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의 핵심이슈

        안정임 서울여자대학교 2010 여성연구논총 Vol.25 No.-

        This study addresses the question of digital media literacy in the age of social network media. The SNS (social network service), meaning the service connecting people to people has brought us tremendous changes in our daily life. Social digital media, mainly represented by smart phones, are being heavily utilized to communicate a variety of opinions, information, and experiences among users. This social circumstance arouses anew attention to the issue of digital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being defined as the competence to access, critically understand, and creatively utilize media, has become an indispensable ability, especially in this SNS society. This study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media literacy, five key issues in terms of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n SNS media environment. Five issues are 1) identity, 2) privacy, 3) credibility, 4) ownership and copyrights, and 5) civil participation. As a way to reinforce the advantages and control the negative elements of social digital media, this paper proposes the systematic enforc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가족커뮤니케이션 유형 및 온라인 친구관계 특성이 청소년들의 사이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정임,김지혜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1

        This study attempted to categorize the adolescents' cyber deviant behaviors into 4 type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several external factors on each type. Four types were named as interpersonal deviance, illegal deviance, sexual deviance and excessive use deviance.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this study noted wer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conversation-oriented vs. conformity-oriented), the traits of peer relations(depth, width, predictability, commitment, & network convergence), and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 survey of 543 adolescents of middle-school and high-school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independent factor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eviance. Adolescents from the conformity-oriented family seemed to fall into more deviant behaviors while those with more sense of responsibility to relationship with friends showed less deviance. Excessive use of media among 4 types of deviance appeared to be more susceptible to the influence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peer relations and demographics as well. As a whole,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dolescents' cyber deviance behaviors should be viewed as a complex concept with diverse facets in a wider perspective of media us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사이버 문제행동을 그 특성에 따라 대인적 문제행동, 불법적 문제행동, 성적 문제행동, 과다이용 문제행동의 4가지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영향요인은 가족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친구관계 특성, 그리고 미디어 이용을 둘러싼 인구환경적 변인들이다. 이를 위해 총543명의 중학교 2,3학년생 및 고등학교 1,2학년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들의 사이버 문제행동은 가정에서 부모자녀의 커뮤니케이션이 대화지향적인가, 일치지향적인가에 따라, 친구관계의 깊이, 넓이, 책임성, 예측성, 네트워크 융합 등의 특징에 따라, 그리고 인구학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각각 상이한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들의 통제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을 증대시키는 경향을 보였고, 친구관계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는 청소년들이 문제행동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유형의 사이버 문제행동 중 과다이용은 가족커뮤니케이션 유형이나 친구관계 특성의 영향을 다른 유형보다 많이 받았으며, 인구학적 요인의 영향력에도 민감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청소년의 사이버 일탈행위에 대해 다양한 층위를 지닌 복합적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영향변인에 대해서도 미디어 이용이라는 커뮤니케이션적 유기체를 고려하여 보다 세부적인 분석 및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 역량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안정임,최진호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7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nfluence of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es on the sense of community as a part of civic consciousness. The study further explores to what extent the influence varies according to different age groups. The results of analysis demonstrated over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es on four types of the sense of community in terms of membership, influence, 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s, and shared emotional connection.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 competence of participation plays the significant role influencing on the sense of community over all age groups. The age groups showed the differentiated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hip competenc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teenagers, the competence of caring others exerted significant effect, whereas cooperative work among age of 20s~30s and for 40s~50s was self-protection prominent factor influencing the sense of commun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for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ge groups, as well as the need for academic attention on the concept of civic participation and civic consciousness. 본 연구는 디지털 시민성 역량이 민주적 시민의식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에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그러한 영향력이 미디어 이용자의 연령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시민성을 좀 더 세분화된 시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시민성 변인들은 전반적으로 공동체 의식(구성원 의식, 상호영향 의식, 욕구의 통합과 충족, 공유된 정서적 연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참여역량은 모든 연령 집단에 공통적으로 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역량 변인들은 연령 집단에 따라 차별적인 양상을 보였는데, 10대는 참여와 타인배려, 20~30대는 참여와 협업, 타인배려, 그리고 40~50대는 참여와 자기보호, 협업이 공동체 의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동체 의식을 포함한 민주주의 시민의식의 강화를 위해 정책적, 교육적 차원에서 연령대별로 특성화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학술적으로 참여의 개념에 대한 심층적으로 탐구, 그리고 다양한 차원의 시민의식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한국 청소년 인터넷 중독증후군에 관한 보고

        安正任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사회과학논총 Vol.8 No.-

        인터넷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함께 인터넷 사용의 부징적 측면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인터넷 사용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니타나면서 일종의 중독증후군, 즉 IAD (Internet Addiction Disorder) 라고 명명된 증상이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증하고 정책적으로 인터넷 사용을 권장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인터넷 중독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실태와 인터넷 중독 여부, 음란물 접촉 실태, 그리고 인터넷 중독증과 음란물 접촉간의 관련성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 방송심의 제도 개선을 위한 바람직한 평가방안 모색

        安正任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논총 Vol.6 No.-

        본 논문에서는 방송환경 변화라는 외적 상황 속에서 방송 내용의 규제를 목칙으로 한기존의 방송심의제도와 새로운 형태의 빙송규제민 방송평가제도의 연계성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고, 구체적으로 빙송 내용의 평가를 위해 어떠한 방안들을 검토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방송심의제도의 이론적 근거와 의미, 문제점 등을 정리하고, 방송평가와 방송심의의 연계성 및 구체적 통합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동향 분석 및 제언

        안정임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논총 Vol.21 No.-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국가차원의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소셜 미디어,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 인간이 갖추어야 할 필수 생존기술로 인식되면서 각국은 다양한 리터러시 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둘러싼 세계 주요국의 정책동향을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는 리터러시 정책, 국가경쟁력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평가와 측정에 대한 정책연구의 차원에서 분석, 검토하였다. 향후 정책제안으로 정부, 학교, 가정, 산업 간의 유기적 협조체제 구축,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대상자의 확대, 학교 의무교육 도입,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평가조사 및 효과연구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A growing interest in digital media literacy policy has been observed on the national level lately. Many countries are planning and enforcing diverse media literacy policies based on the notion of digital media literacy as a vital surviving skill in this digitalized and social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media literacy policies worldwide as responses to rapidly changing media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Future policy suggestions such as the cooperation networks among the government, schools, families, and industries, the expansion of the beneficiaries of media literacy policy, the introduction of media literacy as compulsory education, and support for the research on the evaluation and effec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have been discussed.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의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중심으로

        안정임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과학논총 Vol.22 No.-

        미디어 발전과 함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교육의 효과 및 성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미디어 교육이 과연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미디어 교육수업을 받은 초등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결과, 초등학생들은 미디어 표상, 미디어 상업성, 미디어 기술, 미디어 영향력, 미디어 이용태도 변인에서 문항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분석결과의 논의에서 미디어 교육 수업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 및 향후 보다 정밀한 조사설계를 통한 미디어 교육 효과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Along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dia is growing social and academic attention and interest in media literacy education. Nevertheless the research on the effect and evalu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explores whether media education class enhance children’s literacy in their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A survey to inquiring the change in media literacy has been conducted to 252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before and after ‘Reading the Media’ classes. The results showed the general effect of education in terms of variable constructs such as media representation, commercialism, technology, influence, and user’s attitude to media, but with the varying difference in each of survey questions. Needs for more research efforts exploring curriculums for media education and refining evaluation tools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