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타적 강화학습 과제를 이용한 이타성의 측정

        설선혜,김학진,이민우 한국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3 No.2

        Altruism requires representing and valuing others' welfare. In the present study, we designed the Altruistic Learning task (AL task) to measure individual differences in valuing another person's welfare and examined its relationship with dispositional empathy (Experiment 1) as well as ingroup bias/parochial altruism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performed the AL task in which they made choices between a pair of stimuli with different reward probabilities (30% vs. 70%) to reduce the amount of stress for themselves or their peer participants. The task consisted of three within-subject conditions (i.e. SELF, BOTH, and OTHER conditions) where different types of outcome (i.e. points for self, for both, and for other) were associated with three different pairs of stimuli. The amount of value that each participant attached to a given outcome can be measured with the frequency of choosing the higher reward probability option (HRP o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ho scored higher in personal distress and empathic concern measured by IRI (Davis, 1983) were more likely to choose the HRP option in the BOTH and OTHER conditions, indicating the role of emotional empathy iin the process of valuing other-regarding outcomes. In Experiment 2, we employed the minimal group paradigm (Tajfel, 1970) and compared choices for an ingroup member with those for an outgroup member in the AL task. We employed the same experimental design as the Experiment 1, except for having INGROUP and OUTGROUP conditions, instead of previous BOTH and OTHER conditions. The choice frequency for the HRP option was higher in the SELF and INGROUP conditions than the OUTGROUP condition, indicating ingroup bias of the participants in valuing welfare of others. Our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AL task can be a useful and valid measur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altruism. 이타 행동은 타인의 안녕에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타인의 안녕에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이타적 강화학습과제를 개발하고 공감 성향과 내집단 편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강화학습과제에서 참가자들은 주어진 두 개의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보상을 얻을 수 있는데, 각 옵션의 보상 확률은 30%와 70%로 다르고, 시행을 반복하면서 선택과 결과 간의 관계를 학습해야 한다. 여기서 보상에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는 보상 확률이 높은 옵션을 선택하는 빈도로 측정된다. 실험 1에서는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자기-보상, 자신과 타인에게 모두 도움이 되는 공동-보상, 타인에게만 도움이 되는 타인-보상 조건에서 참가자들의 학습 정도를 비교하고 공감 성향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 선택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적 공감 성향이 높은 참가자들이 공동-보상 조건과 타인-보상 조건에서 높은 수행을 보여서 타인의 안녕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최소집단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이타적 강화학습과제에서 내집단 편향이 관찰되는지 확인하였다. 참가자들은 내집단원에게 더 호감을 보였으며,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자기-보상 조건, 내집단원에게 도움이 되는 내집단원-보상 조건, 외집단원에게 도움이 되는 외집단원-보상 조건에서의 선택을 비교하였을 때, 자기-보상 조건과 내집단원-보상 조건에는 차이가 없고 외집단원-보상 조건에서만 보상 확률이 높은 그림을 선택하는 빈도가 낮았다. 즉, 외집단원보다는 내집단원의 안녕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했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이타적 강화학습과제가 이타성을 측정하는 타당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행복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믿음과 주관적 안녕감

        설선혜,최종안,최인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4 No.4

        Lay theory is implicit assumptions about the social world that individuals hold, which influences personal experiences and behaviors.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y theories and happiness suggested various lay theories are associated with individual differences in experiencing happines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belief in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happiness is related to individuals’ happiness. In Study 1, belief in happiness distribution was measured by self-reported survey and then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self-reported feeling of happiness, In Study 2 and Study 3, participants performed behavioral tasks in which they predicted others’ levels of happiness on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Participants’ beliefs on the happiness distribution were estimated based on their responses in the tasks and were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Results of Study 1-3 revealed that participants who believed happiness is not equally distributed across space and time tended to feel lower level of happiness and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In Study 4, we found that belief in the economic distribution is no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r other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Our findings suggest that belief in unequal distribution of happiness is negatively linked to individuals’ level of happiness and this relationship may not be domain-general but be specific to the domain of happiness. 내재 이론(Lay theory)은 개인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세상에 대한 암묵적 가정으로 개인의 경험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내재 이론과 행복 경험 간의 관계를 조사한 선행 연구들은 행복과 관련된 다양한 내재 이론들이 행복의 개인차와 관련되어 있음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에 대한 믿음이 개인의 행복 수준과 어떻게 관련되어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행복의 공간적 분포와 시간적 분포에 대한 전반적 믿음을 자기보고 설문을 통해 측정하고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2와 연구 3에서는 사람들이 타인의 행복을 지각하는 양상을 공간적 차원과 시간적 차원에서 각각 측정하고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1-3의 결과, 행복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믿음이 강한 사람들이 행복감을 덜 경험하고,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4에서는 경제적 부의 분포에 대한 믿음이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행복의 불균등 분포에 대한 믿음이 개인의 행복 수준과 부적으로 관련되어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관련성은 자원 분포에 대한 일반적 믿음보다는 행복에 영역 특정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분석적-종합적 인지양식과 파급효과의 예측

        설선혜,최인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3

        East Asians and North Americans are known to have distinct cognitive styles, namely, holistic vs. analytic thinking style. This cognitive difference results in cultural differences in beliefs about causal complexity. For example, compared to North Americans, East Asians consider a larger amount of information for causal attribution due to their relatively more complex causal models of the world.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whether holistic vs analytic thinking also affects perceptions of causal impact of a given event. In study 1, we asked participants to judge whether each of a list of outcomes would be affected by a negative event (i. e. a large scale layoff) or a positive event (i. e. job security until retirement) and found that the more holistic participants perceived that a greater number of outcomes would be affected by a target event, either positive or negative. In study 2, we compared the perceptions of causal impact of Koreans and Americans.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 Koreans predicted a greater ripple effect of a given event than American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종합적 인지양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다양한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때문에 분석적 인지양식을 가지 고 있는 사람들에 비해서 세상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더 복잡한 인과모형을 적용한다. 기존의 비교문화심리학 연구들 은 종합주의로 인한 인과모형의 복잡성 때문에 동아시아인들이 서양인들보다 귀인 과정에서 더 많은 정보를 고려하 고, 그 결과, 기본적 귀인 오류를 덜 범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양식의 문화적 성향이 원인의 추론 뿐만 아니라 결과의 예측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적-종합적 인지양식이 파급효과 예측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분석적-종합적 인지양식의 개인차와 예측된 파급효과의 크기의 관계를 알아보 고, 종합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주어진 원인사건으로 인해 발생하게 될 파급효과를 더 크게 예측하는 것을 확 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한국인과 미국인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파급효과 예측의 문화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미국인 에 비하여 한국인이 원인사건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는 사건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원인사건으로부터 인과적 거리가 먼 결과들에서 이러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 1과 2의 결과는, 종합주의적 성향이 강할수록 주어진 사건의 영향력을 더 넓게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분석적-종합적 인지양식으로 인한 인과모형의 복잡성 이 귀인뿐만 아니라 결과의 예측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신경윤리학: 뇌과학의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문제

        설선혜,이춘길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1

        Exciting developments of neuroscience in recent years have brought not only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rain function, but also new ideas on humanity such as origins of self, free will, and mind. While innovative neurotechnologies based on these developments have opened the possibility for applications unforeseeable in the past, new concerns of ethical, philosop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se trends have appeared. In the current article, we review the concerns and trends of the neuroethics, which has emerged in recent years to deal with ethical and legal issues related to neuroscience and its applications. We mainly discuss ethical issues that accompany applications of neurotechnologies, and philosophical challenges of how we can understand the new findings in neuroscience. 신경과학과 이에 기반 한 신경공학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이전에는 불가능하였던 이해와 응용들이 가능해졌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쟁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 쟁점들은 생명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등장하였던 문제들과는 다른 차원의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인간성의 기반을 이루는 뇌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고등 인지 기능의 신경 기전에 대해 이해하게 되면서 종래 인간성에 대한 철학적 입장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고, 인간 행위에 대한 종래의 도덕적, 법적 책임의 소재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 정신 과정에 개입하는 신경공학 기술 또한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뇌과학의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새롭게 형성된 학문 분야를 신경윤리학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신경윤리학의 문제들을 크게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쟁점으로 구분하여 소개하고 있다. 윤리적 쟁점에서는 기술 적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란이 될 만한 신경공학 기술들을 소개하고 예상되는 문제들을 다루었다. 철학적 쟁점에서는 인간 본성에 대한 기존의 철학적 입장에 대하여 신경과학의 연구 결과들이 제기하는 새로운 물음들을 소개하고, 여기서 비롯되는 법적 책임의 문제를 중심으로 법적 쟁점을 다루었다. 사회적 쟁점에서는 신경공학 기술과 신경과학 연구 결과들이 사회 경제적 지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신경윤리학과 관련한 최근 동향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뇌과학의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문제에 대처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인습 구분에 대한 논쟁과 함의

        설선혜(Sunhae Sul),이승민(Seungmin Lee) 한국인지과학회 2018 인지과학 Vol.29 No.2

        본 논문은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인습 구분에 관한 최근의 논쟁들을 개관하고 그 함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도덕 판단에 대한 연구들은 규범 위반에 대한 판단에서 타인의 규범 위반 행위에 대한 평가와 함께 위반한 규범의 도덕-인습 차원에서의 분류를 함께 고려해왔다. Kohlberg와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을 발전시킨 Turiel(1983)은 도덕 원칙이 인습과 명확하게 구별된다고 보고 도덕-인습 구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도덕은 보살핌과 정의의 영역에 특수하며, 보편성/객관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전통적인 도덕 심리학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 왔으나 최근 들어 지속적인 도전을 받아왔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인습 구분 기준에 대한 비판을 도덕 감정 이론(moral sentimentalism)과 도덕 지역주의(moral parochialism), 도덕 다원주의(moral pluralism)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도덕 감정 이론은 도덕 판단에서 정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도덕과 인습이 정서-비정서 차원의 연속선상에 혼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도덕 지역주의는 인류학과 비교문화 심리학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규범 위반 행위가 집단의 유지와 집단 내 개인의 존속에 의미가 있는 경우에만 규범 위반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처벌 의사가 강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덕 위반에 대한 판단도 인습에 대한 판단만큼이나 상대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도덕 다원주의에서는 문화와 개인차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도덕적 직관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살핌과 정의의 차원만 도덕에 해당한다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들은 기존의 합리주의적 도덕 발달 이론에서 가정하였던 도덕-인습의 구분이 사람들이 실제로 규범 위반을 판단하는 양상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며 체계적인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resent article reviews recent arguments on the moral-conventional distinction in moral judgment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moral psychology research. Traditional research on moral judgment has considered both the evaluation of transgressive actions of others and the categorization of the norms on the moral-conventional dimension. Kohlberg, Piaget, and Turiel (1983) regard moral principles to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social-conventional norms and suggested criteria for the moral-conventional distinction. They assume that the moral domain should be specifically related to the value of care and justice, and the judgment for the moral transgression should be universal and objective. The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 or social domain theory, which has been generally accepted by moral psychology researchers, is recently being challenged.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ree different approaches that criticize the assumptions for the moral-conventional distinction, namely, moral sentimentalism, moral parochialism, and moral pluralism. Moral sentimentalism emphasizes the role of emotion in moral judgment and suggests that moral and conventional norms can be continuously distributed on an affective-nonaffective dimension. Moral parochialism, based on the evidence from anthropology and cross-cultural psychology, asserts that norm transgression can be the object of moral judgment only when the action is relevant to the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a group and the individuals within the group; judgment for moral transgression can be as relative as that for conventional transgression. Moral pluralism suggests multiple moral intuitions that vary with culture and individual, and questions the assumption of the social domain theory that morality is confined to care and justice. These new perspectives imply that the moral-conventional distinction may not properly tap into the nature of moral judgment and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

        도덕적 딜레마에서의 판단경향성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민우,설선혜,김학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8 No.2

        Mor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ession formation by signaling a target's prosociality and resulting in a positive evaluation of the targe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how moral principles that a target endorses on impression for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argets with different moral decision styles, namely utilitarian and deontologist, are perceived differently.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an utilitarian target and a deontological target on warmth-competence domain and big-five personality traits. Results showed that the deontological target scored higher in warmth than the utilitarian target, while the opposite was true in competence rating. In addition,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deontological target was more likeable than the utilitarian target. In study 2, we replicated the findings of study 1 with between-subject design.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vorable attitude toward a deontological target was mainly mediated by warmth rating. In study 3, we tested whether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are favored in different decision domains.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behavioral vignettes depicting various daily problems in social or nonsocial domains and asked to indicate which target they would like to ask for advice. We found that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were preferred in social and non-social problems, resp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impression formation process can be influenced not only by how moral a target is but also by what specific moral principle a target follows when making moral decision. 도덕성은 이타성의 잠재적인 지표로서 타인에 대한 긍정적 인상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상형성 대상이 지닌 도덕적 판단 경향성(moral decision style)이 인상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아직 시도된 바 없다. 본 연구는 도덕적 딜레마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공리주의적(utilitarian) 성향과 의무론적(deontological) 성향을 지닌 서로 다른 두 인물이 지각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공리주의자와 의무론자의 인상이 따뜻함 차원과 유능함 차원 및 성격5요인, 호감도의 측면에서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다. 참가자들은 의무론자를 상대적으로 더 따뜻한 사람으로 지각하는 반면 공리주의자는 더 유능할 것이라고 평가하였으며, 의무론자가 공리주의자보다 더 선호되는 패턴이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피험자-간 설계를 적용하여 연구 1의 결과를 재확인하는 한편, 도덕적 판단경향성과 호감도의 관계에서 따뜻함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두 변인에 대한 따뜻함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3에서는 공리주의자와 의무론자가 서로 다른 의사결정 영역에서 차별적인 선호도를 지니는지 알아보기 위해 참가자로 하여금 사회적 갈등상황과 비사회적 갈등상황 하에서 조언을 받고 싶은 대상을 고르도록 하는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의무론자는 사회적 갈등상황에서, 공리주의자는 비사회적 갈등상황에서 조언을 구할 대상으로 각각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상이 지닌 도덕적 판단경향성에 의해 인상형성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대인지각에서 도덕성에 대한 보다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내-외집단 차이: 위반 주체 소속집단과 위반 장소의 효과

        이승민,설선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3 No.1

        사회 규범은 집단을 유지하고 집단 구성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규범의 준수와 위반에 대한 판단은 집단 정보와 맥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경쟁 맥락(연구 1)과 경쟁 맥락(연구 2)에서 집단 정보가 도덕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위반 주체의 소속집단(내집단 vs. 외집단)과 위반 장소(내집단 vs. 외집단)에 따라서 도덕 판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도덕 판단은 위반 규범의 분류와 위반 행위에 대한 평가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의 소속 대학교와 타 대학교를 사용하여 집단 정보를 제시하고 대학 생활에서 일어날 법한 규범 위반 사례들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외집단원이 내집단 장소에서 위반한 규범을 외집단 장소에서 위반한 규범에 비해서 도덕보다는 사회 인습으로 분류하는 반면, 내집단원이 위반한 규범에 대해서는 위반 장소와 무관하게 판단하였다. 위반 행위의 평가에서는 내집단원이 내집단 장소보다는 외집단 장소에서 규범을 위반할 때, 사회 인습보다 도덕 원칙 위반을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경쟁 관계에 있는 야구팀을 사용하여 집단 정보를 제시하고 야구 경기 관람 중 일어날 법한 규범 위반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연구 1과는 반대로 연구 2에서는 내집단 장소에서 외집단원이 위반한 규범을 내집단원이 위반한 규범에 비해 도덕 원칙으로 판단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위반 주체의 소속집단과 위반 장소가 도덕 판단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Social norms play a fundamental role in the survival of a group and the well-being of the group members. Therefore, people consider group information important when they make judgment on norm viola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information in the moral judgment under non-competitive(Study 1) and competitive(Study 2) contexts.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transgressor’s group membership(ingroup vs. outgroup) and the physical location where the transgression has occurred(ingroup vs. outgroup). Moral judgment was measured using a moral-conventional task and moral evaluation task. In Study 1, we used participants’ affiliated university and a nearby university to manipulate the group information and asked participants to evaluate hypothetical norm violations that were assumed to happen in college life. We found that outgroup member’s transgression occurred in the ingroup territory than in the outgroup territory was regarded as conventional than moral, whereas the moral-conventional judgment of ingroup member’s transgression was not affected by the physical location. Participants evaluated ingroup member’s moral violation occurred in the outgroup territory more negatively than that occurred in the ingroup territory. In Study 2, we invited a group of baseball fans and manipulated the group information using the context of a game against a rival team, in order create a competitive context. Contrast to Study 1, Study 2 showed that outgroup member’s transgression in the ingroup’s territory was judged as moral than conventional, compared to ingroup member’s transgres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nsgressor’s group membership and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transgression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moral judgment under non-competitive and competitive contexts.

      • KCI등재

        이성 간 인상 형성에서 일어나는 단편 판단 (Thin-slice Judgement)의 성차

        강평원,설선혜,최인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3

        People can infer information about others from a brief observation, namely by the thin-slice judgmen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gender difference of thin-slice judgment during the impression formation of the opposite sex.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infer personality traits and body sizes of a target person and evaluate her/his likableness as a potential girl/boyfriend based on a brief exposure to face, voice, or both.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volutionary psychology on mating strategy, we predicted and confirmed that male participants inferred body sizes (Body Mass Index: BMI) of a female target more precisely than personality traits whereas female participants inferred personality traits (emotional stability and conscientiousness) of a male target more accurately than BMI. In addition, the likableness judgment of each target was largely affected by the features that each gender could infer with higher precisi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강화학습과제에서의 어머니의 이타적 성향과 자녀의 공감 간의 관계

        김은영,설선혜,유하나,김학진,송현주 한국여성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fants’ and preschoolers’ empathy is related to maternal morality. Mothers’ altruistic behaviors were measured by using the reinforcement learning task in which the mothers learned the association between an ambiguous figure and a reward for either self, other, or both. The mothers also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altruism, social value orientation, Machiavellism, and children's empathy.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ltruistic behaviors in the reinforcement learning task and their children’s empathy. Amor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in Machiavellism scale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empathy. Mothers with high desire for status tended to have infants with the low level of empathy. Mothers who were willing to manipulate others for their benefit were more likely to have preschoolers who had the low level of empathy.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new perspectives on how to measure mothers' moralit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orally relevant e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