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온고압 보석용 다이아몬드 성장에서 인산칼슘 첨가의 영향
송정호,송오성 한국귀금속보석학회 2012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Vol.6 No.2
고온고압 환경 하에서 온도구배(thermal gradient)법을 이용하여 대구경 단결정 다이아몬드 성장이 가능하다. 탄소분말에 인산칼슘(Ca3(PO4)2)은 각각 0.0, 0.2, 0.4, 0.6, 0.8, 1.0wt%로 첨가한 혼합분말을 원료로 하고 이들을 다시 Fe54Ni29Co17 촉매금속과 함께 파이로필라이트 셀에 위치시키고 크기 1mm의 합성다이아몬드를 씨드로 하여 5.6GPa, 1,480℃, 10hrs HPHT 환경에서 온도구배를 이용하여 성장시켰다. FT-IR에 의한 Type 검사, 진동시편자력계(vibrating sample magnetometry)에 의한 잔류 촉매금속 확인, 마이크로라만 분석에 의한 잔류 인산칼슘과 흑연화 검사를 진행하였다. 인산칼슘의 첨가량에 따라 다이아몬드 성장이 방해 받다가 0.8wt% 이상에서는 다이아몬드 성장이 진행되지 않았다. 성장된 다이아몬드는 0.07ct까지 성장할 수 있었고 인산칼슘에 의한 영향 없이 모두 vivid yellow 색상을 보였다. FT-IR에 의하면 모두 TypeⅠb 다이아몬드로 성장하였다. VSM 결과에 의하면 성장된 합성다이아몬드는 모두 강자성 촉매의 잔류에 의한 강자성 특성을 보였고 이들은 인산칼슘의 첨가량에 영향 받지 않았다. 마이크로라만 분석을 통하여 인산칼슘은 다이아몬드 내부에 잔류하지 않았고 성장 시의 흑연점(graphite spots)도 생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스리랑카산 밀키 기우다 사파이어의 열처리에 따른 물성변화
송정호,문성환,장계원,송오성 한국귀금속보석학회 2013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Vol.7 No.3
기우다(Geuda)는 푸른색의 발색에 필요한 Fe2O3와 TiO2를 충분히 함유하고 있지만 아투명한 흰색의 천연 저급 사파이어이다. 기우다의 색향상을 위해서 진공분위기에서 1600℃- 5시간, 1800℃-1시간의 두 가지 진공열처리 조건으로 유지하여 열처리 전후에 이들의 색변화와 내포물의 변화를 WD-XRF, 광학현미경, UV-VIS-NIR, FT-IR, 마이크로라만 분광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WD-XRF 결과, 발색원소인 Fe2O3와 TiO2는 합성블루사파이어에 혼합된 정도로 존재하였다. 또한 X-선 조사에 의해 표면부가 노란색(yellowish)으로 변형되는 특징이 있었다. 광학현미경 확인에 의하면 1600℃ 처리 시편은 색상 변화 없이 내부에 불투명 내포물이 성장하였으나, 1800℃ 처리시편은 블루사파이어로 색변화가 진행되고 내포물이 성장하는 특징이 있었다. 1600℃ 처리 시편은 열처리 전후에서 UV-VIS-NIR, FT-IR, 마이크로 라만의 피크변화도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1800℃ 처리시편의 경우, FT-IR, 마이크로 라만으로는 열처리 전, 후의 변화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UV-VIS-NIR 분석결과 블루색 발현에 의해 450nm 부근의 투과율 증가와 내포물 성장을 확인하였다. 기우다의 색향상을 위한 열처리를 위해서는 1800℃ 고온처리 공정이 바람직하였다.
송정호,최윤영,안지영,김동욱,형우진,노성훈 대한위암학회 2015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15 No.3
Purpose: Laparoscopic total gastrectomy (LTG) is more complicated than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especially during a surgeon’s initial experience with the techniqu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hort-term outcomes of and learning curve for LTG during the initial cases of a single surgeon compared with those of open total gastrectomy (OTG).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9 and 2013, 134 OTG and 74 LTG procedures were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who was experienced with OTG but new to performing LTG. Clinical characteristics, operative parameters, and short-term postoperative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Advanced gastric cancer and D2 lymph node dissection were more common in the OTG than LTG group. Although the operation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LTG than for OTG (175.7±43.1 minutes vs. 217.5±63.4 minutes), LTG seems to be slightly superior or similar to OTG in terms of postoperative recovery measures. The operation time moving average of 15 cases in the LTG group decreased gradually, and the curve flattened at 54 case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was similar for the two groups (11.9% vs. 13.5%). No anastomotic or stump leaks occurred. Conclusions: Although LTG is technically difficult and operation time is longer for surgeons experienced in open surgery, it can be performed safely, even during a surgeon’s early experience with the technique. Considering the benefits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LTG is recommended for early gastric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