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 미디어 레퍼토리에 관한 연구: ‘어린이 미디어 이용’ 연구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박종구,나지윤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3 언론문화연구 Vol.34 No.-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use by Korean children based on the nationwide 2020 Children’s Media Use Survey data. The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for developing effective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based on a reliabl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The study used exploratory data analysis to examine the media usage patterns of Korean children based on nine different types of media/service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media usage behavior exhibits a bimodal distribution,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at take into account the non-normality of the data. The study also classified children’s media use behavior into four types based on hierarchical and K-means clustering analysis: low media use, high media use, high online video use, and high game use. The study further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 parents’ perception of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 of content on children”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parents’ perception of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in Korea. It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nalyzing data from nationwide survey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s media use behavior and to develop effective policies and programs. The study recommends further research to conceptualize and theorize children’s media use behavior, to improve the measurement tools and concepts used in the survey, and to enhance public understanding of children’s media use.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 없이 올바른 처방을 내릴 수 없는 것처럼 바람직한 어린이 미디어 이용 교육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의 미디어 이용행태를 이해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와 타당한 분석이 필요하다. 2020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국규모의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가 실시되었고, 조사데이터가 공공 데이터로 제공되고 있다. 공공 데이터의 가치는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증거를 기반으로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데 사용되었을 때 비로소 실현된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서 첫째, <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조사> 자료에 대한 탐색적 데이터분석을 통해, 지금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미디어 이용량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어린이들의 미디어 이용량에 따라 미디어 이용유형을 분류하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유형에 따른 보호자의 인식 차이를 파악하였다. 셋째, 미디어 이용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어린이 미디어 이용 교육 프로그램 구성과 홍보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 일수’로 측정된 9개 미디어/서비스 이용량에 대한 탐색적 데이터분석을 통해 어린이의 미디어 이용행태가 양봉 분포를 띄고 있음을 시각화 결과 등을 통해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규분포를 가정한 통계분석의 위험성을 밝히고 ‘통계적 가정’에 부합하는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둘째, 계층적 군집분석과 K-평균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어린이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을 ‘미디어 저이용’, ‘미디어 고이용’, ‘온라인동영상 고이용’, ‘게임 고이용’ 네 가지로 분류하고 각 유형이 갖는 특징을 제시하였다. 셋째, 미디어 이용 교육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살펴본 결과 ‘콘텐츠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이 가장 설명력 높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는 <어린이 미디어 이용조사> 데이터의 쓸모를 높이기 위한 조사 발전방향으로 첫째, 기술적(descriptive) 차원을 넘어 어린이 미디어 이용에 관한 ‘개념화’, ‘이론세분화’, ‘이론구축’ 분야의 연구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조사데이터뿐만 아니라, 조사에 사용된 개념과 측정도구에 대한 설명 제공과 어린이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문항개발이 필요하며, 둘째 심층적인 결과해석을 위한 질적연구가 요구되고, 셋째 어린이 미디어 이용 연구의 핵심 개념이자 변수인 ‘어린이 미디어 이용’ 측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 KCI등재

        ‘기억의 장소’로써 드라마 <파친코>에 관한 연구: ‘시간의 축’의 연결을 중심으로

        채희상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2 언론문화연구 Vol.33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the drama series, Pachinko , activates the memory of the life of Zainichi Koreans (Zainichi) in the present context and what it mean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dividing plot and visual style characteristics. The plot of Pachinko is based on a double-plot structure in which two axes of the time of the pas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year of 1989) intersect, unlike the original novel that proceeds as a whole. The two axes of the time of the past recreate the memories of Zainichi’s life by connecting themselves to the axis of the time of the present. In connecting the axes of the time, the technique of parallel editing was employed. In addition, visual effect editing techniques such as wipe and superimpose as well as elements such as the five senses, songs, and props were used. Through this narrational strategy, Pachinko prevents attempts to take the memories of Zainichi to the tomb of history, and serves as a ‘site of memory’ that connects Zainichi’s past, present and future. 본 논문은 드라마 <파친코>가 재일조선인(자이니치)의 삶의 기억을 어떻게 현재의 맥락에서 활성화시키는지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은 플롯, 영상 스타일 특성으로 구분하여진행했다. <파친코>의 플롯은 전체적으로 순행하는 원작소설과 다르게두 개의 과거의 시간의 축(일제강점기/대과거, 1989년/과거)이 교차되는이중 플롯 구조를 기본으로, 현재의 시간의 축과의 연결을 통해 자이니치의 삶의 기억을 재현해내고 있다. 시간의 축들의 연결을 위해 평행 편집을 기본으로 와이프(wipe), 슈퍼임포즈(superimpose) 등의 비주얼 효과 편집 기법과 오감, 노래, 소품 등의 요소들이 활용되었다. <파친코> 는 이러한 내레이션 전략을 통해 자이니치에 관한 기억을 역사의 무덤으로 가져가려는 시도를 막아내며, 자이니치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다가올미래를 연결하는 기억의 장소 역할을 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Affecting Factors on the Expressing of Opinions on Facebook: Mode of News Delivery, Perceptions of Majority Opinion, and News Usages on Facebook

        이미나,양승찬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18 언론문화연구 Vol.25 N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influencing opinion expression on Facebook and examine their effect.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sidered three investigative elements, namely the mode of news exposure, perceptions of majority opinion, and news usages on Facebook. An online survey was used wherein perceptions of majority opinion were manipulated. H1 examined the intention to post a comment when the views of the majority are contrary to one’s own. The results showed the spiral of silence is present on Facebook. RQ1 and RQ2 questioned the effects of the properties of the Facebook network and Facebook usage. It was revealed that homogeneity is a significant contributor, and news sharing behaviors is the powerful predictor of opinion expression on Facebook.

      • KCI등재

        네이버, 다음의 문재인 정부 지지율 여론조사 뉴스 댓글에 나타난 댓글 여론과 적대적 언어 분석

        정낙원,김성욱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0 언론문화연구 Vol.28 No.-

        This study analyzed the predominant opinions formed on political news comments in Naver and Daum to find whether dominant opinions in the two portals differed each other and to the poll result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comments containing hostile political expression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or this purpose, 31 news articles that covered government approval public pol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aver had higher opposition opinions with a low approval opinions of the Moon government compared with Daum in both 2018 and 2019. The approval opinion rate of in Daum was somewhat lower than the poll results,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pproval rate of Naver. Meanwhile, 71.2% of the comments included hostile expressions. It was higher in Moon government opposition comments than support comments, in Naver than in Daum and in 2019 than in 2018. While hostile expressions targeted toward president/Democrats/progressive/Jeollaᐨdo were significantly more in Naver than Daum, those targeted toward LibertyKoreaPary/conservative/Gyeongsang ᐨd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aum than Naver. 이 연구는 네이버와 다음의 문재인 정부 여론조사 뉴스 댓글에 형성된 여론이 서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각 플랫폼의 댓글 여론은 여론조사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비하, 혐오, 공격, 조롱, 비아냥거림 등 적대적 댓글을 그 대상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어 비율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재인 정부 1주년과 2주년 시점인 2018년 5월과 2019년 5월 한 달 동안 두 포털에 게시된 문 정부 여론조사 관련 뉴스 총31건(네이버 17건, 다음 14건)의 모든 댓글(7만1867)을 크롤링하여 각각의 댓글에 대해 내용분석(휴먼 코딩)과 자연어분석(컴퓨터 코딩)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네이버의 경우 2018년과 2019년 모두 문 정부 반대 여론이 다음 및 여론조사 결과보다 크게 높았고 지지 여론은 크게 낮았다. 다음은 댓글의 비율에서는 여론조사보다 지지 여론이 다소 낮았으나 네이버보다 크게 높았고, 댓글+‘순공감’ 비율에서는 지지 여론이 네이버와 여론조사보다 크게 높았다. 한편, 적대적 표현이 포함된 댓글은 전체 댓글의71.2%였고, 문 정부 지지 댓글보다 반대 댓글에서, 다음보다 네이버에서, 2018년보다 2019년에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네이버에서는 대통령/민주당/진보/전라도 대상의 적대적 표현이, 다음에서는 자유한국당/보수/경상도 대상의 적대적 표현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 KCI등재

        소셜 미디어가 상반된 가치 성향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과 중국 비교를 중심으로

        민병운,윤각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2 언론문화연구 Vol.32 No.-

        It appears that there is only thin literature in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media and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t the same time. It also seems that empirical studies on how individual value tendencies affect actual consumer behavior are somewhat lacking. Most often, Korea and China are the major subjects to comparison due to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and economic ideology as well as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Furthermore, it investigated what types of consumer behavior social media had higher influence 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and a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found. First, based upon the findings from social media’s influence on both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the possibility of social donation and group drama could be estimated. Second, from the finding that social media has a greater effect on consumer cosmopolitanism than on consumer ethnocentrism, a direction for strengthening global advertising and marketing is suggested. Third, based upon the finding that the effect of social media acceptance o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China is relatively larger than in Korea, it is confirmed that patriotic marketing in China is effective.

      • KCI등재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에 대한 한일 세대 간 비교 연구 : 문화 교차수렴 이론을 중심으로

        민병운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3 언론문화연구 Vol.34 No.-

        Recently, sustainable consumer behavior has become a common behavior pattern that people all over the world want to pursue. Perception of sustainable consumer behavior is different by country and generation. This study borrowed the cultural crossvergence theory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and generations in sustainable consumer behavior. Accordingly, we looked at whether the gap between indulgence-restraint, sustainable consumer behavior, and technology readiness index 2.0 will decrease as the baby boomer generation goes from generation Zers to generation Zers. In addi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resulting in 113 generation Zers and 123 baby boomers in Korea, and 122 Japanese generation Zers and 128 baby boomers in Japan. Results showed that sustainable consumer behavior in Korea was high, and technology readiness index 2.0 in Japan was high at 2.0. In addition, generation Zers tended towards more autonomous and sustainable consumer behavior, and their technology readiness index 2.0 was also high. Lastly,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decreased as all variables went toward generation Zer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on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of cultural crossvergence theory according to the latest variables. 최근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은 전 세계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지향하고자 하는 행동 양식으로 자리 잡았지만 각 국의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인식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고, 세대에 따라서도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에 대한 국가 간, 세대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문화 교차수렴 이론을 차용하였다. 문화 교차수렴 이론에 따르면 방종과 규제,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 등 사회문화적 요인은 세대를 거듭하면서 국가 간 차이가 유지되고, 기술준비도 2.0과 같은 비즈니스적 요인은 세대를 거듭하면 국가 간 차이가 줄어든다. 이에 따라 베이비 붐 세대에서 Z세대로 갈수록 방종과 규제의 차이,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의 차이, 기술준비도 2.0의 차이는 줄어들 것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 Z세대와 베이비 붐 세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한국 Z세대 113명과 베이비 붐 세대 123명, 일본 Z세대 122명과 베이비 붐 세대 128명 등 총 486명의 유효한 응답자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이 높았고, 일본의 기술준비도 2.0이 높았다. 또한 Z세대가 보다 자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을 지향했으며, 기술준비도 2.0도 높았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이 Z세대로 갈수록 한일 간 차이가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최신화된 변인에 따른 문화 교차수렴 이론의 재해석 가능성 등 학술적 시사점을, Z세대의 자발적인 지속 가능한 소비자 행동, 그리고 일본 베이비 붐 세대의 높은 기술준비도 2.0 등을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 영화 관람 창구의 경쟁 구조 연구: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창구별 충족적소비교를 중심으로

        HUO PEI,장병희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19 언론문화연구 Vol.26 No.-

        In recent years, the film market in China has shown a rapid growth and the film viewing windows also became diversified. Based on the Gratification Niche Theory, this study discussed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among film viewing windows, theater, video site, illegal download and free TV, from the perspectives of latest, diversity, audio-visual, viewing environment, economy, ease of use, additionality and socializing. In order to measure the satisfaction of movie consumers with the viewing window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9 Chinese movie-go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video site had the widest niche breadth and showed the highest resource use overlap with illegal download. Each window had its own advantages. Illegal download was likely to be functionally replaced by other media in terms of diversity, economy and ease of use since the competition in these dimensions was relatively fierce. 최근 몇 년간 중국 영화 흥행 시장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영화관람 창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충족적소이론을 바탕으로 최신성, 다양성, 시청각, 관람 환경, 경제성, 용이성, 부가성, 사교성 등 여덟 가지 충족 차원에서 중국 영화 관람 창구인 극장, 영상 사이트, 불법 다운로드와 무료TV 간의 경쟁관계를 분석했다. 영화 소비자들이 영화 관람 창구에서 얻는 충족을 측정하기 위해 309명의 중국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영상 사이트는 가장 넓은 충족 적소 폭을 가지고 있었다. 영상 사이트와 불법 다운로드 간의 적소중복이 가장 높았다. 각 창구마다 각자의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었다. 불법 다운로드는 다양성, 경제성, 용이성 차원에서 다른 매체와 경쟁이 치열하고 기능적으로대체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 연구는 영화 관람 창구에 대한 충족적소분석의 하위 차원을 보완함으로써 이론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중국 영화 시장의 건전하고 다양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판타지는 어떻게 텔레비전 장르가 되었나 : 판타지 드라마의 장르 형성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정아,원용진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19 언론문화연구 Vol.27 No.-

        This article is a study to analyze the types of fantasy dramas by making a comprehensive list of Korean television fantasy dramas, and to examine the process of fantasy genre formation in TV drama. This research suggested the lists of 163 fantasy dramas that aired between the launch of KBS in 1961 and 2018. ‘Fantasemes’ that characterize the fantasy genre include three core fantasemes - time, space, humans- and ten sub - fantasemes -reincarnation, timeslip, timeleaf, timewarp/independent secondary world, coexistent secondary world/superhuman human, transformed human, non-human, and super-human. The most used fantasemes was ‘human’, which was set up in 118 out of 163, and ‘reincarnation’ and ‘time slip’ were most common in ‘time’ fantasemes. ‘reincarnation’ was evenly distributed by age, while ‘timeslip’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10. The implementation of the ‘space’ fantasemes was very rare and there was no ‘independent second world’ fantasy drama. KBS <Simcheongjeon>, which was aired in 1971, is the first drama to introduce the fantasy world and fantasy dramas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 latency, development, and expansion- until 2018. In the latency period(1971ᐨ1993), there were 27 dramas and set as devices that fostered fear in legends such as < Hometown of Legend>, not the independent genres. There were 42 dramas in the development period (1994∼2009), and there was an attempt to combine fantasy in various genres. Fantasemes has been extended to “time” and “space”, and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graphics has enhanced the effect of fantasy. At that time, the active acceptance of the fantasy genre by the New Generation, the generation of PC communications,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public perception of the fantasy genre. In the settlement period (2010ᐨ2018), 94 dramas aired, quantitatively growing, and widening the genre with the diversification of fantasemes. In the romance and crime drama genre, the combination with fantas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ntasy dramas were focused on ‘human’ fantasemes, and built a fantasy world that was closely related to reality. The lack of active use of the ‘space’ fantasemes compared to the ‘human’ and ‘time’ means that the genre can be seen as an incompleteness of the genre but at the same time has the potential to expand further. 이 논문은 한국 텔레비전의 판타지 드라마가 장르로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1961년 본격적인 텔레비전 시대의 개막이래 방영되었던 전체 드라마에서 판타지 드라마 정의에 부합하는 163편을 추출해 냈다. 판타지 장르에서 두드러지는 세 개의 판타지소와 10개의 하위 판타지소에 맞추어 추출된 드라마를 재분류했다. ‘인간’ 판타지소를 활용한 드라마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시간’ 판타지소에서는 ‘환생’과 ‘타임슬립’이 가장 많았다. ‘환생’은 시대별로 골고루 분포된 반면, ‘타임슬립’은 2010년 이후에 급속도로 증가했다. ‘공간’ 판타지소는 매우 드물게 활용되고 있었다. 시기별로 구분한 결과, 1971년 이후부터 2018년까지 판타지 드라마는 세 단계-잠재기, 계발기, 정착기-를 거치고 있었다. 잠재기(1971∼1993년)에는 27편의 드라마가 방영되었다. 이 시기엔 독립 장르가 아닌 <전설의 고향>에서처럼 전설과 설화를 다루어 주로 공포심을 조장하는 장치로 사용하고 있었다. 계발기(1994∼2009년)에는 42편이 포함되었다. 이 시기에 다양한 장르와 판타지가 결합하기 시작했다. 판타지소가 ‘시간’과 ‘공간’으로 확장되었고, 컴퓨터그래픽의 도입으로 환상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켰다. PC통신 세대인 신세대들의 적극적인 판타지 장르 수용은 대중의 인식 변화에 기여했다. 정착기(2010∼2018년)에는 94편이 방영되어 양적으로 급성장했다. 판타지소의 다양화로 장르의 폭을 넓혔으며, 특히 로맨스와 수사 · 추리 장르가 판타지와 결합하는 경향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정착기에 이른 한국 판타지 드라마는 ‘인간’ 판타지소에 치중되어 있고 현실에 밀착한 판타지 세계를 구현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공간’ 판타지소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은 점은 장르의 미완성이라기보다는 한국 판타지 드라마의 특성으로, 또한 앞으로 장르 확장의 가능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역일간지 경제뉴스 평가와 모델 탐구 : 부산 지역일간지 경제뉴스 내용과 형식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이완수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0 언론문화연구 Vol.28 No.-

        This study suggested a desirable economic news model through quality assessment of the form and contents of daily newspaper economic news in Busa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journalists who subscribed to the Busan Daily newspaper to diagnose problems in the quality of local daily newspaper economic news, and suggested an economic news model to appeal to reader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this paper found data-based news, policy-driven agenda, lack of readability of articles, weakness of attention to photographs, lack of department store information, lack of company-related articles, lack of consumer-oriented articles, and lack of field articles, etc in the regional daily economic news repor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conomic news model that can approach readers in terms of contents, such as company-oriented model, microeconomic model, life-oriented model, issue-based model, human story model, knowledge-based model, and field-based model and an open-space model. In terms of form, the magazine-based editorial model, soft-model article model, and visual editorial model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The role of the economic public sphere in the community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gional daily economic news model. 이 연구는 부산 지역 일간신문 경제뉴스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품질 평가를 통해 바람직한 경제뉴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부산 지역일간지를 구독하는 지역 언론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FGI)를 실시해 품질 측면에서 지역일간지 경제뉴스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독자에게 소구할 수 있는 경제뉴스 내용과 형식 모델을 제안했다. 심층인터뷰 결과, 지역일간지경제뉴스는 지역경제 의제와 정체성 부족, 뉴스 정보의 난해성, 자료 중심형 뉴스, 기사 현장성 부족, 소비자 생활 중심형 기사 부족, 지역기업에 필요한 정보 부족, 편집 가독성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 연구는 지역 독자들의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경제뉴스 모델을 내용측면에서 기업 중심 모델, 미시경제 모델, 생활 중심형 모델, 이슈 중심 모델, 휴먼스토리 모델, 지식형 모델, 현장 중심형 모델, 개방형 모델을, 그리고 형식 측면에서 잡지형 편집 모델, 연성형 기사 모형, 비주얼 편집 모형등을 대안으로 각각 제시했다. 지역일간지가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경제공론장’ 기능을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중심으로 토론했다.

      • Language Analysis in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n : Using Korean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K-LIWC)

        이창환,김경일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17 언론문화연구 Vol.24 No.-

        Substantial amounts of research have been accumulated by the attempt to use the K-LIWC (Korean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as the dependent measure in conducting psychological research.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s mediums are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so the language analysis program can be used as a main research tool depending on the topic of interest.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ext analysis have been introduced. The strong points of K-LIWC analysis programs have been described including the value of the linguistic variables. In addition, related studies that used the language analysis including K-LIWC in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are reviewed. Future directions for using the language program in the field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