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실시간 원격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 참여 촉진을 위한 방안 모색

        서순식 ( Soonshik Suh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0 창의정보문화연구 Vol.6 No.3

        코로나19로 인해 초중등학교 및 고등교육기관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의 급진적인 변화를 경험하였고, 교육부는 원격교육상황에서 교수학습의 질을 담보하고, 학습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교육부 지원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원격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을 집중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학습 참여 촉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실시간 원격교육에서 학습 참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활용방안으로, 첫째, 학습자의 적정 학습 집중 기간에 대한 고려, 둘째, 학습활동 중 예기치 못한 문제 상황 발생 대처 방안, 협업 도구로 소회의실 및 채팅 활용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Corona19 has experienced radical changes in teaching method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continued various attempts and support to ensur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to promote learning participation in distance education. In this study, the support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post-Corona era was reviewed, and the professors' experiences in remot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intensive interviews. As a way to utilize programs to support participation in learning in real-time distance education, first, consideration of the proper period of concentration of learning by learners, second, coping with unexpected problems during learning activities, and using small meeting rooms and chatting as a collaboration tool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서순식(Soonshik Suh),양희원(Heewon Ya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1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도래로 원격수업은 이제 일상이 되었고, 교육대학 재학생인 예비교사에게는 원격교육과 관련된 역량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초등교원 양성대학 재학생들이 코로나19 이후 대학 수업에서 경험한 원격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실태, 요구사항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122명의 예비교원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측정도구는 원격수업과 관련된 경험을 묻는 일련의 질문과 원격수업설계 역량과 관련된 문항 등으로 총 85문항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주로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은 비대면 원격수업과 대면 교실수업이 병행한 양태였고, 원격수업의 경우 교수가 탑재한 동영상 형태의 강의자료를 정해진 수강시간 내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둘째, 예비교원들은 하급 과정에서 의문이 생길 때 교수에게 학습내용에 대해 질문을 하는 경우보다 본인 스스로, 또는 동료 학생들과 협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셋째, 디지털 교육콘텐츠 개발 및 제작역량은 예비교원이 갖추어야 하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시급한 역량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erception, educational practice, and requirements of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d after COVID-19 by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 total of 122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 total of 85 questions were used including a series of questions about experiences of distance education and distance education design competenc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mainly used in universities was a combination of non-face-to-face distance education and face-to-face classroom education, and in the case of distance education, the method of individually learning video-type lecture materials uploaded by professors within a fixed class period was mainly used. Second, when questions arisen in the learning process,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solve the problem by themselves or in collaboration with fellow pre-service teachers, and it is not common to ask professors questions about the learning content. Third, the competency of developing and producing digital educational courseware was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competency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posses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과 AI교육에 관한 초등교원 인식 조사

        최을용(Eulyong Choi),서순식(Soonshik Suh)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및 AI교육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AI교육의 안정적인 정착 방안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만족도와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를 조사·분석하였고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만족도가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 대상으로 K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107명을 표집하였고 연구 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AI교육 수용 정도, 관심도 역시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AI교육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시사점으로는 AI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교사들이 AI교육의 유용성을 인지하고 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관심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연수 과정과 수업 자료를 제공하는 것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K교육청 소속 초등교사만을 대상으로 수행했다는 제한점이 있음을 밝히며,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 학부모까지 확대된 인식을 파악하는 것과 AI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실제적인 수용으로 이어지는지 종단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use of smart devices in classrooms and AI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stable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The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s of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as well as the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nd interest in AI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levels with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nd interest in AI education. A sample of 10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filiated with the K Education Office was selected, and an online survey was developed and utilized as the research t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oftwar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achers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Secondly, there was generally a high level of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nd interest in AI education. Thirdly, it was observed that higher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nd interest in AI education.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positive perceptions of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are linked to positive perceptions of AI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foster positive perceptions of AI education among teachers,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satisfaction levels with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Furthermore,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that help teachers recognize the usefulness of AI education and encourage them to actively embrace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it.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was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filiated with the K Education Office.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its scope to include not only teachers but also students and parents in order to obta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ir perceptions. Additionally, conducting longitudinal studies to investigate whether positive perceptions of AI education actually translate into practical acceptance is also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시라(Kim, Cyla),서순식(Suh, Soonshik) 한국교육방법학회 2006 교육방법연구 Vol.18 No.1

        웹 기반 협동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학습자 통제소재, 동기수준,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사용능력, 물리적 환경, 교수자의 지원, 연대감 형성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인으로 도출하였고 학습자간 상호작용 정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웹 기반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27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주 동안의 웹 기반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통재소재’,‘동기수준’, ‘컴퓨터에 대한 태도’, ‘컴퓨터 사용능력’, ‘물리적 환경’, ‘교수자의 지원’, ‘학습자 연대감’의 7가지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7가지 영향 요인 중 ‘연대감 형성’과 ‘교수자의 지원’, ‘물리적 환경’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웹 기반 협동학습의 학습자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학습자간 연대감 형성을 위한 협동학습 설계 전략을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즉각적이고 적절한 교수자의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시스템 불안정과 기술적인 문제 발생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 문제 해결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learner to learner interaction factors and the factors' virtual effects on learner to learner interaction wit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he precedent studies about leaner to learner interaction concept, theories of types and strategies of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have been consider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se studies, locus of control, motive level, computer skill, attitude with computer,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of instructor and form of fellowship were selected as a provisional factors which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270 second grade students in D high school have been participated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2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1) locus of control, motivation level, computer skill, attitude to computer,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of instructor and form of fellowship, these 7 factors are effective interaction factors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2) In sequence, the form of fellowship, support of instructor and physical environment affect interaction between peer learners. The suggestion of the study could be: 1)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fellowship, immediate and appropriate support of instructor and physical environment under consideration are required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2) Appropriate compensation is required to promote motivation of learners. Instructor can elevate motivation level as they make up individual evaluation including group evaluation. 3) The different level task which depends on the student's computer skill is required. For instance, the student who is good at computer will get interest and motivation when they get the high level task.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기초학력 양상 탐색 과정에서 드러난 교사의 학교 인식 변화

        이정표(Jung Pyo Lee),정영식(Young Sik Jeong),양희원(HeeWon Yang),안서헌(Seo Heon Ahn),김재윤(Jae-yun Kim),서순식(Soonshik Suh)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현장수업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코로나 19 기간 온·오프 병행 교육환경, 학생들의 기초학력 수준 변화와 학생 간 학습 격차 양상 탐색을 통해 교사의 학교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17명의 교사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적 경향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개방 코딩에서는 152개의 개념과 36개의 범주, 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 인과적 조건은 [개인 여건의 결핍, 불충분한 학교 환경, 그리고 땜질식 정책], 맥락적 조건은 [사회적 계층 차 그리고 사교육 유무], 주요 현상은 [기초학력 문제의 발생 및 심화], 중재적 조건은 [학교 환경의 변화], 행위/상호작용 전략은 [학교 역할 인식의 재구조화], 결과는 [교사를 기점으로 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활성화]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선택 코딩에서는 축코딩 결과를 수정·보완하는 형태로,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시각화하여, 코로나19 기초학력 양상 탐색 과정에서 교사의 학교 인식 변화를 간략하게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코로나 19를 겪으며 기존의 기초 학력 중심 인식에서 벗어나 사회화 기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학교 역할 인식을 변화시켰다. This study explored change in students’ basic academic ability levels and learning gaps between students in an online and offline parallel education environment during the COVID-19 period. In the process, It was revealed how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changed.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17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152 concepts, 36 categories, and 7 them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 is [lack of personal circumstances, insufficient school environment, and tinkering policy], the contextual condition is [social class differences and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the main phenomenon is [occurrence and deepening of basic academic ability problems], The intervening condition is [change in school environmen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is [restructuring of school role perception], and the result is [activation of social interaction starting with teachers]. Based on this, in selective coding, a matrix was constructed and visualized in the form of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axial coding result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he role of schools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socialization functions,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centered on basic academic skills through COVID-19.

      • 교육정보화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유행과 실행수준

        서순식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4 敎育硏究 Vol.22 No.-

        Since 1920s a number of efforts have taken placed in order to introduce the educational innovations into educational settings and to achieve successful educational changes. Recently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institution'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nd to change the structure of school systems are still conducted. As such efforts are expanded, previous attempts to introduce other types of educational technologies raise doubt as to the potential success of educational innovation. One of the reasons why we have not realized the optimal use of educational innovations is that there are not enough efforts to understand various educational change models. In this paper, the models which can offer the educational change practitioners valuable lessons and strategie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 연수 참여 교사들의 활용 실태 및 촉진 환경 조건 분석

        박병호,정한석,이명근,서순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6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사들이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Based Learning) 연수를 참여한 후 수업에 ICT를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 활용하는지와 이 과정에서 ICT 활용을 촉진하는 환경 조건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수 후 수업에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수업 적용도와 수업 진행을 위한 준비 활동에 대한 변화가 있었으며, ICT활용 수업을 하지 못한 교사들의 경우, 적용을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업 계획 및 준비를 위한 시간의 부족이었다. ICT의 활용을 촉진하는 환경 조건들에 대해서 교사들은 현 상태를 불편하게 인식하고 있지 않으며 시간과 보상을 주요 부족 요인으로 인식하였고,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위한 지식과 기능,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휴먼웨어(자원), 참여의식, 제도적, 행정적, 인력 뒷받침(위임), 지도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다고 응답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how and how much teachers utilize ICT in their instruction and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to promote ICT implementation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a teacher training for Project-Based Learning (PBL) with I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pplication of PBL into classroom and the class preparation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Lack of time to prepare the instruction using ICT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reason not to utilize ICT in their classroom. While teachers perceived time and rewards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lack, dissatisfaction with status quo, incentives, knowledge and skill,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were perceived as being present in their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