall counseling, academic counseling, and counseling related to college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howing that a system that comprehensively manages the regular curriculum as well as the counseling system has an effect on college students’ counseling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be of value to faculty who need counseling support materials when setting counseling/academic advising directions.

      • KCI등재

        대면과 비대면 환경에서의 학습자의 학습전략 비교분석 연구

        권영애(Kwon, Young Ae),오방실(Oh, Bangsil)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1

        이 연구에서는 대면과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전략의 차이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충북 소재 4년제 사립대 K대학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대면(2019)과 비대면(2021) 각 643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별, 문항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전략이 학습실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대면 환경의 학습전략이 비대면 환경의 학습전략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기억력, 시험기술, 수업자세 및 태도, 시간관리, 집중력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문항별 대면과 비대면의 평균차이에서 시험기술요인의 시험문제 예측과, 수업자세 및 태도요인의 적극적인 수업참여 등의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습전략이 학습실천력에 미치는 영향은 대면 환경에서는 시험기술, 시간관리 순이며, 비대면 환경에서는 시간관리, 집중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면과 비대면 환경에서 K대학 학습자의 학습전략의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추후, 대면과 비대면 환경에서의 학습자의 학업 동기 및 학업성취향상을 위하여 지원할 수 있는 학습전략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s. Data collected from 1,286 students in a 4-year private university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was examined through independent-sample t-tests an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average number of learning strategies employed in a face-to-face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at of learning strategi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morization, test taking techniques, learning attitudes, time management, and concentration between both environments. More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icipation of exam questions under test taking techniques and active participation under learning attitudes. The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on learning execution in a face-to-face environment were in the order of test taking techniques and time management, while those of learning strategies on learning execution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were in the order of time management and concentration.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learner support strategi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 KCI등재

        대학 신입생 입학만족 및 중도탈락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리 ( Kim Kyunglee ),오방실 ( Oh Bangsil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3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 입학한 A대학교 2021학년도 신입생 2,353명을 대상으로 입학결과만족도 및 중도탈락 의향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입학결과만족도에 성별, 전공계열, 입학전형, 대학이미지, 취업가능성, 학교명성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학영향인과 경제적 여건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생의 중토탈락의향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관광문화대학 계열 신입생이 다른 계열 신입생보다 중도탈락 의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신입생의 중도탈락의향이 다른 입학전형의 신입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도탈락의향에 대학이미지, 학교명성, 경제적여건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 진학영향인, 취업가능성은 중도탈락의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입학결과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이미지, 학교명성, 취업가능성, 경제적여건 모두 중도탈락의향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COVID-19 사후 교육환경에서 대학관계자가 신입생 모집과 중도탈락 해결전략 수립을 위한 방향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admission and intention to drop out of 2,353 freshmen at A University in the 2021 academic yea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indicate that gender, college, admission type, employability, and school reputation affected admission satisfaction. In contrast, economic status and person influencing the decision to go to the university had no effects on admission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college, admission type, school reputation, and economic status affected intention to drop out, while gender, person influencing the decision to go to the university, and employability did not affect freshmen’s intention to drop out. It was found that school reputation, employability, and economic status had indirect mediating effects on intention to drop out through admission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the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during COVID-19, highlighting the need for recruitment and dropout solution strategy planning.

      • KCI등재

        상담경험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K대 교수상담, 심리상담, 학습상담을 중심으로

        김경리(Kim Kyunglee),오방실(Oh Bangsil)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상담 경험이 학생들의 대인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재학생 1,411명을 대상으로 2020년에 실시한 재학생 만족도 및 요구조사 도구를 활용하여, 회귀모형 및 위계적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교수 상담 경험은 대인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심리 상담 경험 및 학습지원 상담 경험은 대인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교수 상담 경험이 교수 상담 만족도를 매개로 대인관계 만족도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상담경험 및 상담 만족도가 성공적인 대학생활에 중요한 요소인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대학 교원 및 전문상담 인력의 대학생 상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experience in college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1,411 under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ption survey were examined by using linear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ing experiences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faculty counsel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l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academic counseling experiences had no statistical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also show that faculty counseling exper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tud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satisfaction with faculty counseling.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both in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counseling effects on stud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