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폴리머-리피드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이용한 레티놀의 합성

        손승연,강유진,박영아,지홍근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2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2 No.2

        Drug delivery technology that delivers effective ingredients to the skin is being developed in combination with nanotechnology. In this study, a hybrid material combining polymer and lipid was prepared as a material for improving stability and skin permeability. The amphiphilic material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olymer-lipid hybrid is a PEG-PCL-based copolymer and has both hydrophobic and hydrophilic functions, and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copolymer. A polymer-lipid hybrid is a self-assembled polymer double-layer vesicle consisting of a lipid-like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block copolymer amphiphilic medium. Various types of polymer-lipid hybrids can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copolymer, and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can be provided compared to liposomes and niosomes. Polymer-lipid hybrids are prepared by mixing a polymer with hydrogenated lecithin. It has the advantage of simultaneously pursuing lipid-like biocompatibility of liposomes and biodegradable properties of polymers by combining amphiphilic block polymers with phospholipid biocompatibility. The polymer and hydrogenated lecithin are mixed in an appropriate ratio and the ratio in which the change in the particle size is minimized over time is selected and dispersed with various oils. As the polymer content increases, the particle size of the polymer-lipid hybrid increases, and the zeta potential is in a stable state of –30 mV or more. The stability of liposomes was compared by collecting retinol, a representative unstable active substance in cosmetics, by selecting the most stable ratio and oil.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s of the existing liposome and polymer lipid-hybrid are formed differently through an electron microscope, and that the structure is maintained without changing even when retinol is included. It can be seen that polymer-lipid hybrids form a stable structure through rheological and dispersion stability compared to liposomes and long-term temperature-specific content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that polymer-lipid hybrids will sec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cosmetics industry as a new carrier. 피부에 유효성분을 전달하는 약물 전달 기술은 나노 기술과 결합하여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와 지질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안정성과 피부 투과성을 높이는 물질을 제조하였다. 고분자-지질 하이브리드 제조에 사용되는 양친매성 물질은 PEG-PCL 기반 코폴리머로 소수성 및 친수성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며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고분자-지질 하이브리드는 고분자와 수소화된 레시틴을 혼합한다. 즉, 인지질 생체막에 양친매성 블록 고분자를 결합하여 리포좀의 지질 유사 생체 적합성 및 고분자의 생분해성 특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장점을 지닌다. 고분자와 수소화된 레시틴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자 사이즈의 변화가 최소화된 비율을 선택하여 다양한 유상과 분산시킨다. 고분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분자-지질 하이브리드의 입자 크기는 증가하며 제타 전위는 –30mV 이상으로 안정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가장 안정적인 비율과 유상을 선택하여 화장품에서 대표적인 불안정한 활성 물질인 레티놀을 포집하여 리포좀과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기존 리포좀과 고분자 지질-하이브리드의 구조가 전자현미경을 통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레티놀이 포함되어도 구조가 변하지 않고 유지됨을 알 수 있다. 고분자-지질 하이브리드는 리포좀에 비해 유변학적 및 분산 안정성을, 장기적인 온도별 함량 분석을 통해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전달체로 고분자-지질 하이브리드가 화장품 산업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 성인애착과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낙 관계

        손승연,임성문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2011 대학생활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인애착과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낙' 간의 관계에서 자 아존중감과 성적자기주장을 1, 2차 매개변인인 경로모형으로 설정하고 매개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청도, 경상도에 소재한 4개 대학에서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과거와 현재의 데이트 파트너와의 사이에서 파트너의 원하지 않는 성관계 요구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355명(남학생 186명, 여학생 169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인애착이 자아존중감과 성적자기주 장,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낙'으로 이어지는 경로모형이 관찰된 자료와 잘 부합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성인애착이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낙'에 곧바로 영향을 미 치는 것이라기보다 성인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감소된 자아존중감 이 성적자기주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감소된 성적자기주장은 ‘원하지 않 는 성관계 응낙'을 증가시킴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성인애착과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낙'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성적자기주장의 1, 2차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이성교제에서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아존 중감과 성적자기주장이 성인애착과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낙' 관계에서 강력한 중재변 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 상사의 성실성 및 친화성, 차 상위 상사의 지원이 상사의 모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승연,박희태,이수진,윤석화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실제 조직에는 긍정적, 부정적 리더 행동이 혼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으로 리더십 연구는 효과적인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비록 약 15년 전부터 파괴적ㆍ부정적 리더 행동의 하나인 상사의 모욕적 행동이 많은 연구관심을 받아왔으나 주로 상사의 모욕적 행동의 결과에 초점을 둠에 따라 상사의 모욕적 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가 제한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상사의 성격 특성인 성실성과 친화성, 상황 요인인 차 상위 상사의 지원을 상사의 모욕적 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제시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상사의 친화성 및 차 상위 상사의 지원은 부하가 지각하는 상사의 모욕적 행동에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차 상위 상사의 지원이 낮은 경우 상사의 친화성과 상사의 모욕적 행동간의 부적관계가 강하게 나타나는 반면, 차 상위 상사의 지원이 높은 경우에는 상사의 친화성과 상사의 모욕적 행동간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사의 성실성의 경우 상사의 모욕적 행동에 대한 직접효과 및 차 상위 상사 지원과의 상호작용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의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사의 모욕적 행동에 대한 선행요인을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이는 상사의 모욕적 행동의 결과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둘째, 상사의 성격 특성인 친화성이 상사의 모욕적 행동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선행요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즉 친화성이 높은 상사일수록 부하들에게 모욕적 행동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차 상위 상사의 지원이 상사의 모욕적 행동에 미치는 부적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사와 부하의 관계에 초점을 둔 기존의 연구 관점을 차 상위 상사 수준까지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넷째, 상사의 모욕적 행동에 대한 상사의 친화성과 차 상위 상사 지원의 상호작용효과를 밝힘으로써 조직 차원에서 상사의 모욕적 행동의 표출 가능성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및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손승연,이종연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career and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to set up research directions for career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From 2000 to 2015, a total of 117 articles on career and career counseling of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published by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an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ublished by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were analyzed by time, gender, grad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statistical analysis, and measurement tool.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ime of the study, articles started to increase gradually from 2006, and it was the most in 2009 and 2010. In terms of gender, articles of all college students were 83% and those of only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6%, and there was none of only male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grade level, articles of students in all grade levels were 87% and those of students in 2nd through 4th grade level were 7%, and there was none of students in the 1st grade level.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rticles on career activity were 28%, followed by career development, personality traits, and adaptation.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occupied the majority(87%), and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similar(6%). In terms of statistical method, the variance analysis was used the most(27%),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used the next highest. In terms of the use of measuring tools, scales in career variable domain were the most frequent measures(67%),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was the next highest with 11%, followed b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uncertainty scales. The scales developed by foreign researchers were more utilized than those developed by domestic resear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studie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counseling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 및 진로상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대학생 진로상담의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상담학회에서 발간하는 ‘상담학연구’와 한국상담심리학회에서 발간하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발표된 진로 및 진로상담에 관한 총 117편의 논문을 연구시기, 성별, 학년별, 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방법, 측정도구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시기별로는 2006년도를 기점으로 점차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09년과 2010년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성별로는 전체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83%, 여자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6%, 남자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학년별로는 전체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87%, 2,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7%,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주제별로는 진로행동에 관한 연구가 28%로 가장 많았고, 진로발달, 성격특성 및 적응 순으로 많이 연구되었다.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8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혼합연구와 질적연구가 각각 6% 정도로 비슷하였다. 분석방법별로는 변량분석이 27%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로는 진로변인 영역의 측정도구 활용이 67%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1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진로결정수준, 진로미결정 척도 순으로 많았으며, 국내연구자가 개발한 척도보다 외국연구자가 개발한 척도가 더 많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상담 관련하여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조직지원인식, 상사의 모욕적 행동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승연,이수진,박희태,윤석화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2

        개인의 성격 특성은 일상생활뿐 아니라 조직에서 개인의 다양한 행동과 성과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그 중에서도 완벽주의는 심리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연구관심이 제기되어 온 성격 특성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경영학 분야에서 완벽주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더욱이 완벽주의가 순기능 및 역기능을 모두 포함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인간의 심리 및 행동에 미치는 완벽주의의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완벽주의에 대한 포괄적 이해가 제한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완벽주의 구성개념 중 철저한 업무 수행에 대한 열의, 완벽한 일 처리 등 본질적 특성상 조직 내에서의 개인의 과업성과와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를 선택하여 과업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성활성화 이론에 따라 성격 특성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과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상황적 요인인 조직지원인식 및 상사의 모욕적 행동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성실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과업성과와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관계는 높은 조직지원인식, 낮은 상사의 모욕적 행동 하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나는 반면, 낮은 조직지원인식, 높은 상사의 모욕적 행동 하에서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과업성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네 가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심리학에 국한된 완벽주의 연구 영역을 경영학 분야로 확장시키면서 조직 내에서 개인의 과업성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것이다. 둘째, 과업성과에 미치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의 정적 효과를 실증함으로써 완벽주의의 부정적인 측면에 치중된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을 보완하려 했다는 것이다. 셋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조직지원인식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낮은 사람들이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조직이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일부의 해답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상사의 모욕적 행동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긍정적 리더십에 편중된 선행연구들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한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낮은 사람들로 하여금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데 상사 행동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는 것이다.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an be useful for predicting individual behavior and performance at work as in ordinary life. Among these, the concept of perfectionism has been a topic of widespread interest in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Nevertheless, very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 role of perfectionism in predicting individual’s performance in management. Although there is considerable agreement that perfectionism has positive aspect as well as negative one,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dysfunctional and neurotic aspects of perfectionism. This trend limits ou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erfectionis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positive aspects of perfectionism in organizational settings. Specifically, we first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ask performance. Self-oriented perfectionism reflects a strong motivation for the self to be perfect, setting exacting standards for oneself, and evaluating one’s own behavior stringently. Therefore, we expect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may have potential relation with task performance at work because it includes motivational components of striving to attain perfection in one’s own performance as well as behavior. Following trait activation theory, we then examine the extent to whic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abusive supervision affect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task performance relationship. Out of the process, we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the following hypotheses:H1: Employee’s self-oriented perfectionism is positively related to task performance. H2: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ask performance such that the relationship is stronger wh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low than wh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high. H3: Abusive supervision moder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ask performance such that the relationship is stronger when abusive supervision is high than when abusive supervision is low. Surveys were distributed to 160 employee-supervisor dyads from 9 organizations in Seoul. The organizations represented 3 service and 6 manufacturing organizations. Participants were assured of the confidential of their responses. The employee survey contained demographic questions and questions assessing self-oriented perfectionism,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abusive supervision. While employees were completing their surveys, superviso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employee task performance in a separate room. All of the items except demography were measur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ranging from 1 = strongly disagree to 7 = strongly agree). A total 121 matched dyadic data were used for analysis. In the employee sample, 58% were men and the average age was 30.6 years(S.D.= 4.8). Around 59% of the respondents had at least bachelor’s degree and their average tenure was 5.3 years(S.D. = 4.9). In the supervisor sample, 68% were men and the average age was38.2 years(S.D.= 5.9). Approximately 60% of the respondents had at least bachelor’s degree and their average tenure was 10.8 years(S.D. = 5.9).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esting hypotheses. As predicted, results confirmed that employee’s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task performance after conscientiousness was controlled. Although not hypothesized,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and abusive supervision had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task performance, respectively, like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we foun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abusive supervision moderated the effect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task performance,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ask performance was stronger wh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l...

      • 자기희생적 리더십 :개념적 정의 재조명 및 통합 연구모형 제시 1)

        손승연,노명화,윤석화,Seung Yeon Son,Myong Hwa Roh,Seokhwa Yun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3

        급변하는 경영환경으로 인한 불확실성 , 불안정성이 증대되는 오늘날 그 어느 때보 다도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이 중요해지고 있다 . 그에 따라 구성원들의 이런 헌신과 희생을 독려하는 효과적인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는데 ,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그런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리더십 중 하나이다 . 본 연구는 점차 많은 연구관심이 제기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연구의 체계적 수행을 위해 다음의 3 가지 사항을 중점 적으로 다룸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토대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첫째 , 수동적 형태 중심의 현존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개념적 정의에 적극적 형태의 자기희생을 보완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정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보완된 개념적 정의는 향후 실증연구를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둘째 , 긍정적인 영향 뿐 아니라 부정적 결과까지 초래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다양한 결과와 유형을 고찰 함으로써 긍정적 영향력에 치중된 선행연구의 관점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 이를 통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 접근이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 셋째 ,기존 연구에서 발견된 것들을 의미 있게 묶어주며 향후 연구를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통합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 이 통합 모형은 자기희생적 리 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보다 큰 그림을 그리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아울러 논문의 말미에는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 In today’s fast-paced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s rely more on employees’ voluntary participations and dedications. Following this trend, researchers have been investigated effective leadership to motivate subordinates’ dedications and self-sacrifices. Among these leaderships, SSL is regarded as an inspirational and exemplary behavior. In the present article, we focus on three topics to help theoretic foundation reinforced for future researches relating to SSL. First, we attempt to present more comprehensive conceptual definition of SSL that encompass active types of self-sacrifice. The improved definition complements existing definition that concentrates on passive form of self-sacrifice. Second, we consider the dark side of SSL as well as positive consequences. By doing so, we try enlarge the research perspective that have placed too much emphasis on desirable outcome of SSL. In the same vein, we suggest various SSL patterns to result in positive and/or negative effects on leader, employees, and/or organization. Finally, integrated research model of SSL is proposed. This model can play a role to integrate previous findings and act as a guide to help researchers take his or her course for future studies. Even though this paper has not a few limitations, it has also theoretical significances in that it might contribute to complete big picture of SS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