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가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교육을 이수한 예비창업자를 중심으로

        박지유,양해술,Park, Ji Yu,Yang, Hae Sool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창업의지 설정에 있어서 창업가 특성에 따라 창업의지의 상황에 영향이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특히, 중소기업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 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창업가 특성과 창업의지 간에 요인관계를 선행연구와 기존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벤처전문대학원생, 창업대학원생, 소상공인창업교육을 받은 예비창업자 등 총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성취성향, 혁신성향, 진취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 등이 창업가 특성에 따라 개인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 가운데 혁신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은 정(+)의 회귀계수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진취성향은 부(-)의 회귀계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계적으로는 매우 유의하지만 창업의지에 역효과를 나타내므로 층별(성별/연령)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남자 39세 이하(청년창업가)에서 진취성향이 정(+)의 회귀계수로 매우 유의하고 정도 높은 함수식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포괄적인 창업분야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창업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하여 적용할 때는 보다 세심한 분석이 요구된다. Intensive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conditions for business foundation and the entrepreneurship in light of management, economy, and social psychometrics. This study focused on potential effe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n environment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establishment of orientation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various factors affecting on starting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how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is related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as investigated. Manifest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mong Venture to the professional graduate students, graduate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 start-educated founders in order to dedu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the environ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Previous studies and the literature survey were carried out to support for statistics of the questionnaire. 550 answ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find that propensity for achievement, innovation, enterprising, risk taking and creativity are key factors influencing inauguration of an enterprise. We have found that among these, risk tak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are analyzed to be as a regression coefficient but enterprising a side regression coefficient. Since this study can find its limitation in that comprehensive fields of entrepreneurship were analyzed in genera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uld be used with caution, until more is known about its accessibility for predicting of success or failure of Start-up Company.

      • KCI등재

        촉각 정보를 통한 화장품 용기 차별화 방안

        박지유 ( Park Ji Yu ),김면 ( Kim Myo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2 No.-

        최근 국내외 기업들은 시각에만 의존하여 사용자들에게 정보전달을 피력하던 방법에서 시각 외 인간의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 정보전달 방식에 주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활발히 적용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화장품 제조 기업들의 경우, 각기 다른 금형제조의 경제적인 어려움과 함께 브랜드 이미지를 확고히 하고자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화장품 용기와 패키지들이 획일화된 모습을 띠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산자 관점의 디자인이 소비자가 제품을 구별하기 힘들게 만드는 오류를 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혼돈을 가져온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문제를 촉각을 통해 해결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너무나 다양한 화장품 제품군 중에서도 나이와 성별과 관계없이 가장 많은 사용량을 보이며, 화장품 총 매출액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기초 제품군의 스킨과 로션을 연구대상으로 지정하였다. 기존의 스킨과 로션 용기들의 BI를 통한 정보전달 방식이 가진 사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한 사용자 관점의 촉각정보 활용을 통한 차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촉감 형용사들을 이용한 사용자 설문을 통해 스킨과 로션이 갖는 물성의 특징적인 촉각이미지를 도출하고, 도출된 정보를 통해 용기에 적절하게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기존 활성화된 시각적 정보전달 방식과 함께 촉각을 촉각정보를 융합하여 더욱 사용자에게 직관적이며 차별화된 정보전달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각 정보전달의 구축범위와 활용방안을 찾아보았다. Recently,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re focusing on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various human senses from way to depend only on visual. Now we can see signs of trying to use this method actively in our country. In the case of cosmetic manufacturers, they have economical difficulties of different mold manufacturing and problem in the process of applying brand identity to cosmetic containers. Therefore cosmetic containers and package became similar sha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actile information for cosmetic industry. Among many different cosmetic groups, we designated toner and lotion, which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otal sales and the high usage regardless of age & gender. In our research, we figured out problems about cosmetic containers with the visua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to solve this problems, set up a goal to propose application by using a tactile sensa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that using tactile adjectives, deducted specific tactile image in toner & lotion, and then suggested appropriate application. This study has searched for efficient tactile scopes and method in order to efficiently deliver information with existing visual information.

      • KCI등재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호감도 변화에 관한 연구 -색조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박지유(주저자) ( Ji Yu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0 No.-

        다른 사람보다 특별한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브랜드는 진화하고 있다. 소비자를 만족시키면서 혁신적인 성공을 이끌기 위해, 콜라보레이션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과열되는 콜라보레이션 열풍으로 본래의 목적을 잃고, 점점 자극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고, 소비자 관점에서의 분석을 통해 콜라보레이션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색조 화장품 브랜드를 연구범위로 지정하고,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호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콜라보레이션 자체만으로는 브랜드 호감도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즉, 소비자들은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이미지 변화가 아닌 학습되어진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 호감도를 판단하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은 단기적인 마케팅측면에서 긍정적이나 장기적인 브랜드 호감도 형성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콜라보레이션의 올바른 활용을 위해서는 소비자 중심으로 다양한 브랜드 요소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브랜드의 효과적인 이미지 확대는 물론 장기적으로 브랜드 가치 상승을 가져오는 수단으로써의 콜라보레이션이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brand is evolving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consumers who want a particular product than others. ``Collaboration`` is focusing to lead innovative success with satisfying of consumer. However, collaboration is losing the original purpose and changing to sensational method of marketing because of collaboration fever. Therefore it is needed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redefine the collabo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sumer perspective. In this study, specific study range is the color cosmetics brand and analyzed how it affects consumer``s brand preference. As a result, collaboration itself couldn``t change the brand preference to positive. In other words, consumers determine the brand preference through ``learned brand image``. They do not determine preference through the brand image which is changed by collaboration. So collaboration can be positive factor to make a brand preference for short term but it is not inappropriate for long term.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collaboration``, it is needed to research on a variety of consumer perspective in additionally. This study will help to expand brand image effectively also it will bring the enhance of brand value.

      • KCI등재후보

        신뢰성 향상을 위한 블로그 포스팅 시스템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박지유(Park, Ji Yu),김면(Kim, Myo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최근 제어할 수 없을 정도의 데이터 증가로 전 세계가 빅데이터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보를 다시 분류하여 걸러주는 필터 역할의 큐레이션이 주목받고 다양한 직업군을 생성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블로그 포스팅은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하면서 새로운 큐레이션 수단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무분별한 포스팅의 증가와 광고성이 짙어진 문제점이 대두하면서 블로그를 통한 정보전달은 신뢰성을 상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누구나 접근이 편리하여 효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한다는 큰 장점이 있는 블로그 포스팅의 신뢰성을 높이고, 다가오는 폭발적인 데이터의 시대에서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블로그 포스팅 시스템 개선 방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코스메틱 제품 정보를 연구 대상으로 두고, 같은 제품에 대한 후기를 비교·분석하여 현재 블로그 포스팅 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블로그를 통한 정보는 객관적이기보다는 사용자 주관에 의한 전달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곧 정보전달자와 수용자 간의 공통 카테고리를 찾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신뢰성 향상을 위해서는 주관성을 배제한 객관적 방향으로의 시스템 전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신뢰성 향상을 위한 블로그 시스템 개선을 위하여 전문정보에 기초하여 객관적으로 제공 가능한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큐레이션 항목들을 활용하여 객관화된 개선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또한, 개선 매뉴얼의 적용을 통해 블로그 포스팅의 신뢰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블로그 시스템 개선안은 블로그를 통한 다양한 정보 전달에서도 신뢰성을 높이는 큐레이션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world focused on the Big Data as uncontrollable data has increased. Also curation which means re-classification to filter information is focused and it provided a variety of jobs. Especially among the curations, blog posting system got attention as a tool of curation. Because it is easy to touch by people. However, information transfer via blog is getting lose its reliability due to increased posting indiscriminately and the problem about advertising of blog posting. This study"s purpose is to enhance reliability of blog review which has the advantage about communication between users efficiently. Also we studied way to improve blog posting system to offer customized objective information in the coming era of big data. At first, we analyzed blog posting syste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bout reviews of same product in the cosmetic information. The result of analysis, information of blog mostly consist of subjective information by the user in comparison with objective information. This means it is hard to find common items between the communicator and the audience. Therefore, we fin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turn the direction objectively. For improvement reliability of blog system, we found out lists based on specialized information. And then we suggested new objectivity manual with the utilization of these lists. Also we confirmed change of blog posting"s reliability by applying new manual. This improvement will be expected that it can be a tool to enhance reliability to transfer various information.

      • KCI등재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박지유(Ji-yoo,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20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독감에 주목하였으며, 고독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으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보다 현실적인 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소재 사회복지기관을 통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및 방문요양서비스에 참여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한달 동안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한 2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독거노인의 고독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 중 연령과 건강상태, 자녀와의 관계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고독감,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loneliness as a factor that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and aimed to make more realistic proposal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loneliness on life satisfac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200 individuals who responded faithfully to the survey for one month, on Aug., 2020, targeting elderly living alone who participated in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and Home Care Service that were provided through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program. Ou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oneliness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wh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and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as it mitigated the negative impact of loneliness on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Third, it appeared that age, health condition, and relationship with children, among control variables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 수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지유(Park, Ji-Yoo),염동문(Yeom, Dong-Moon)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1

        본 연구는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소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에 근무하는 생활지원사를 대상으로 의도적표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한 290명을 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23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 조절, 조절된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SP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사회적지지가증가할수록 감소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에 근무하는 생활지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care management supporters working at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located in Busan with a deliberate sampling method and analyzed 290 respondents who responded faithfully to the surve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two statistical programs, SPSS 23 and PROCESS Macro.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job stres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hir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ith SPSS Macro, it was identifi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social support, which was indicative of an moderated mediating effect. Based on such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level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among care management supporters working at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Institutions.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콜라보레이션 방안 -색조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박지유 ( Jiyu Park ),김면 ( Myoun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3 No.-

        유형’과 ‘주체 브랜드의 모든 이미지 요소들이 동시에 강화되는 유형’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유형의 경우 주체 브랜드의 가치가 대상 브랜드보다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두 번째 유형의 경우는 주체 브랜드의 가치가 대상 브랜드보다 낮다는 특징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브랜드가 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적합한 콜라보레이션 유형을 달리한다면 효율적인 브랜드 이미지 강화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분야별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콜라 보레이션은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수단이 마련될수 있을 것이다.유형’과 ‘주체 브랜드의 모든 이미지 요소들이 동시에 강화되는 유형’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유형의 경우 주체 브랜드의 가치가 대상 브랜드보다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두 번째 유형의 경우는 주체 브랜드의 가치가 대상 브랜드보다 낮다는 특징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브랜드가 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적합한 콜라보레이션 유형을 달리한다면 효율적인 브랜드 이미지 강화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분야별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콜라보레이션은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수단이 마련될수 있을 것이다. Apparently, ``Collaboration`` is focused as a efficient marketing tool. It is enable to grow of brand sustainedly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since it help to brand extensions and increase sales. If it could solve the problem that caused because of the organizations which have different goal individually, collaboration could be the factor to improve brand image. In order to create such an ideal target, it is necessary in-depth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brand image from the collaboration. In this study, chose the color cosmetics brand as specific research scope. Then researched strategic brand image firstly and changed brand image after collaboration, and then compared these results. As a result, it could be divided two types. First type is strengthen common brand images of subject and object brands. Second type is reinforced all images of subject brand. The first type show the feature that object brand value was higher than subject brand. And second type show the feature that subject brand value was higher than object brand. This result means if collaboration typ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brand, it would expected to be an ideal collaboration. Based on this study, if a systematic study in various fields, collaboration could be a strong method for brand image reinforcement.

      • KCI등재후보

        소비자 유형에 따른 콜라보레이션 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

        박지유(Park, Ji Yu)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서로 다른 가치의 결합을 시도한 마케팅 방법인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이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수많은 브랜드 (brand)가 탄생하고 그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marketing) 방법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계속해서 확장되는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더욱 체계적인 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브랜드 이미지에 주력하고 있는 색조화장품 브랜드로 지정하였다. 색조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와 기초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유형별로 구분하여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하였다. 이는 다른 성향의 소비자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목표에 따라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진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조사 결과, 두 유형의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이미지 변화가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미지 항목별로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항목도 존재하였으므로 소비자 성향에 따른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이 가능함을 기대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색조화장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의 타겟 소비자 성향에 따라 부각할 브랜드 이미지 항목을 다르게 설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색조제품 선호 소비자와 기초제품 선호소비자는 모두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받으므로 콜라보레이션 전 기획단계에서 방향성 및 목표 설정을 명확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색조 화장품 브랜드라는 한정된 분야에서 분석이 이루어졌으므로 다원적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별 사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llaboration which combine of different values has received attention by various fields. It gets attention as a efficient marketing tool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rand because a lot of brand was launched. Therefore, we need to analyze "collaboration"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a more systematic utilization more than ever. The scope of the this study was designated as color cosmetics brand that focused on brand image.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brand image to distinguish consumer who prefer to color cosmetic and who prefer to foundation cosmetic. This is to enable efficient collaboration to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of the enterprise by analyzing consumers tendency. As a result, two types of consumers were influenced similar change of brand image by overall. However, there are brand image that is very different by consumer type, so it"s expected to enable various collaboration by each typ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corporate has to set the item in the brand image depend on target consumer when plan the collaboration. Second, every consumers are affected to brand image through collabora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ake clear purpose and directivity of marketing when its planning stage. This analysis have been limited to the field of color cosmetic brand. So for pluralistic utilizing it should analyze of various example by each type.

      • 화장품 용기 촉감과 브랜드 개성의 연관성 연구

        박지유(Park, Ji Yu),김면(Kim, Myo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소비자의 눈을 사로잡는 패키지(package)는 그동안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 특히 화장품 패키지에서 용기 부분은 내용물의 보호기능 외에 브랜드(brand)를 대표하는 차별화 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껏 시각에만 의존한 화장품 패키지 용기들은, 비슷한 브랜드 개성을 추구하는 화장품 브랜드 사이에서 자신들만의 차별점을 제시하기에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갖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시각에서 벗어나 다양한 감각인 오감을 이용한 브랜딩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손끝에 닿는 촉감을 통한 소비자의 브랜드 연상 이미지와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의 상관관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기업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소비자가 화장품 용기를 만졌을 때 촉감을 통한 소비자의 브랜드 이미지와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소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촉감 브랜딩 모델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용기 재질과 브랜드 개성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화장품 브랜드 개성 도출을 위해 50개 브랜드 각 회사의 소개페이지에서 추출한 형용사와 제니퍼 아커의 브랜드 개성 형용사를 오버랩하여 10가지 형용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 재질에 주로 쓰이는 7가지 재질들을 추출하여 제시된 브랜드 개성 형용사와의 상관관계를 설문하였다. 그 결과, 재질별 촉감의 사용자 정보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의 간극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용기디자인을 위한 촉각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Package that is attractive to consumers have simulated desire of consumption. In particular, Container portion is used as a differentiated means to represent of the brand with protect contents. However, the packaging container which is based on only visual so far, it has limitations that they can"t make discrimination point of their own character because most companies"s brand personality are similar. Because of that, these days people are researching variety of senses to construct brand, actively. And in this study, we intensively studied about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brand image and identity through the feel to touch the fingertips. Also we analyzed relevance between the texture and brand personality, as a preceding research to constructed a model of strategic tactile branding via minimized spaces brand identity that is proposed from company and tactile when consumers touch the cosmetic container. At first, we searched 10 brand personality adjectives to find brand personality of cosmetic brand through overlapped between adjectives from introduction page of cosmetic brand and Jennifer Aaker"s brand personality adjectives. And extracted 7 kinds of material which are commonly used In cosmetic container. Then surveyed about relationship with 10 brand personality adjectives. As a result,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of brand personality via the information of each material also suggest the utilization possibility of tactile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