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총론: 이탁오를 다시 읽는다

        최재목(Choi Jae-Mok)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6

        동아시아 세 지역(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이탁오 사상 혹은 그에 접하거나 관심을 가졌던 인물들을 통해서 이른바 ‘근대’적 주체 내지 욕망의 탄생을 읽어 내면서 격동의 역사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 점에서 이탁오는 분명 동아시아 근대사상사 전개에서도 일익을 담당한 사상가였다고 할 것이다. 이번 특집의 의미는 우리 사회에서 일었던 이탁오 붐의 의미를 짚어 보려는 것이었다. 이것은 넓게 보면, 우리의 현대 사상사를 살펴보는 것이며, 또한 이탁오 사상의 우리 내부의 전개 맥락을 보다 분명히 이해하려는 노력이기도 하다. 특집의 내용 전개는 다음과 같다. ①총론으로서 ‘이탁오를 다시 읽는 의미’, ②북경의 이탁오 묘 등 관련 사진을 설명한 ‘이탁오의 유물, 유적을 찾아서’, ③이탁오 사상에서 보이는 주체성에 대한 논의인 ‘양명좌파와 이탁오 사상에서의 개별 주체와 공동체 주체’, ④동아시아의 이탁오 연구 동향 및 그의 사상사적 영향을 살펴보는 ‘중국?한국?일본에서의 이탁오 연구’가 그것이다. 본 총론에서는 우선 ‘최근 국내의 이탁오에 대한 관심과 그 의미’를 언급하고, 이어서 이탁오와 양명학과의 연관성(=계보적 검토)인 ‘이탁오와 양명학의 관련성’이 서술되며, 마지막으로 이번 기획의 각 논문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이탁오의 철학사상 그리고 동아시아의 이탁오상李卓吾像’이 서술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reading on the meaning of Li, Zhuo-Wu(李卓吾, 1527~1602)'s thoughts in East Asia.' Our society, during these four or five years, shows interest in Li, Zhuo-Wu's life history and his philosophy after came out his main text, Fenshu(焚書). Lee, Zhou-Wu's thoughts is from Wang, Yang-Ming(王陽明, 147 2~1528) who is the Ming(明) philosopher. The Chinese have had their names for keeping things tidy, and the name they have used for Wang, Yang-Ming's kind of Confucian moral philosophy is Xinxue(心學), which it is tempting to tender literally as philosophy of mind. Lee, in a general way, is called Taizhouxuepai(泰州學派) or Wangxuezhoupai(王學左派),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Li, Zhuo-Wu asserted, Tongxin(童心), the mind(innocence) of a child, and equality of sexes(conjugal relations) in the end of Ming dynasty, is governed by Zhuzixue(朱子學)'s a moral standard strictly yet. He is a rare liberalist in confucian society of china. So he is, for his the progressive ideas, unjustly accused as a heretic, at last is kept in solitary confinement and took his's own life in there. He was ahead of his time. In China, and Korea and Japan too, has a many original thinker who inherit and develop Lee's intellectual traditions and tasks, such as typical people, Heo, Gyun(許筠, 1569∼1618)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Yoshidashoin(吉田松陰, 1830∼1859) in Edo era.

      • 중국학 열풍과 유학의 재인식

        이철승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10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21

        중국학 열풍은 1989년의 이른바 ‘6?4 천안문사태’를 경험한 후, 이 사건의 사상적 배후를 서양으로부터 수용된 개인의 이익을 중시하는 자유주의 이념으로 지목하고, 자유주의에서 말하는 인권보다 중국의 국권이 더 중요함을 역설하며, 중국의 정체성 확립과 중화민족의 부흥에 필요한 이론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조성된 사조이다. 따라서 이것은 학계의 순수한 이론 탐구 과정에서 형성된 사조가 아니라, 중화민족의 문화중심주의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사조라고 할 수 있다. 이 이데올로기를 형성하는 과정에 중국의 많은 사상가들과 정부의 관리들과 언론 종사자들이 서로를 견인하며 중국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전통의 유가사상은 이러한 중화민족을 중심으로 하는 신중화사상의 이데올로기 구축에 이론적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이 사조를 확산시키는 사람들은 중국이 유학의 종주국임을 강조하며 유가사상을 문화산업의 중요한 콘텐츠로 활용한다. 그러나 유가사상과 유가문화는 중국 고유의 소유물이 아니다. 이것은 오랜 역사 과정을 통해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전통 사회에서 보편성을 담보한 중요한 사상으로 여겨졌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세계의 많은 사상가들에게 이기심의 적극적인 권장에 의해 배타적 경쟁력의 강화를 통해 나타나는 양극화를 비롯한 사회적 갈등 문제를 해결하는 사상적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견리사의見利思義’관, ‘충서忠恕’관, ‘어울림’(和) 사상, ‘대동’(大同) 사상 등은 오늘날 구조적인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소외 현상을 극복하고 건강한 공동체 사회를 구현하는 면에 의미 있는 이론적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중국인들에 의해 주도되는 중국학 열풍에서 중시되는 유학은 중화민족을 중심으로 하는 신중화사상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기보다 신자유주의 이념에 의해 세계 곳곳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소외 현상을 비롯한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인류의 보편 가치로 자리매김할 때 더욱 의미 있는 사상으로 여겨질 수 있다.

      • 일본에서의 이탁오 사상 영향과 그에 대한 연구 현황

        엄석인(Eom Seog-in)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6

        이 글의 목표는 중국 명말의 학자 이탁오 사상이 일본에 끼친 영향과 그에 대한 연구 현황을 보고하는 것이다. 전체를 3장으로 나누어 논하였다. 제1장에서는 이 글에서 다룰 주제와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탁오 사상의 일본 수용과 영향은 전근대시대, 특히 요시다 쇼인을 중심으로 하며, 근대 이후의 연구 현황은 중국의 근대사유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할 것임을 언급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탁오 사상과 요시다 쇼인의 관계를 논하였다. 쇼인은 이탁오의 저서를 읽고 그의 동심설에 동감하였고 죽음에 관하여 어떤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는데, 이런 쇼인의 이탁오 이해를 재음미하였다. 쇼인이 이탁오에 심취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탁오가 쇼인의 삶과 사상에 앞서서 그 방향을 결정한 것이 아니며, 또 쇼인은 이탁오 사상의 정확한 이해자도 아니었음을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태평양전쟁 이후 일본과 중국학계의 이탁오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이탁오 사상과 중국의 근대사유를 둘러싼 논의인데, 대표적으로 시마다 겐지, 야마시타 류지, 이와마 가즈오, 미조구치 유조의 주장을 소개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in three chapters, the influence of the late Ming scholar Li, Zhuo-Wu's thoughts on Japan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studies on him. Chapter 1 lays out the main thematic and substantive issues of this article. It focuses on Yoshida Shoin in discussing Li, Zhuo-Wu's influence on Japan in the premodern era, and focuses on China's modern thought in discussing the current state of studies on him. Chapter 2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Li, Zhuo-Wu's thoughts and Yoshida Shoin. Shoin reportedly sympathized with Lee's exhortation to return to a childlike innocence, and subsequently attained an awakening to death. While Shoin was certainly occupied with Lee's thoughts, however, they did not determine the direction of Shoin's life and his own thoughts. In fact, Shoin did not even understand Li, Zhuo-Wu's thoughts precisely. Chapter 3 examines how, since the Pacific War, Li, Zhuo-Wu has been treated by the Chinese academe, where the most salient discourse has taken pla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 Zhuo-Wu and China's modern thought: to illustrate this discourse, this Chapter also introduces works by Shimada Kenji, Yamashita Ryuji, Iwama Kazuo, and Mizoguchi Yuzo.

      • 법가사상과 리더십

        이원택(Rhee Won-taek)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7

        이 글의 목적은 정치에서의 시스템과 리더십의 모순 혹은 대립 구도를 상정하고, 한비자의 경우 어떻게 시스템과 리더십을 절충하여 정치론을 전개하는지 살펴본 후, 그것의 현대적 의의를 모색해 보는 것이다. 한비자는 모순론을 통해 특유의 공사론公私論을 전개하고, 그에 근거하여 법法·술術·세勢의 정치론을 전개하였다. 한비자가 바람직하게 생각한 정치의 모습은 세勢와 법法으로 시스템을 갖추고, 술術이라는 리더십으로 그 시스템을 운영하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한비자를 해석할 때 정치의 객관화 또는 정치 안정을 중시하는 측은 한비자의 법치 시스템에서, 그리고 한비자의 관료조직 운영 방식을 중시하는 측은 한비자의 술치적術治的 리더십에서 현대적 의의를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한비자의 법치法治, 세치勢治, 술치術治의 본질을 생각할 때, 한비자의 사상을 현대 정치에 그대로 원용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비자의 구상이 현실에 실현된다면 그것은 기계와 다름없는 전체주의 사회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Han Feitzu's political theory in which his idea of political-legal system and the desirable leadership to manage it were mixed, and is to seek the possibility of imposing it into contemporary Korean politics. Han Feitzu, focusing on the contradiction of things, presented the theory of the public-private relations which contained the division and contradic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On the base of the public-private theory, he constructed his famous political theory which consisted of 'rule by law', 'ruling arts', and 'positional power'. After reviewing Han Feitzu's political theory and some scholars' interpretations of it, I conclude that it is dangerous to impose Han Feitzu's political theory into contemporary Korean politics. If Han Feitzu's idea of politics is realized here and now, it will be totalitarian society like a machine.

      • 한국의 동아시아공동체론

        김교빈(Kim Kyo-Bin)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5

        1990년대 중반부터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이 열기를 더해 가고 있다. 동아시아공동체론은 동아시아를 하나로 묶자는 논의이다. 동아시아는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합친 것이지만 논의의 중심은 동북아시아의 한ㆍ중ㆍ일 3국이다. 공동체 논의는 자유주의 논의와 대립쌍을 이룬다. 그런 점에서 동아시아공동체 논의는 동아시아에 속하지 않는 것들에 대한 대항 담론인 셈이다.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은 동양의 문화와 사상 속에 담긴 가치를 찾으려는 노력이며, 유교자본주의 논의와 아시아적 가치 논의의 연장선에 있다.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은 동아시아의 비슷한 문화적 토양을 지반으로 지역 내의 협력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공동체적 통합을 내다보는 논의이다. 따라서 ‘국가들의 동아시아’를 넘어서서 ‘지역과 문명으로서의 동아시아’를 모색하는 논의이다. 그런 점에서 막연한 추상 수준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 토대에서 출발해야 한다. 범 유교문화권이라는 보편성을 강조하면서도 각 지역이 지닌 특수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더구나 구체적 맥락에서 중요한 것은 도덕적 사회관계보다는 연대적 사회관계인 것이다. 아시아적 전통에 바탕을 두되 전근대적인 요소 그대로를 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맞는 새로운 문명의 틀로 바꾸어 낼 수 있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탈근대성을 확립해야 한다. 동아시아적 상상력과 방법론을 사상 차원에서 끌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운동으로 확산해 가면서 ‘동아시아주의’의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틀을 확고히 해야 한다.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proceeding excitment from middle of 1990s.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discussion to tie East Asia. East Asia together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but main of discussion is discussion about Korea, China, Japan. Discussion about community is opposed Discussion about liberalism. So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opposite against another community.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a effort that look for the value in oriental culture and thought. So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exist on extension of discussion about confucian capitalism and oriental value.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based similar cultural ground. That is a discussion to elevate cooperation in this area, finally make a communality unit. Therefore we must grope for East Asia as area and culture pass over East Asia of countries. So we have to make a start from not dim abstract level but our really foundation. We notice universality as pan-confucian cultural area but we don't failure to notice particularity of every area. In addition the important thing is not moral social relationship but jointly social relationship. We are based on oriental tradition. But we don't bring out premodern fact. We must change up to date new cultural frame. So we will free ourselves from premodernity. We must bring out East oriental imagination and method in thought level. On this background When we will diffuse citizen's campaign, we will fix the frame of recognition and practice as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East-As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