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삶의 영토는 상상(사유)의 영토와 분리되는가? -K. 다우드의 『뫼르소,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박치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문화 Vol.- No.42
8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tranger was published. It has been 60 years since Algeria gained independence from France. Nonetheless, the concept of "Algerianity" still haunts contemporary Algerian writers like a ghost. The publication of K. Daoud's Meursault, contre-enquête can be considered a kind of "literary event" that summoned Camus and his novel, The Stranger, back into the "Algerianity" again. Today, Algerians are not willing to discuss Camus' The Stranger. The reason is that Algerians do not treat The Stranger solely as a literary work, but rather focus on Camus' sociocultural misunderstanding of "Algeria" and "Arabs" as depicted in The Stranger. In this regard, Daoud's Meursault, contre-enquête is a cross-examination of Meursault, the protagonist of Camus's The Stranger, while also providing a cross-examination of the writer Camus. By cross-examining Meursault and Camus simultaneously, Daoud ultimately urges to readers to call the "nameless Arab" innocently murdered in The Stranger as Moussa. In this respect, Moussa is not an “individual” but also represents the “cultural community of Algeria”. Meursault, contre-enquête has research value in that it reminds us that the question of individual existence and identity is closely linked to a community rooted in locality. Meursault, contre-enquête is a group-portrait of contemporary Algerians.
박치완,김기홍 한국하이데거학회 2015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8
It has been almost a quarter of a century since the ‘crisis of humanities’ was promulgated, and it faces a new challenge by the influence of ICT industries; the demand for digitalizing of humanities. Under this harsh circumstance, it seems that the change into digital humanities is the only way for the ‘humanities in crisis’ to keep surviving, and this belief is disseminated purposedly in the context of the digitization phenomena all across the world including the U.S., many countries in the E.U. China, Japan, and Canada. Notwithstanding, it is highly suspicious that the change (humanities → digital humanities) is a proper way to fulfill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humanities of ‘studia humanitatis’, and an adequate knowledge mapping of the future. In this piece, the ways of defending the real value of humanities from the evaluation plots of technology and market are discussed. It is argued that the over-interpretation and worship of the digital humanities as a panacea or the public good of this area, is harmful for the humanities. It is also argued that the humanities as ‘authentic’ cannot be replaced by the digital humanities as replica. 인문학에 대한 진단을 ‘위기’로 평가한지 거의 4반세기가 되어간다. 헌데ICT산업의 전방위적 확산으로 인해 인문학은 재차 변신을 강요받고 있다. ‘인문학의 디지털화’가 바로 그 요구이다. 국내에서 디지털인문학으로의 변신만이 인문학의 생존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란 믿음이 확산되고 있는 배경은 미국을 필두로 유럽연합국가들이며 중국, 일본, 캐나다 등 전 세계의많은 국가에서 이에 선도적으로 대처하려는 움직임과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변신(인문학 → 디지털인문학)이 과연 ‘인간성의 탐구(studia humanitatis)’라는 인문학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과연 미래의 지식 지형에 대한 진지한 고민의 결과라 할 수 있는지 의심이 든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런 취지로 기술가치와 시장가치로부터 인문학을 해방시킬수 있는 방안은 없는지 고민해 보았다.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맹목적 믿음이 시대적 변화의 공의(公儀)를 대변하는 것인 양 과잉 해석되는 것은 결코 인문학의 진흥을 위해 득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해서다. 감히 주장하건대, ‘본디 것’인 인문학의 기준에서 볼 때 디지털인문학은 다분히 인문학의부차적인 작업에 그칠 수밖에 없다.
박치완 한국하이데거학회 2016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2
In the relation between Descartes, considered as an epithet ‘Socrates of modern philosophy’, and the Baroque can hardly be natural. Especially, the Baroque is estimated that has inconsistent relationship with reason, order, moderation that is the aim of the Renaissance and Classicism. In this sense, it can be easier to find anti-baroque character rather than baroque character in cartesian philosophy. By the way, the researchers of Baroque opened an International seminar named <Descartes et le Baroque> in 1973 in France. This title is enough to be regarded as a kind of scholarly challenge to cartesian philosophy, the founder of modern rationalism. This is the reason why we study the persuasive power of researches of Erik Larsen, Timothée J. Reiss, Jean-Marie Wagner, the topics presented at this seminar. For reference, they suggest a crude equation as <Descartes = The pioneer of the baroque spirit> by that is not inquired to baroque point in overall cartesian philosophy but simply stick on Descartes’s explicit mention about baroque character. Of course, this attempt has its own meanings that throws a light on cartesian philosophy. But though Descartes lived the Baroque and his slight mentions about imagination, sensibility etc that has the affinity with the baroque, it may be asked whether Descartes can be a baroquean. ‘근대철학의 소크라테스’라는 별칭을 고려할 때, 데카르트를 바로크와 연결시키는 것은 자연스러운 연상법이 아니다. 특히 바로크는 르네상스나 고전주의에서 추구한 이성, 질서 등과는 다른 길을 걷는다. 결국 데카르트 철학에서 바로크적 특징을 찾기보다는 반바로크적 특징을 찾는 것이 수월할 수 있다. 그런데1973년 바로크연구자들이 ‘데카르트의 나라’ 프랑스에 모여 <Descartes et le Baroque>라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는 합리주의의 교조로 널리회자되고 있는 데카르트 철학에 대한 일종의 ‘도전’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 우리가 에릭 라르센(Erik Larsen) 등의 논의가 과연 설득력이 있는 주장인지를 살펴보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참고로 이들 학회발표자들은바로크적 특징과 관계된 데카르트의 일부 언급에 천착해 <데카르트 = 바로크정신의 개척자>라는 어설픈 등식을 제안한다. 데카르트 철학을 새롭게 조명해보려고 했다는 점에서는 물론 이들의 작업에 대해 나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데카르트가 비록 ‘바로크 시대’에 살았고 또 그의 철학적 언급 속에바로크와 친연성이 높은 상상력, 감성, 이미지 등과 같은 일말의 언급들이 있다고 해서 데카르트가 바로크주의자가 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박치완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48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es in recent years is that culture has been driven by the logic of economics and market profit. It would be a main reason why ‘culture’ is naturally paired up with a modifier, the word ‘war’. In this article, we will face up to this situation and suggest common-sense argument from a glocal point that the study on the culture and culture contents must restore the value of cultural publicity(publicness) and move away from commercialization or industrialization, in other word the swamp of economic-globalization, so that the unique culture of each local country can be preserved. Cultural publicness can be revealed when it is regarded as public property, that is, the public property of human beings, not the private property of a particular individuals, companies or a particular countries. Cultural publicness can be a real enjoyment in both local and global world when culture is not collaborated with the globle market any more, but only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public good, common sharing, ethics and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e topic, cultivation of cultural publicness, is in the line with the respect about diversity of each local cultures and the culture as a public good of humanity, that is emphasized by UNESCO’s Human Cultural Heritage, is basically based on ‘non-economic truth’. This means that culture has value over the value of usage and exchange. That is why the culture, to be safe to say as a symbol of the ‘non-capitalist world’, should be freely granted widely to citizens of the world. 문화를 경제 및 시장의 수익 논리로 들이몰고 있는 것이 최근 문화의 생산과 소비, 유통의 현주소라 할 수 있다. ‘문화’가 ‘전쟁’이란 수식어와 자연스럽게 짝을 이루고있는 것도, 역설 같지만, 이 때문인지 모른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직시하고 문화 및 문화콘텐츠연구가 문화의 상품화나 산업화, 즉 경제세계화의 논리에서벗어나 문화공공성의 가치를 회복해야만 각 로컬 국가의 고유한 문화가 보존ㆍ고수될 수 있다는 상식적인 주장을 제안해보려 한다. 문화공공성은 문화를 공공재, 즉특정 개인이나 기업 및 국가의 사적 재산이 아닌 인류의 공적 재산으로 인정할 때비로소 그 본의가 발현될 수 있다. 문화공공성은 문화가 더는 글로벌 시장에 부역하지 않고 공공선, 공동보유, 윤리, 책임 등의 개념과 잇대있을 때 각 로컬과 글로벌세계에서 공히 진정한 향유 대상이 될 수 있다는데 기초한다. 문화공공성의 가치재고는 이런 점에서 각 로컬 문화다양성의 존중과 괘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인류의 공공재로서 문화, 즉 유네스코가 역설(力說)하고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문화’ 도 기본적으로 ‘비경제적 진리’에 기초한 개념이라는 점을 환기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바로 문화가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를 능가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비자본적 세계’의 상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문화가 지구촌 시민들에게 널리무상으로 공여되어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박치완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3
Discussions on the generational theory have recently become more activ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emergence of the Digital Natives (the generation born before and after 2000) is a direct cause of interest in the generational theory. This new generation, commonly referred to as Generation C or Generation Z, is “no longer the successors of the Generation X or Generation Y”(R. Giry). That way, Generation C show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 consciousness, generation value, behavior style, communication method, and culture consumption behavior. It is not just that we are interested in Generation C because it is a generation different, established generations such as Baby Boomers,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The more direct reason is that a new generation, who is accustomed to thinking and acting in the same way as peer groups, is born and raised in an everyday world and becomes a major decision maker and actor in every society in 20 years. As well as “consomm’acteur”(R. Morin). Cultural contents planning without precise understanding of Generation C, which will serve as a barometer of future cultural contents market, is more likely to be a ‘worthless effort’. If we consider Generation C, which is the generation of digital + emotion, to be the ‘Golden Fishing Grounds’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n a generational study on it is inevitable. In this paper, we will propose in terms of the theor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generation theory that it is time to diversify and itemize cultural contents planning by raising such problems. 세대론에 관한 논의가 최근 국내외적으로 활기를 띄고 있다. ‘디지털 원주민’ 세대(2000년 전후에 태어난 세대)의 등장이 세대론에 대한 관심을 추동시킨 직접적 원인이라 할 수 있다. C세대 또는 Z세대로 통칭되는 이 신세대는 “X세대나 Y세대의 계승자가 더 이상 아니다.”(R. Giry) 그 정도로 C세대는 기성세대와 세대의식, 세대가치, 행동양식, 직업관, 의사소통방식, 문화소비 행태 등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우리가 C세대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단순히 베이비부머세대, X세대, Y세대 등 기성세대와 세대차이가 난다는 점 때문만은 아니다. 더 직접적 이유는 이들 인터넷 환경이 일상화된 세계에서 출생하고 성장한 세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또래집단과 같은 방식으로 사고하고 같은 방식으로 행동하는데 익숙한 신세대가 20년 후면 모든 사회의 주요 의사결정자 및 행위자가 되는 것은 물론이고 “소비주동자(consomm’acteur)”(R. Morin)로 부상할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미래의 문화콘텐츠시장의 바로미터 역할을 할 C세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는 문화콘텐츠기획은 ‘보람 없는 수고’에 그칠 확률이 높다. 우리가 만일 ‘디지털 + 감성의 세대’인 C세대를 문화콘텐츠산업의 ‘황금어장’이라고 생각한다면, 이에 대한 세대론적 연구는 필수적일 수밖에 없지 않은가. 본고에서 우리는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통해 문화콘텐츠기획의 다변화·세분화가 필요한 때라는 점을 세대론의 관점에서, 시론적으로, 제안해보고자 한다.
박치완 한국하이데거학회 202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6
"GLocalization" means that the local is globalized. It is distinct from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or simple glocalization, the biggest difference being a desired shift in perception from the political and economic centers of power to locality-specific systems that operate under the rule of these powers. In this regard, GLocalization is both struggle for local awareness and a rights recovery movement; its goals lie in reconstructing and normalizing local knowledge. This normalization of local knowledge through GLocalization implies the relative repositioning of western European values that have hitherto dominated global knowledge systems by promoting their apparent universality and enlightenment. By relativizing these values, non-western European perspectives regain an inherent value in terms of their relative cultural diversity. As a result, the core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all knowledge is locality-based, especially in relation to subjective human knowledge as distinct from mathematical or scientific fields. This research explores issues by connecting GLocalization with decolonizing and provincializing western Europe. As we face a new era of imperialistic globalization, we argue that time should be taken to reflect on how and why it is important to think and act locally. ‘지역세계화’는 ‘지역이 세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세계화’나 ‘세계지역화’와는 확연히 구분되며, 양자 간의 가장 큰 차이는 정치·경제적 강대국 중심의 세계관을 이들 강대국의 지배나 통치를(과거나 또는 현재에도) 받고 있는 지역-로컬 국가 중심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데 있다. 이런 점에 ‘지역세계화’는 일종의 지역-로컬의 (탈식민적) 인식 투쟁이자 권리회복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그 목표는 지역-로컬의 지식-권력-존재의 재건에 있다. 지역세계화를 통해 모든 지역-로컬 지식이 정상화된다는 것은 결국 ‘보편’, ‘계몽’을 앞세워 그동안 전 세계의 지식을 지배했던 서구유럽의 가치를 ‘서구유럽’이라는 지리 안에 상대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서구유럽에서 생산된 가치를 상대화시킴으로써 비서구유럽권의 가치 역시 문화다양성의 관점에서 고유의 상대적 가치를 회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런 취지로 지역세계화를 ‘탈식민화’, ‘서구유럽의 지방화’와 같은 논제와 결부시켜 설명하게 될 것이며, 오늘날과 같은 탈지역-세계화 시대에 직면해 “지역-로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로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왜 그리고 얼마나 중요한지를 성찰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글로컬의 관점에서 본 유라시아: 정치적·경제적 접근에서 문화적 접근으로
박치완 한국하이데거학회 202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60
“Eurasia,” in which Russia and China are at the center, has recently become the political and economic epicenter of international news, not only practically but also at a discourse level. However, the more Eurasia is mentioned in the news, the more its cultural complexity and diversity, which consists of more than 90 countries, will inevitably be diluted. However, if Eurasia is only viewed from a politico-economic perspective, such as through a trans-nationalist lens and considering Russia’s “Greater Eurasia” and China’s “One Belt, One Road” policies, it is no different from the “cultural disaster” that Eurasian neighbors have to deal with. Culture refers to the unique heritage of a particular community that is inherited and maintain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respective countries. This is why it is important for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Eurasia to protect their own culture from global hegemony. When a culture is deterritorialized, the associated national identity is proportionately diluted. Following Eurocentrism and Americanism, Russia and China continue to pass the baton and regard Eurasia as their economic preys. The problem is that none of these countries is attentively considering the Eurasian cultural rights. Therefore,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Eurasian Culture” from a glocal point of view. The “glocal’s perspective” calls for a reboot of the economies of hegemonized countries while incorporating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Further, when all local Eurasian countries choose to safeguard their cultural uniqueness and specificity from the threat of the commercialization of world and the globalization of goods, we can call it “cultural diversity” in the true sense of the term. The glocal’s perspective involves that the victim countries of the hegemony take the center stage to protect their cultural rights and prioritize true cultural exchanges over political and economic cooperation and partnerships. Only when the “localobalization” of cultures becomes the epistemology and ontology of Eurasian cultures will Eurasia no longer be a hotbed for political and economic disputes but a place of peace and a repository of human culture. 러시아와 중국이 그 중심에 있는 유라시아는 최근 정치적·경제적으로, 현실적·담론적으로 국제 뉴스의 진원지가 되고 있다. 그런데 유라시아가 뉴스에 등장하면 할수록 90여 개국으로 구성된 유라시아의 문화적 중층성과 다양성은 희석될 수밖에 없다. 만일 이렇게 유라시아가 초국가주의적 렌즈와 러시아의 ‘대유라시아’나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서처럼 오직 정치적·경제적 관점에 따라 접근되는 데 그친다면, 이는 곧 유라시아의 주변국들이 감당해야 할 ‘문화의 재난’ 쯤은 감수하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문화는 각 지역-로컬에서 대를 이어 전승되고 유지되는 단위 공동체의 고유한 유산이다. 글로벌 패권, 즉 경제의 세계화로부터 유라시아의 주변국들이 자신의 문화를 지켜내는 것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문화가 탈영토화되면, 이에 비례해서 국가의 정체성도 희석되기 마련이다. 유럽중심주의, 미국우선주의에 이어 러시아와 중국이 바통을 이어가며 유라시아를 경제적 먹잇감으로 여기고 있다. 문제는 이들 중 그 어떤 열강도 유라시아의 문화권(cultural rights)에 대해서는 진지한 고려를 하고 있지 않다는 데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라시아‘문화’”를 글로컬의 관점에서 재고하는 것이 필급하다는 제안을 해보려 한다. ‘글로컬(Glocal)의 관점은’ 패권국들의 경제에 전심(專心)한 대외정책을 문화적 다양성의 이해에서 재출발할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 모든 유라시아의 지역-로컬 국가가 각기 문화적 고유성과 특수성을 세계의 상품화, 상품의 세계화의 위협으로부터 지켜낼 때, 그것을 일러 우리는 진정한 의미의 ‘문화적 다양성’이 구현된 것이라는 주장을 펴보려 한다. 글로컬의 관점이란 이렇게 패권국의 피해국들이 중심이 되어 자신들의 문화권을 지키면서 진정한 문화교류를 정치적·경제적 협력과 파트너십보다 우선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문화의 지역세계화(localobalization of cultures)가 유라시아문화의 인식론이자 존재론이 되어야만 유라시아가 더는 정치적·경제적 분쟁의 온상이 아닌 평화의 대지, 인류문화의 보고(寶庫)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박치완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인터넷과 함께 태어난 세대들의 문화소비, 더 정확히 말해 기술문화의 소비 형태를 철학적으로 성찰하는데 본 연구의 목표가 있다. 이들 신자유주의 시대의 세대들에게 있어 타자관은 전통적 의미의 타자관과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게 특징이다. 개인주의적 성향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인류공동체에 대한 고민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라고나 할까.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학술대회의 기획주제이기도 한 문화정보 의 문제를 윤리적으로 접근하면서 ‘디지털 자아’, ’신자유주의적 자아’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박치완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6
Seriousness of conflicts among different generations became not a surprising news in the world. The issue of the poverty of the elderly in aging society cannot be dealt without direct connection to the other citizen’s welfare. As K. Mannheim stressed early, the problem of generation is not only a kind of ‘social change’ but also the key concept to understand societies in this very world. This is why we came up to ‘Renaissance’ of the generation studies. It is the time that The Generation Z(also as called ‘C’), who were born around the year of 2000, has been marching into the center of the society. ‘The Digital Primeval’ thinks and acts differently and shows very peculiar work’s ethics and political opinions. Thus this study will first compare The Generation Z(C) with other generations: Traditionalists, Baby Boomers, Gen Xers, Gen Yers(Millennials), focus on how we can overcome chauvinism of the generationalism and finally suggest how we can begin intergenerational relation. 최근 들어 어느 사회, 어느 국가나 할 것 없이 세대들 간의 갈등이나 세대 격차문제 해소를 위해 고심하고 있다. 게다가 지구촌의 대부분의 국가가 ‘노령화 사회(ageing society)’로 접어들면서 노인층의 빈곤 문제 또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데, 이 또한 세대 문제와 무관하지 않다. 사회의 공공복지 문제, 교육의 문제도 세대와연관성이 깊다. 이렇게 보면 세대의 문제는 K. 만하임이 강조했던 것처럼 ‘사회적변화(social change)’에만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현대사회를 이해하는 필수적 요소로 간주해야 하며, 특정 국가에만 해당하는 국지적인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차원의문제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세대 연구가 오늘날 ‘르네상스기’를 맞이하고 있는것도 어쩌면 이 때문인지 모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세대’에 대한 이러한 관심의증대와 연구 범위의 확장은 2000년을 전후해 출생한 Z세대(C세대라고도 함)가 사회의 중심으로 진입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이들 디지털 원주민 세대(digital natives) 는 생각하는 것도 행동하는 것도, 정치적 의식도 직업관도 기성세대[Traditionalists, Baby Boomers, Gen Xers, Gen Yers (Millennials)]와 현격히 다르다. 본고에서 우리는 바로 이들 신세대의 특징을 비교세대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어떻게 작금의 배타적 세대주의(exclusive generationalism)를 극복하고 상호세대적 관계(intergenerational relation)를 정초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