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량작물 생산에 대한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발전 방향 - 전문가 설문조사 연구

        송선화,정재경,조승호,김재윤,심상인 한국작물학회 2022 한국작물학회지 Vol.67 No.1

        ABSTRACT Building self-sustainable rural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through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innovation is one of the major goals of the Korea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as a part of the nation’s 4th industry revolution. To identify areas for improving and effectively investing in the acceleration of rural development, 207 experts in the areas of crop science and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were interviewed for their opinions and suggestions on 22 questions designed to recognize fundamental agricultural issues to be addressed and solutions to advance technology innovation and rural development.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expected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ies to resolve major agricultural issues and help build a better rural environment. To overcome technology gaps and resolve issues more effectively, further investment in training new technology experts and building stronger agricultural technology infrastructure is urgent, and persistent and systematic support from agricultural administration appears to be the key for accelerating the process. While the leading global group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have advanced their technologies beyond the field application stage, most of the Korean technologies remain at the early pilot stage. Aging population and lack of labor in rural areas, unknown future climate change, and challenges in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are expected to be resolved by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ies. Technological innovations by research institutes should be promptly deployed in the crop production field, and farm training systemically organized by local technology centers can accelerate farming revolution. Standardization of equipment and data systems is another key to the success of digitalization of food crop production and food supply chains nationwide. 적 요정부는 4차산업혁명의 선도사업으로 농업 부분의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사업을 지정하였다. 이에 한국 작물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식량작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작물 분야 및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관련자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설문조사 결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은 한국 농업의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며 노지스마트디지털농업기술 발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개발에 따른 핵심 인력 양성 및 지속적인 정부의 관심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설비 구축 및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농업 선진국들의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연구 및 개발 수준은 현장 적용 및 검증단계, 실용화 단계이나 우리나라는 아직 기술개발 단계에머무르고 있다. 고령화나 노동력 부족,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발전 등을 위해선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확산을위해서는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고 농민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기술 교육이 필요하며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장비-데이터의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나아가 소비자와다른 농산업 현장에도 적용되어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 및 성공적인 정착은 기후변화대응, 농업의 친환경성 증진, 노동력 부족의 해소에 기여할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작물 생산 능력 제고를 통한 식량안보 강화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 KCI등재

        Enhanced Resistance of Transgenic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am.) Plants to Multiple Environmental Stresses Treated with Combination of Water Stress, High Light and High Temperature Stresses

        송선화,곽상수,임순,권석윤,이행순,박용목 한국생태학회 2006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9 No.5

        Ecophysiological parameters of non-transgenic sweetpotato (NT) and transgenic sweetpotato (SSA)plants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ir resistance to multiple environmental stresses.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in NT plants decreased markedly from Day 6 after water was withheld, whereas those values in SSA plant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during this period. Osmotic potential in SSA plants was reduced more negatively as leaf water potential decreased from Day 8 after dehydration treatment, while such reduction was not shown in NT plants under water stresed condition. SSA plants showed les membrane damage than photochemical efficiency of PS II (Fv/Fm) in NT plants markedly decreased, while that in SSA plants was maintained relatively higher level. This trend of changes in Fv/Fm between SSA plants and NT plants was more conspicuous as simultaneously treated with water stress, high light and high temperature str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SA plants are more resistive than NT plants to multiple environmental streses and the enhanced resistive characteristics in SSA plants are based on osmotic adjustment under water stres condition and tolerance of membrane.

      • KCI등재

        유아들의 나눔의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송선화,서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이 유치원에서 경험하고 있는 나눔의 현상들을 이해하고, 유아들이 갖는 나눔의 특성과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는 맥락적 특성을 중요하게 보는 질적 연구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고,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있는 그대로의 상황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G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4세 연두반으로, 이 학급의 유아 20명과 담임교사 1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0년 9월 1일부터 2011년 2월 18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비디오 촬영 및 음성녹음, 문서수집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연두반 유아들이 나타낸 나눔의 특성은 "맞서는 나눔","선택적 나눔", "규칙에 따른 나눔", "거래적 나눔", "권유와 수용의 나눔", "조절과 이해의 나눔"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들이 갖는 나눔의 의미는 크게 "분할", "드러냄", "채움"이었다. 즉, 연두반 유아들의 나눔은 한정된 자원에 대해 각자의 몫으로 쪼개지는 "분할"의 의미,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자기 자신을 우선으로 인정받고자 하며, 자신의 존재를 과시하고 "드러냄"을 추구하는 의미, 서로가 필요로 할 때 "채워줌"으로써 반 전체가 더불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나눔의 의미로 볼 수 있었다. 이는 상대방에 대한 공감 능력이 발달하면서 점차 자신의 이익을 통제하고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는 나눔의 가치를 발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나눔을 효과적으로 정착시키고 활성화하기위한 유아교육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good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phenomena of sharing that young children experience at their kindergarten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ir sharing. For this purpose, I believe that an appropriate quality study must emphasize contextual properties, and hence observe unmodified situations in natural environ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20 young children and 1 teacher of the Yeondu Class for 4 year-olds at a famous kindergarten in G City. The period of the study was from September 1, 2010 to February 18, 2011, inclusive, and the data collection was achieved through participating observation, deep interviews, video and audio recording, and document collection. The analysis findings reveal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ring among the children in the Yeondu Class include "opposed sharing," "selective sharing," "sharing based on rules," "sanctioned sharing," "sharing by recommendation and acceptance," and "sharing in adjustment and understanding." Also, the meanings of their sharing are "division," "revealing," and "filling" in general. That is to say, the sharing among the children of the Yeondu Class has the meaning of "division," in which limited resources are divided among the children, the meaning of "revealing" in which they try to be recognized above all and to show off themselves, and the meaning of sharing, in which the whole class can be comfortable with each other in terms of "filling." Here, we discern the value of a sharing in which the children show empathy with the others by controlling their own benefits and consider the others" situations as their ability to sympathize develop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to actively try to effectively establish and activate the best meanings of sharing.

      • KCI등재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분노표출의 관계: 마음챙김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송선화,홍혜영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4 variables(Covert Narcissism, Anger-out, Mindfulness and Anger-i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ger-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nger-out in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it,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536 university students(222 men and 314 women) in Seoul, Gyeonggi Province, Chungnam Province and Gyeongbuk Province. For the measuring tool, covert narcissism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cale, mindfulness attention and awareness scale was used as a measure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analyze and compare the data, 4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at has mindfulness and anger-in as medi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nger-out were establish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vert narcissism affected anger-out that include full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lso the verified model 2 in which mindfulness and anger-in have double mediating effect was adopted as the best model. Specific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nger-in, mindfulness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anger-out, anger-i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Meaning that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bo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here the mediating effect mean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vert narcissism caused the lower the level of mindfulness as well as the higher tendency of anger-out. At the same tim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mean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vert narcissism caused the lower the level of mindfulness as well as the higher tendency of anger-out due to too-much oppressed anger-in. This could be summarized as the indirect influence of mindfulness on anger-in is greater than the direct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anger-out. Finally, the limi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내현적자기애와 분노표출의 관계에 대한 마음챙김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충남, 경북 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536명(남 222명, 여 314명)을 대상으로 내현적자기애 척도, 상태-특성 분노척도, 마음챙김 척도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내현적자기애와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분노억제를 매개변인으로 갖는 구조모형 4개를 설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현적자기애가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마음챙김의 완전매개효과를 포함하고, 마음챙김과 분노억제가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구조모형(검증모형2)이 가장 우수한 최종모형으로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현적자기애와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마음챙김과 분노표출 사이에서 분노억제는 부분매개효과로 역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더불어 내현적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마음챙김 수준이 낮아지고, 분노표출을 많이 하는 매개효과와 내현적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마음챙김 수준이 낮아지고, 분노억제를 많이 하여 분노표출이 증가하는 이중매개효과 모두 완전매개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내현적자기애가 분노표출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보다 마음챙김과 분노억제에 의한 간접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나타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밀에서 출수 후 잎의 생리적 특성 및 종실 생장에 대한 수잉기 이후 고온의 효과

        송선화,최재은,정재경,고종한,이경도,심상인 한국작물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6 No.4

        In recent years, global warming has led to frequent climate change-related problems, and elevated temperatures, among adverse climatic factors, represent a critical problem negatively affecting crop growth and yield.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hysiological traits of wheat plants grown under high temperatures. Specifically, the effects of elevated temperatures on seed development after heading were evaluated, and the vegetation indices of different organs were assessed using hyperspectral analysis. Among physiological traits, leaf greenness and OJIP parameters were higher in the high-temperature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 Similarly, the leaf photosynthetic rate during seed development was higher in the high-temperature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 Moreover, temperature by organ was higher in the high-temperature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 consequently, the leaf transpiration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were higher in the control treatment than in the high-temperature treatment. On all measuring dates, the weight of spikes and seeds corresponding to the sink organs was greater in the high-temperature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 Additionally, the seed growth rate was higher in the high-temperature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 14 days after heading,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higher redistribution of photosynthates at the early stage of seed development in the former. In hyperspectral analysis, the vegetation indices related to leaf chlorophyll content and nitrogen state were higher in the high-temperature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 after heading. Our results suggest that elevated temperatures after the booting stage positively affect wheat growth and yield. 고온처리가 동화산물의 공급부위인 잎과 수용부위인 종실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기관별 초분광 분석에 의한식생지수들을 비교해 보았다. 1. 출수 후부터 생리적 성숙기까지 지엽과 최상위엽의 엽녹색도에선 고온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은 값으로 유지되었고, 광합성 성능 지수 및 OJIP-derived parameter에서도 고온처리구 잎이 무처리구 잎보다 높았다. 본 연구결과, 수잉기 후 고온처리는 잎의 노화를 지연시켰고, 광계Ⅱ의 능력을 증가시켰다. 지엽과 최상위제2엽의 광합성률은 고온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저하가 늦게 시작되었다. 증산율과 기공전도도는 고온처리구 잎이 무처리구 잎에 비해 낮았다. 2. 출수 초기에 동화산물 공급부위인 지상부와 이삭축, 영의 건물중은 고온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온처리구보다 무처리구에서 높았다. 싱크기관인 이삭과 종실의 무게는 고온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고, 종실 생장률도 고온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다. 3. 지엽과 최상위엽의 식생지수들 중 엽록소 함량과 잎의질소 상태와 관련된 식생지수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고온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아졌고, 광효율과 관련된PRI은 출수 후 7일부터 무처리구보다 고온처리구에서높아지기 시작했다. 출수 후 7일에 지상부 건물중과 수분함량, 이삭축 건물중 및 종실 수분함량도 같은 결과를보였다.

      • KCI등재

        유아의 나눔 인식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연구

        송선화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유아의 나눔 인식의 수준이 대인관계성향의 하위요인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 80명을 대상으로 나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개방형질문지와 유아의 대인관계성향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나눔 인식의 수준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성향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나눔의 하위요인 중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들과 실천 방법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나눔 인식과 대인관계성향 간의 관계에서는 나눔 인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유아들이 갖는 나눔의 대상에 대한 인식은 사교-우호적 사회적 관계성향 및 과시-도취적 표현성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나눔 인식 수준에 따른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 대인관계성향의 전체 하위요인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즉, 나눔 인식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더 높은 대인관계성향을 나타냈다. 반면에 유아의 나눔 인식 하위집단이 경쟁-공격적 표현성향에서는 높은 부정적인 대인관계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유아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나눔 인식을 위한 다양한 경험과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환경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if and how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haring correlates with sub-factors of their dispositions toward interpersonal relations. Subjects were 80 young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G City. An open-ended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eir awareness of sharing and another questionnaire measuring th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were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Analysis of the data finds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haring to be relatively low,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s to be relatively high. These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cording to gender. However, the study finds that the girls had more exposure to the practice of sharing than did the boy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haring and their dispositions toward interpersonal relations, that disposi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those who also had a high awareness of sharing. In particular,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acts and objects of sharing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social-amicable" social relation disposition and the "ostentatious-narcissistic" expression disposition. In addition, the disposition toward interpersonal relations was greater in the group which had a high awareness of sharing than it was in the group with a low awareness of sharing. On the other hand, young children who registered a low awareness of sharing showed negative dispositions toward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disposition for "competitive-aggressive"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to create environments to promot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rovide young children with planned, guided experiences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a positive and desirable awareness of sha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