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무선 통신 환경에서 Legacy 시스템의 통합 기술에 관한 연구
趙承鎬 江南大學校産學技術硏究所 2003 산학기술연구소논문집 Vol.- No.15
기존의 고객-서버 컴퓨팅 또는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추세로 변하고 있으나, 무선 통신망의 낮은 대역폭, 단말기의 컴퓨팅 능력 등의 제약에 의해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그대로 무선 통신 환경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WML, mHTML, cHTML, XHTML 등 무선 단말기들의 다양한 표현 특성에 따라 XML를 중심으로 Legacy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들을 무선 단말기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요구되는 문서 모델, 객체와 데이터간 변환 모델, XML과 데이터베이스간 데이터 변환 프레임워크, XML 문서를 무선 단말기로 출판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및 관련 XML 기술들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다.
플랫 플레이트 구조물을 대상으로한 고강도 철근 사용에 따른 철근량 비교
조승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1
초고층 및 장경간 구조물의 시공에서 고강도 철근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일반 강도 철근에 비해 배근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부재에서 배근 간격에도 여유를 줄 수 있어 시공성 향상, 공기단축, 접합부 상세가 간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중 수직 및 수평 하중을 동시에 저항하는 플랫 플레이트 구조 형식의 주상복합 건축물을 선정하여 고강도 철근 사용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상복합 건축물은 수평부재인 슬래브가 전체 물량의 40% 정도를 차지하며 횡력을 고려하여 설계하였기 때문에 물량 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수직부재는 주거 건물 특성상 기둥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동일한 단면이 사용되어 일정 층수 이상에서는 부재의 내력보다 최소철근비에 의해 철근량이 결정이 되고, 이음 또한 모든 층에서 발생하여 고강도 철근 사용에 따른 물량 감소 효과는 작았다. 그리고 기초의 경우 다른 부재에 비해 물량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강도 철근사용에 따라 감소된 철근에 의해 철근배근 작업량의 감소와 공기가 단축되며, 적정한 배근 간격 확보로 인하여 시공성이 증진하고 구조체의 품질 향상 등의 정성적인 효과를 고려한다면 경제성의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common to construct high-rise buildings and long-span structures in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As these kinds of buildings and structures are getting more popular, it is common to utilise high strength materials such as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and cement to sustain durability and stability. When we use high-strength materials to construct high-rise buildings and structures, it would be beneficial for contractors to lower the input of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aggregate and 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ntity variation of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in flat plate structures which include main reinforcement, shear reinforcement, development and splice in flat plate struc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total amount of horizontal members account for 40 per cent of the total quantity of materials. Since the horizontal members were designed to resist lateral force, the amount of reduced reinforcing bar is more significant than other members in flat plate structures. In addition,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s in the vertical members (i.e. columns) would be able to reduce the quantity of them. The most remarkable aspect of this study is the reduction of reinforcing bars on footings. In this study, we expect that the reduced amount of bar arrangement will make it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and construct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ltimately, it will be able to attain improved quality and efficiency of construction using reinforced concrete.
전달관로 모델링을 이용한 유압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해석
趙勝鎬,黃雲圭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0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11 No.-
In this paper, simulation methods that uses the transmission lines are studied and realized, which can be very helpful in design and analysis of hydraulic control systems. The basic idea of this method is that system components are separated by transmission line elements prior to simulation. The PI-controller can keep inductance level as low as desired. It can also handle nonlinearities and discontinuities without flag signal when restarting integration. Parallel hydraulic circuits are simulated using a parallel processing algorithm. By applying variable timestep size for each subsystem, simulation time can be reduced. Simulation results of transmission line modelling method are compared with those of Runge Kutta method.
속도제어-유압펌프에 의하여 구동되는 사출성형 실린더의 궤적추적제어
조승호 사단법인 유공압건설기계학회 2007 드라이브·컨트롤 Vol.4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trajectory tracking control of a clamping cylinder for injection moulding machine, which is directly driven by speed controlled hydraulic pump in combination with AC servomotor. As a fundamental step prior to tracking controller design, feedback control system is developed by implementing a position control loop parallel with a system pressure control loop. A sliding mode controller combining velocity feedforward scheme is developed for enhancing the tracking performance. Consequently a significant reduction in tracking error is achieved for both position and pressure control applications.
조승호,유시용 한국재무학회 2020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08
본 논문은 국내 상장 기업의 개별 기업 수준(firm level) 총요소생산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했다. 총요소생산성은 기업의 핵심 특성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는 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정은 경제학분야 뿐만 아니라 재무분야에서도 활용성이 광범위한 매주 중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분석대상은 유가증권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이고, 분석기간은 2003년부터 2018년이다. 개별 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수준 측정을 위해 콥-더글라스(Cobb-Douglas) 생산함수를 사용했다. 측정을 위해 사용된 변수는 노동투입변수로 노동자수를, 자본투입변수로 자본스톡을 사용했고 산출물은 부가가치(value-added)를 사용했다. 총요소생산성 측정을 위해 모수(parametric) 분석 방법으로서 시스템적률법(system GMM)과 확률변경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을 사용했다. 비모수(non-parametric) 분석방식으로 대리변수(proxy-variable) 방법으로서 투자를 대리변수로 사용한 Olley and Pakes(1992) 모형과 생산 중간재를 대리변수로 사용한 Levinshon and Petrin(2003)모형을 사용했다. 모형 결과 비교를 위해 통합최소자승법(POLS)과 고정효과(fixed effect)모형을 사용했다. 분석 결과 측정된 기업 수준 총요소생산성의 분포 형태는 유사했으나 분포 수준은 상이함을 보였다. 분포 내 개별기업의 순위순서(rank-order)를 비교해 보면 측정 방법에 따라 순위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분포 곡선의 단순 이동이 아니라 분포에서 개별 기업의 순위순서가 달라지면서 이동한 것이다. 이는 기업 수준의 개별 총요소생산성을 활용하여 개별 기업의 재무비율, 투지지표나 주가수익률 등의 관련성을 연구할 경우 측정 방법 선택에 따라 연구 결과가 일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존 총요소생산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경제학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고, 산업별/지역별 수준으로 통합(aggregate)한 거시(macro)연구가 주를 이룬다. 반면에 본 연구는 미시(micro)연구로서 개별 기업 수준의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했다. 사용하기 용이한 상장기업의 회계자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해당 기업의 재무자료, 투자지표, 위험지표, 주가수익률 등 개별 기업 수준의 재무·투자자료와 총요소생산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를 위한 기초 분석으로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