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의 핵심이슈

        안정임 서울여자대학교 2010 여성연구논총 Vol.25 No.-

        This study addresses the question of digital media literacy in the age of social network media. The SNS (social network service), meaning the service connecting people to people has brought us tremendous changes in our daily life. Social digital media, mainly represented by smart phones, are being heavily utilized to communicate a variety of opinions, information, and experiences among users. This social circumstance arouses anew attention to the issue of digital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being defined as the competence to access, critically understand, and creatively utilize media, has become an indispensable ability, especially in this SNS society. This study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media literacy, five key issues in terms of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n SNS media environment. Five issues are 1) identity, 2) privacy, 3) credibility, 4) ownership and copyrights, and 5) civil participation. As a way to reinforce the advantages and control the negative elements of social digital media, this paper proposes the systematic enforc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 한국 청소년 인터넷 중독증후군에 관한 보고

        安正任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사회과학논총 Vol.8 No.-

        인터넷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함께 인터넷 사용의 부징적 측면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인터넷 사용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니타나면서 일종의 중독증후군, 즉 IAD (Internet Addiction Disorder) 라고 명명된 증상이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증하고 정책적으로 인터넷 사용을 권장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인터넷 중독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실태와 인터넷 중독 여부, 음란물 접촉 실태, 그리고 인터넷 중독증과 음란물 접촉간의 관련성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 방송심의 제도 개선을 위한 바람직한 평가방안 모색

        安正任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논총 Vol.6 No.-

        본 논문에서는 방송환경 변화라는 외적 상황 속에서 방송 내용의 규제를 목칙으로 한기존의 방송심의제도와 새로운 형태의 빙송규제민 방송평가제도의 연계성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고, 구체적으로 빙송 내용의 평가를 위해 어떠한 방안들을 검토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방송심의제도의 이론적 근거와 의미, 문제점 등을 정리하고, 방송평가와 방송심의의 연계성 및 구체적 통합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비판적 탐색 : 시민성의 계승과 디지털의 확장

        안정임,박은희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2 언론문화연구 Vol.33 No.-

        In this study, we intend to critically examine the discussion of digital citizenship, which has been receiving significant attention lately. To this en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itizenship and digital citizenship, four points of difference and legacy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1) implementation from citizenship as the rights of citizen to citizenship as an integrated concept including rights, values and norms, 2)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raditional citizenship to digital citizenship, expansion of the citizen’s scope from selective citizens to all citizens, 3) expansion of the sphere of citizenship to include globalization and virtualization, 4) deepening of digital competencies required of citizens due to digital technolog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condly, issues that are overlooked in the current discussion of digital citizenship were reviewed in order to expand into a realistic and sustainable discourse for the future. Specifically, we critically explored issues such as 1) the confusion of definitions of digital citizenship, 2) the trap of protectionism and solutionism, 3) too much responsibility imposed on individuals, 4) digital citizenship and the digital divide, 5) concerns about “education” of digital citizenship.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research, and policy on digital citizenship was presented as a common task. 본 연구에서는 최근 크게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시민성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자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전통적시민성과 디지털 시민성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차별점과 계승점을 분석하고, 둘째는 현재의 디지털 시민성 논의에서 간과되고 있는 문제들을검토하고 향후 현실적이고 지속가능한 담론으로 확장하기 위해 짚어보아야 할 쟁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전통적 시민성에서부터 디지털 시민성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첫째, ‘시민권’에서 ‘시민성’으로 개념이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했고, 둘째, 누가 시민인가 하는 점에서 선별적 시민에서 모두가시민이라는 시민 범위의 확대, 셋째, 세계화, 가상화까지 포함하는 시민성 적용 공간의 확장, 넷째, 디지털 미디어로 인해 소통방식의 획기적 변화를 차별점으로 드러냈다. 두 번째 디지털 시민성 논의에서 깊어야 할 쟁점으로, 1) 디지털 시민성 개념과 정의의 난맥상, 2) 보호주의와 만능주의의 함정, 3) 개인에게 부과되는 무한책임, 4) 디지털 시민성과 디지털 격차, 5)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고민 등의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교육과 연구, 정책의 방향성을 공동 과제로 제시했다.

      • 다문화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교육의 연계성 : 결혼이주여성과 이주노동자 증가에 따른 다문화 현황검토와 모색

        안정임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연구논총 Vol.26 No.-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le conn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a fast-growing population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immigrant workers in Korea. Despite the importance of critical perspectives on media representation of these immigrants, only very recently has there been some efforts to integrate media literacy to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well agreed that the foc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on the ‘integration' in relation with multiculturalism as opposed to the ‘assimilation' into the mainstream culture. The studies on Korean mass media show, however, the media representation of these groups tend to be distorted and stereotyped, which could interrupt integrating their social and cultural indentity with Korean society and people. This suggest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quired to encompass the critical analysis of mass media depicting immigrants being biased, not just to utilize the media as educational tools. Some exploratory field studies attempting to draw upon marriage immigrant women's self-description in moving images they created found out alternative voices of their own denying distorted media descriptions of them. The present study calls for more integrative research efforts to connect critical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helping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workers establish their own independent identities. Key words:multi-education, media literacy, media education, marriage immigrant women, immigrant workers, multiculturalism

      •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 역량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안정임,최진호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7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nfluence of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es on the sense of community as a part of civic consciousness. The study further explores to what extent the influence varies according to different age groups. The results of analysis demonstrated over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es on four types of the sense of community in terms of membership, influence, 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s, and shared emotional connection.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 competence of participation plays the significant role influencing on the sense of community over all age groups. The age groups showed the differentiated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hip competenc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teenagers, the competence of caring others exerted significant effect, whereas cooperative work among age of 20s~30s and for 40s~50s was self-protection prominent factor influencing the sense of commun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for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ge groups, as well as the need for academic attention on the concept of civic participation and civic consciousness. 본 연구는 디지털 시민성 역량이 민주적 시민의식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에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그러한 영향력이 미디어 이용자의 연령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시민성을 좀 더 세분화된 시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시민성 변인들은 전반적으로 공동체 의식(구성원 의식, 상호영향 의식, 욕구의 통합과 충족, 공유된 정서적 연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참여역량은 모든 연령 집단에 공통적으로 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역량 변인들은 연령 집단에 따라 차별적인 양상을 보였는데, 10대는 참여와 타인배려, 20~30대는 참여와 협업, 타인배려, 그리고 40~50대는 참여와 자기보호, 협업이 공동체 의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동체 의식을 포함한 민주주의 시민의식의 강화를 위해 정책적, 교육적 차원에서 연령대별로 특성화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학술적으로 참여의 개념에 대한 심층적으로 탐구, 그리고 다양한 차원의 시민의식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