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용자 자녀들의 상황과 관련제도의 과제 : 아동의 권리를 중심으로

        신연희 아시아교정포럼 2019 교정담론 Vol.13 No.3

        본 연구는 부모의 수용으로 인해 아동의 권리를 보호받지 못 하고 있는 수용자자녀들에게도 기본적 권리들이 보장될 수 있기 를 희망하면서, 수용자자녀들의 권리현황과 관련정책을 분석하 였다. 본 연구에서 수용자자녀들의 권리는 ‘UN 아동권리협약’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에 명시된 아동의 권리들 중에서 생존권, 발달권, 보호권, 참여권, 면접권을 기본 권리로 정의하였다. 연구를 위해 공식통계와 기존 연구 자료들을 재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수용자자녀들의 상황과 권리보장을 위 한 교정정책 및 관련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주된 발견사 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자자녀들의 인구규모는 일일평균 22,000여명이 상 존하고, 연간은 32,000여명인데 그 중 18,000여 명은 매년 새롭 게 발생하는 인구이다. 한편 부모의 수용기간에 따른 자녀들의 기본권 상황을 분석한 결과, 생존권은 수용초기의 자녀들에게 가 장 위기적이었고, 발달권은 심리적 손상을 경험한 모든 자녀들에 게 장기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며, 보호권은 부모의 수용이 길어 질수록 친생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되고, 참여권과 면접권은 부모의 수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당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 었다. 둘째, 교정제도 현황분석에서는 관련법과 접견프로그램들 의 실태파악과 함께 수용자자녀들의 면접권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관련정책들로는 최근의 ‘포용국가아동 정책’을 포함하여 법률적, 정책적, 인권적인 측면에서 수용자자 녀들의 사회적 상황을 살펴보고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 로 수용자자녀 권리보장 방안으로 ‘자녀 중심으로 접근할 것’과 ‘국가의 책임강화’를 지원원칙으로 제시함과 아울러 기본 권리 (생존권, 발달권, 보호권, 참여권, 면접권)별로 교정제도와 관련 정책들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rights of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and related policies.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nsure that basic rights are guaranteed for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whose rights aren’t protected due to the status of the parents. In this study, the rights of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are defined as the Right to Survival, Right to Development,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Participation, and Right to Maintain Personal Relations and Direct Contact with both Parents on a Regular Basis. These definitions are based on the right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For this study, official statistics and previous studies were re-analyzed and it concluded by providing possible improvements to current correctional policy and related system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 a daily basis,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is 22,000. On an annual basis, the amount of the children is around 32,000. Among these population approximately 18,000 children are new persons. Meanwhile, when looking at the child’s basic rights depending on the parent’s incarceration period, the child’s Right to Survival was most threatened during the beginning stages of incarceration. The child’s Right to Development was affecting children long-term when they experienced psychological damage and the child’s Right to Protection could not be provided by their parents if the parent’s incarceration period lengthened. The child’s right to Maintain Personal Relations and Direct Contact with both Parents on a Regular Basis grew as the parent’s duration of incarceration lengthened. Second, in reviewing current incarceration institutions, the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laws and visitation programs as well as provided ways to vitalize the Right to Maintain Personal Relations and Direct Contact with both Parents on a Regular Basis for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Third, for related policies, the study discusses the recent ‘Embracement National Child Policy’ as well as legal, political, and human rights perspectives in analyzing the social status of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It also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related policies. Finally, to ensure the rights of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the study suggests ‘approaches centered on the child’ and ‘increased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as the fundamental support principle. The study also suggests ways to improve incarceration institutions and related policies per basic rights(Right to Survival, Right to Development,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Participation, Right to Maintain Personal Relations and Direct Contact with both Parents on a Regular Basis).

      • KCI등재

        자녀특성에서 접근한 여성수용자 처우에 관한 연구

        신연희 대한범죄학회 2020 한국범죄학 Vol.14 No.2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female inmates centering arou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suggests treatments for the inmates’ maternal protection. Taking a closer look at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inmate, the study also suggests the treatment for female inmates, specifically in support of the role of parent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f 10,299 male and female inmates from 53 correctional facilities around the country with children under 18 years old. To obt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female inmates, this study took into consideration and selected social demographics, relations between inmate-their children, and the child’s situation as variabl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unique qualities of female inmates through chi-square test or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comparing the two genders of inmat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tatistical test, almost all of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Because incarceration caused more significant damage to maternal instincts than paternal instincts,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issue of treating female inmates in relation to their maternal instincts was important. In detail, female inmates are the primary caretakers/guardians who lived with the children. Their arrests would result in the children experiencing immense shock from not only having to live apart from their caretaker but also from witnessing their mother’s arrest and learning of their incarceration. The children would then live apart from both their parents and experience a dissolved family even after the parent’s release. Meanwhile, female inmates continue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which may act as a protective factor for the inmates to serve their parental responsibilities during incarceration and reunification. Also, the study discussed supporting parental responsibilities of inmates centering around the correctional treatment of female inmates. Specifically, the study suggested treatments for the short-term replacement of maternal responsibilities by the local community, maintaining maternal responsibilities and improving maternal qualifications in preparation of reunion, and supporting the children’s household and female inmates with the cooperation of local communities. 이 연구는 수용자자녀들의 특성을 중심으로 여성수용자를 이해하고, 여성수용자의 모성보호를위한 교정처우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수용자의 자녀관련 특성이 수용자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부모역할 지원을 위한 여성수용자 처우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53개 교정기관에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8세 이하 자녀를 두고 있는 남녀 수용자 10,299사례를 분석하였다. 여성수용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위해 수용자의 인구사회학적요인들, 수용자-자녀관계 요인들, 자녀들의 상황 요인들로 변인들을 구성하였으며, 남성수용자와의 성별비교를 통해 여성수용자들의 독특한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카이스퀘어 검증, 또는 독립표본 t 검증을 이용한 통계적 방법으로 수용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주된 발견사항은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자자녀와 관련된 거의 모든 변인들이 수용자의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용이 초래한 부모역할에 대한 타격은 모성이 부성보다 크므로 여성수용자 처우에서 모성보호가 중요한 이슈가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여성수용자들은 남성수용자에비하여 자녀와 함께 살았던 실질적인 양육자ㆍ보호자였고, 그들의 자녀들은 양육자와의 분리 외에도어머니의 체포 장면을 목격하고 수용된 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어머니가 수용된 후에 양부모 모두의 보호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고 가정해체도 더 심각했다. 한편 여성수용자들은 수용 후에도 자녀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수용생활과 재결합 단계에서부모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보호요인이 될 것으로 보였다. 아울러 수용자의 부모역할 지원에 관한 교정처우를 여성수용자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역사회를 통한 단기적인 모성역할 대리, 모성역할 유지와 재결합을 대비한 모성자질 향상, 지역사회와 협력을 통한 자녀들의 가정지원을 여성수용자 처우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빈곤범죄자에 대한 예비사회복지사들의 인식·태도 연구

        신연희 아시아교정포럼 2022 교정담론 Vol.16 No.2

        The majority of criminals are poor. The problem of criminals in poverty is a task that requires a social welfare approach in that it is not unrelated to the socially vulner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attitude of prospective social workers on the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 the area of crime.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perception/attitude of prospective social workers regarding the values ​​of social welfare (distributive justice, equality, equity, equality vs. equity, solidarity) with a focus on crim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values was analyzed through a Chi-square test. For this study, we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73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s/attitudes of major social welfare values ​​in relation to the crime problem, prospective social workers were negative about whether social welfare values ​​are being realized in our society. Negative perception was close to 70% in areas of fairness of distribution and equality of law enforcement. For this reason, they showed a high degree of sympathy for the fairness of law enforcement for the vulnerable and the solidarity of the members of society on the problem of poor criminals. The sense of solidarity with problems of criminals in poverty was tested by dividing the groups into moderate and active sympathizer groups, and the hypothesis regarding the relevance to major social welfare values ​​was tested. As a result, the recognition of the justice of distribu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equality of law enforcement had little to do with social responsibility (solidarity) for the problem of poor criminals. It showed that they showed a passive attitude toward criminals as recipients of welfare services even though they negatively perceive the justice of distribution or the equality of law enforcement.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equality in law enforcement for the vulnerable class and equality or equity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olidarity with respect to the problem of criminals in poverty. Specifically, the group with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fairness of law enforcement for the vulnerable class compared to the negative group, and the group that values ​​equity rather than the group that places importance on the equal application of the law to the vulnerable group is more likely to respond to the social problem of poor criminals more sympathetic to responsibility. Therefore, the value of equity and solidarity for the problems of the vulnerable class internalized by social workers can be applied to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for poor criminals. To this end, we discussed the need for a social device that can respon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poverty from a welfare point of view. 범죄자의 다수는 빈곤하다. 빈곤범죄자 문제는 사회취약계층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에서 사회복지 차원의 접근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의 가치들에 대한 예비사회복지사들의 인식ㆍ태도를 파악하고 범죄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범죄문제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의 가치들(분배정의, 평등, 형평, 평등 vs. 형평, 연대성)에 관한 예비사회복지사들의 인식ㆍ태도를 분석하였고, 이들 가치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카이스퀘어 검정(Chi-square test)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회복지학과 대학생 173명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주요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 주요가치들을 범죄문제와 관련지어 살펴 본 결과, 예비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우리사회 사회복지 가치들의 실현정도는 부정적이었다, 분배의 공정성, 법집행의 평등성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70%에 가까웠다. 이런 까닭에 취약계층에 대한 법집행의 형평성과 빈곤범죄자 문제에 대한 사회성원들의 연대감에 높은 동조를 보였다. 한편, 빈곤범죄자 문제에 대한 연대감을 온건동조 집단과 적극동조 집단으로 구분하고 사회복지 주요가치들과의 관련성에 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분배의 정의에 대한 인식과 법집행의 평등성에 대한 인식은 빈곤범죄자 문제에 대한 사회적 책임감(연대감)과 관련이 적었다. 분배의 정의나 법집행의 평등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도 범죄자를 복지서비스 대상자로 보는 태도는 소극적임을 보여준다. 반면에 취약계층에 대한 법집행의 형평성과 사회복지 실천에서 평등과 형평 중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느냐는 빈곤범죄자 문제에 대한 연대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취약계층에 대한 법집행의 형평성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집단보다는 긍정적인 집단이, 그리고 취약계층에 대해 법의 평등한 적용을 중시하는 집단보다는 형평을 중시하는 집단이 빈곤범죄자 문제에 대한 사회적 책임에 더욱 동조하였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에게 내면화되어 있는 취약계층에 대한 형평이나 연대성의 가치는 빈곤범죄자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이를 위해서는 복지적 관점에서 범죄와 빈곤과의 관련성을 바라보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적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가 교도소에 있는 자녀 및 자녀양육자들의 프로그램 욕구와 클라이언트 중심 접근의 적용

        신연희 아시아교정포럼 2014 교정담론 Vol.8 No.2

        이 연구는 부모가 교도소에 있는 수용자자녀와 자녀양육자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클라이언트 중심 접근에 입각하여 프로그램 개발 및 운용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교정기관을 방문한 수용자자녀 112명과 자녀양육자 182명을 대상으로 욕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욕구의 특성과 욕구관련 요인들의 발굴을 위해 통계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용자자녀 프로그램의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주요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자 자녀들과 자녀양육자 모두 개별적 특성과는 별개로 지원이 필요한 프로그램의 선호순위는 각 집단별로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자녀와 자녀양육자 모두 높은 욕구를 표출한 프로그램으로는 경제적 지원프로그램과 정보제공 프로그램이었다. 셋째, 욕구 내용에서 자녀와 자녀양육자 간의 두드러진 차이로는 자녀들은 수용된 부모와의 접촉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았지만 가족들은 경제적 지원과 자녀양육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높아 클라이언트 유형별로 선호 프로그램이 다르다는 점이었다. 넷째, 분석결과를 근거로 수용자자녀 지원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용 방안을 제안하였는데, 프로그램 개발은 클라이언트의 집단적 보편성을 기반으로 집단 프로그램 위주로 접근할 것,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기준으로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분류할 것, 클라이언트가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 않는 욕구에 대해서도 대안을 마련할 것, 수용자자녀와 자녀양육자별로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 양육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것, 그리고 수용자가정의 빈곤문제에 대한 대응과 경제적 안정을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간호사의 교대근무유형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 피로, 업무오류건수 비교

        신연희,최은영,김은희,김연금,임영숙,서상순,김경순,김영중 병원간호사회 2018 임상간호연구 Vol.24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12-hour shifts for nurses compared to 8-hour shifts for the variables: Work-Life Balance, fatigue and work errors. Methods: In 2014, an opportunity to choose a 12-hour shift duty was given to a group of 8-hour shift nurses. In 2016, two years after this chang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two group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Data were sampled by a matching method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he participants were 128 nurses: 64 nurses on 12-hour shifts and 64 nurses on 8-hour shifts. The comparison was analyzed using x2 test, t-test. Results: The nurses on 12-hour shifts showed higher scores for Work-Life Balance (3.37) than the groups on 8-hour shifts (2.99)(p=.018) whereas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fatigue (p=.132) or work errors (p=.703). Conclusion: The Work-Life Balance scores for nurses who chose the 12-hour shift shows an enhancement without an increase in fatigue or work errors.

      • KCI등재

        가정문화의 양성평등과 가정폭력과의 관계에 관한 경험적 연구

        신연희 아시아교정포럼 2018 교정담론 Vol.12 No.1

        이 연구는 가정폭력의 발생이 가정문화의 양성평등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편의표집으로 추출한 217명의 기혼남녀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부장적 문화 이론에 토대를 두고 가정생활에서 남녀 간의 비차별성, 가사일분담의 공평성과 같은 양성평등 관련 요인들의 가정폭력 발생가능성에 대한 예측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발견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평등의 측면에서 가정문화의 특성을 보면 다섯 가정 중 두 가정 정도는 여전히 가사일을 양성이 평등하게 분담하고 있지 않으며, 다섯 가정 중 한 가정은 남녀차별 대우를 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폭력은 부부폭력 18.5%, 자녀폭력 29.2%로 상당한 수준의 발생율을 보였다. 셋째, 가정폭력 원인규명에 관한 분석결과 성별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가정문화의 양성평등은 가정폭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가정폭력 피해가 더 많고, 가정문화가 양성평등하지 못할 때 부부폭력 및 자녀폭력의 발생가능성은 높아졌다. 특히 남녀 간에 차별을 두는 가정문화는 부부폭력 및 자녀폭력 모두의 발생가능성을 높이는 위험요인이었으며, 가사일분담의 공평성은 가정폭력 발생에 약하게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양성평등한 가정문화가 생활 속에서 정착되도록 함으로써 가정폭력의 발생가능성을 낮출 수 있음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equality of family culture on domestic violence. The study corrected the data from 217 married men and women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Based on the theory of patriarchal family culture, the study examined equality issues between male and female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its effects on domestic violenc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culture, two out of five families’household chores were not divided equally, and one out of five families were showing gender inequality within its family culture. Second, domestic violence showed 18.5 percent between married couples and 29.2 percen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ird, gender equality within a family culture was shown to be a cause of domestic violence. Specifically, women were more the victim of domestic violence than men, and family culture with gender inequality were more prone to domestic violence of spouse abuse and child abuse. Family culture that divided the male gender from the female gender showed a higher possibility of violence between couples and their children, while the dividend of household chores showed little correlation. Thus, the study showed that providing a gender equality family culture lowered the possibility of domestic violence.

      • KCI등재

        수용자 가족관련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 프로그램 운영자의 관점에서

        신연희 아시아교정포럼 2011 교정담론 Vol.5 No.2

        본 연구는 교정시설 가족관련 프로그램의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전국 50개 교정기관을 전수 조사하였으며, "가족만남의 날", "가족만남의 집", "가족 캠프", "아버지학교", "어머니학교", "귀휴"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자 가족관련 프로그램의 실시율 및 참여율은 전반적으로 낮아 프로그램이 제도적으로 존재하지만 활발히 운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인 것으로 보였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 면에서 프로그램의 확대운영, 프로그램 환경의 변화,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 교정사고에 대한 직원책임의 완화를 프로그램 운영자들은 요구하였다. 셋째, 우선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서비스로 수용자와 가족의 만남, 수용자에 대한 출소대비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선방안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질적 제고, 프로그램의 확대 운영 및 대상자 선정의 확대, 물리적․심리적․시간적 접근용이성 확보, 프로그램 진행에서 발생한 교정사고로부터 프로그램 운영의 독립성 보장, 그리고 인프라 구축을 통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수용자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신연희,전영실,김영식 한국교정학회 2008 矯正硏究 Vol.- No.40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actors related to prisoners' family strength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6 male and female inmates incarcerated in pris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ucture factors(the stability of marriage, the extent of family contact), family quality factor(family relation), and social demographic factors(sex,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condition), punishment factors(experience of incarceration, period of incarceration) are analyse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family strengths of inmates are related to sex, education, economic condition,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duration mostly. The main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female prisoners, the lower educated prisoners, the poor families,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the longer separation from family shows negative to the family strengths. Second, according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family strengths, the specific approach based on sex should be developed. Third,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for prisoners and their families who are in lower socio-economic conditions to enforce family strengths. Finally, the strengths of prisoners' families will be effective to enforce the family quality rather than family structure. 본 연구는 수용자 교화 및 관리에서 가족건강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 연구로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용자 가족건강성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혼 남녀수형자 556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을 가족의 구조(혼인관계 안정성, 가족과 접촉정도)와 가족의 질적인 면(가족관계)으로 정의하였으며, 가족건강성이 수용자의 사회인구학적(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및 형관련 특성(입소경력, 복역기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질적인 면에서 모두 수용자의 성별,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입소경력, 복역기간 등과 대부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견사항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하여 혼인관계가 안정적이지만 가족과의 접촉 및 가족관계에서 더 부정적이며, 수용자의 교육수준이 낮거나 가족이 빈곤한 경우, 그리고 입소경력이 있거나 시설 수용으로 가족과 분리된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족건강성의 구조적·질적인 면 모두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에 있어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가 많아 가족건강성 강화정책은 수용자의 성적인 특수성에 기반하여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셋째,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수용자와 그 가족이 가족건강성에 관한 우선적인 정책 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넷째,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인 면보다는 가족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는데 보다 비중을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