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Vibrio Strains from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ultured in Korea

        박선영,김지형,전진우,Park, S.Y.,Kim, J.H.,Jun, J.W.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 2020 현장농업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al resear Vol.22 No.2

        2019년 11월, 국내의 뱀장어 양식장에서 양식 중이던 뱀장어가 피부궤양 및 피부의 점상출혈 소견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폐사하였다. 일련의 폐사는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지속되었다. Vibrio 속 균주 1E1-2는 첫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출혈성 복수에서 분리되었고 균주 2A3-1는 두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복수에서 분리되었으며 균주 3K1-2는 세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신장에서 분리되었다. 16S rRNA gene 시퀀스 분석으로, 분리균주 1E1-2와 3K1-2가 V. fluvialis NBRC 103150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fluvialis로 동정되었으며, 균주 2A3-1는 V. plantisponsor NBRC103148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plantisponsor로 확인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로, V. fluvialis 1E1-2는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보였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plantisponsor 2A3-1는 ciprofloxacin과 levofloxacin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fluvialis 3K1-2는 tetracycline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ampicillin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국내 양식 뱀장어에서의 항생제 내성 비브리오 감염증 사례로, 의미 깊은 보고라고 할 수 있다. Continuous mortality in commercially cultur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showing symptoms of dermal ulcerations and focal hemorrhages on the body, occurred on a private farm in November, 2019 in Korea. A series of mortality had been described in one local eel culture farm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19. From the three cases, three isolates of Vibrio spp. were recovered from the blood, ascitic fluid, and kidney of the dead fish, respectively. Based on the 16S rRNA sequence comparisons, the Vibrio isolates from the 1<sup>st</sup> and 3<sup>rd</sup> cases (strain named 1E1-2 and 3K1-2) were identified as V. fluvialis and the isolate from the 2<sup>nd</sup> case was identified as V. plantisponsor (strain named 2A3-1). Moreover, the 16S rRNA-based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strain 1E1-2 and 3K1-2 were most similar to V. fluvialis NBRC 103150<sup>T</sup>, and strain 2A3-1 was most similar to V. plantisponsor NBRC103148<sup>T</s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tibiotic resistance determination, V. fluvialis 1E1-2 showed intermediate resistance to tetracycline and chloramphenicol, and was resistant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V. plantisponsor 2A3-1 showed intermediate resistance to ciprofloxacin and levofloxacin, and was resistant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V. fluvialis 3K1-2 showed intermediate resistance to tetracycline, and was resistant to ampicillin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hese results have provided the evidences on the occurrence of antibiotic-resistant Vibrio infection in commercially cultured Japanese eels are present in Korea.

      •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적용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의 자연자산피해 평가

        박선영(S. Y. Park),유승훈(S. H. Yoo)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3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1

        2007년 12월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의 유류유출 사고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해양오염 사고 중 규모면에서 가장 큰 것이었으며, 이로 인해 대규모 환경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허베이 스피리트호의 유류유출로 인한 유류오염의 환경피해액을 추정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 1000가구를 대상으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가구당 약 2,703원의 지불의사가 있었으며 이를 전국으로 확장해보면 연간 약 492억원으로,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의 자연자산 피해액이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류오염 평가 및 환경복원 연구사업의 효과적 관리, 적정한 투자 수준의 결정 등을 위한 정량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Hebei Spirit oil spill, took placed at the coast of Taean, is the greatest marine oil pollution accident of Korea, causing a large scale of environmental da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Natural resource damage assessment of Hebei Spirit oil spill by employ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this end, a survey of 1000 households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estimating results, annually willingness to pay per household is 2,703 korean won. Consequently, the damage of coast of Taean by Hebei Spirit oil spill is estimated about 49.2 billion Korean won. This result contributes to provide us with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an effective management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storation of oil spill damage, and decision-making about optimal investments.

      • KCI등재

        수술적 폐경과 자연 폐경에서 호르몬 보충요법 후 골반응의 차이

        서유석(Y. S. Suh),박형무(H. M. Park),박선영(S. Y. Park),윤성준(S. J. Yoon),허민(M. Hur)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수술적 폐경은 난소 기능의 갑작스럽고 완전한 소실로 인하여 골밀도의 변화에 있어서 자연 폐경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고 이로서 호르몬 보충요법에 의한 치료효과도 다르게 나타나게 될 것으로 생각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폐경기 클리닉에서 수술적 폐경을 한 73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접합마 estrogen 0.625mg을 사용하여 호르몬 치료를 1년간 시행하고 그 전후에 척추와 대퇴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자연 폐경 여성과 비교하여 보았다. 28명의 환자에서는 QCT를, 43명의 환자에게는 DXA를 사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1) 골밀도의 변화 2) 폐경기간에 따른 호르몬 보충요법에의 반응 정도 3) 호르몬 보충요법에도 불구하고 골밀도의 감소를 보이는 여성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1) 수술적 폐경여성에서는 estrogen 단독요법으로 척추의 골밀도가 QCT에서는 6.86%가 감소하였으며 DXA에서는 1.15%가 감소하였다. DXA로 측정한 대퇴경부의 변화는 1.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 QCT군에서 2년 이하의 폐경기간을 가진 22명의 여성의 골밀도는 7.89%가 감소하여 4.33%가 증가한 폐경여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년 이상의 폐경기간을 가진 여성에서는 폐경 경로와 관계없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XA군에서는 2년 이하의 폐경기간을 가진 여성에서 척추와 대퇴경부에서 2.80%와 3.08%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2.36%와 1.84%가 증가한 자연폐경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폐경기간 2년 이상에서는 수술적 폐경군에서 4.31%, 3.10% 증가로 5.00% 증가, 2.99% 증가로 나타난 자연 폐경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호르몬 치료에도 불구하고 유의한 정도로 골밀도가 감소한 여성의 빈도는 수술적 폐경후 2년 이내의 폐경기간을 가진 여성이 QCT에서 59.0%, DXA에서 척추가 60.6%, 대퇴경부가 56.7%로 반 이상의 여성이 호르몬 치료에도 불구하고 골밀도가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자연 폐경 여성과 비교하여 훨씬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결론: 수술적 폐경은 자연 폐경과 달리 급속한 골밀도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좀 더 적극적이고 철저한 검사와 치료로 초기의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surgical menopause, state of both oophorectomy, shows some different features compared to natural menop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ectivenes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in surgical menopause with it in natural menopause. Methods: bone mineral density was assessed in 71 surgically menopausal women at the time of starting HRT and was repeated after one year HRT. 28 were evaluated b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QCT) and 43 were done by dual energy X ray absorptiometry (DXA).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vals between oophorectomy and the start of HRT(group 1: within 2 years after surgery, group 2: more than 2 years after surgery). Results: QCT-group 1 included 22 subjects, QCT-group 2 included 6. In group using DXA, 33 subjects were in group 1, and 10 in group 2. In natural menopause, 76 subjects were included and their bone mineral densities were assessed pre- and post-HRT(QCT: group 1, n=13, group 2, n=13, DXA: group 1, n=32, group 2, n=18) 1) Incidences of significantly decreased BMD in spite of HRT in surgically menopaused women were 59.0% in QCT-group 1, 60.6% in spine of DXA-group 1. These incidences are higher than those of natural menopause. 2) After 1 year estrogen replacement in surgical menopause, BMD decreased 6.86% by QCT and 1.15% by DEXA. But, surgical menopause women in group 1, BMD by QCT decreased 7.89%, spine BMD by DXA decreased 2.80%, femur neck BMD decreased 3.08%. Contrary to these results, BMD of natural menopause women increased 4.33%, 2.36%, and decreased 1.83%, respectively. Conclusion: Usual dosages of HRT cannot prevent acute bone loss effectively after both oophoectomized women. So, additional therapy will be prescribed to surgically menopaused women.

      • KCI등재

        Catalase와 $\beta$-Mercaptoethanol이 돼지 태아섬유아세포 Clonal Lines의 배양에 미치는 영향

        권대진,박선영,박춘근,양부근,김정익,정희태,Kwon D. J.,Park S. Y.,Park C. K.,Yang B. K.,Kim C. I.,Cheong H. T.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4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clonal cell lines을 효율적으로 확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배양액 내에 catalase와 $\beta$ME 첨가가 clonal cell line 확립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임신 50일령의 암퇘지에서 얻은 태아섬유아세포를 2회 passage한 후 동결 보관하였다가 실험에 이용하였다. 단일세포를 catalase나 $\beta$ME가 첨가된 배양액이 들어 있는 96-well dish로 옮겨 배양하였다. 단층이 형성된 세포는 4-well dish로 옮겨주어 배양하였으며, 이후 2회 이상 passage가 가능한 세포를 clonal line이 확립된 세포로 판정하였다. 실험 1에서 clonal line 확립효율에 미치는 catalase와 $\beta$ME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세포를 100ng/$m\ell$) catalase와 100nM $\beta$ME가 첨가된 DMEM액 내에서 배양하여 clonal line 확립효율을 검토하였다. $\beta$ME 첨가 시 clonal line 확립효율이 8.3%로 대조구의 3.2%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catalase 첨가 시(3.6%)에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 catalase 농도(0, 10, 100, 1,000ng/$m\ell$)에 따른 clonal line 확립효율을 검토하였다.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clonal line 확립 효율에 대한 첨가효과가 없었다(0-2.6%). 실험 3에서 $\beta$ME 농도(0, 10, 100, 1,000 nM)에 따른 clonal line 확립효율을 검토하였다. 100 nM의 $\beta$ME 첨가 시 clonal line 확립 효율이 9.4%로 대조구 및 타 처리구(0-l.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 배양액 내 catalase 첨가는 확립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100nM의 $\beta$ME 첨가로 clonal cell line의 확립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talase and $\beta$-mercaptoethanol ($\beta$ME) on the establishment of clonal lines from porcine fetal fibroblast cells. Fibroblasts derived from a pig fetus (Day 50) were passaged two times before use. A single cell was seeded in 96-well plates and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catalase or $\beta$ ME. Cell colonies were passaged two times into 4-well dish. Cell lines with proliferating potential were classified as an established clonal cell line. In experience 1, the establishment efficiencies were examined by addition of catalase (100ng/$m\ell$) or $\beta$ME (100 uM) in culture medium. The establishment efficiency of $\beta$ME-added group (8.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3.2%, P<0.05). However, catalase did not have a positive efffct on the establishment efficiency. In experience 2, the establishment efficiencies were examined by addition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talase (0-1,000 ng/$m\ell$) in culture medium. However, establishment efficiencie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talase (0-2.6%). In experience 3. the establishment efficiencies were examined by addition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eta$ME(0-1,000 uM) in culture medium. The establishment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100 uM $\beta$ME-added group (9.4%) compare to others (0-1.6%). The result of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establishment efficiency of clonal cell lines can be enhanced by the culture in media supplemented with 100uM $\beta$ME. However, catalas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stablishment efficien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