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통신용 1.3 ㎛ Ridge Waveguide 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의 제작과 특성 평가

        박경현(K. H. Park),이중기(J. K. Lee),장동훈(D. H. Jang),유지범(J. B. Yoo),강승구(S. K. Kang),김홍만(H. M. Kim),이용탁(Y. T. Lee),박형무(H. M. Park),조호성(H. S. Cho),홍창희(T. Hong) 한국광학회 1994 한국광학회지 Vol.5 No.1

        발진파장이 1.3 ㎛인 Ridge Waveguide 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RWG-DFB-LD)를 제작하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회절격자 형성은 광간섭무늬 노광법을 이용하였고 결정성장은 LPE로 수행하였다. 제작된 RWG-DFB-LD의 발진 임계전류는 67 ㎃이었고, 1296.5 ㎚ 파장에서 측모우드 억제율 30 dB 이상으로 단일 종모우드로 발진하였다. 금지대역폭 측정에 의한 회절격자 결합계수(k)는 40 ㎝-¹로 평가되었다. 소신호 변조특성평가 결과 제작한 RWG-DFB-LD는 1.2 Ith에서 1.99 ㎓의 변조대역폭(f_(-3dB)) 특성을 보였다. W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RWG-DFB-LDs emitting at 1.3 ㎛ wavelength. For fabrication of the laser diode, inteference fringe of optical beams was used for grating formation and epi layers were grown by LPE. The fablicated RWG-DFB-LD operated in a single longitudinal mode with more than 30 dB SMSR at 1296.5 ㎚ emitting wavelength and its threshold current was 67 ㎃. Coupling coefficient (k) was estimated as 40 ㎝-¹ by means of stop-band measurement. Finally, we show that the RWG-DFB-LD fabricated in this experiment can be applicable as light source of 2.5 Gbp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from the fact that the small signal response of the RWG-DFB-LD rated up to 1.99 ㎓ at pre-bias level of 1.2Ith.

      • KCI등재

        광통신용 1.55 ㎛ PBH - DFB - LD 스펙트럼 특성

        장동훈(D. H. Jang),이중기(J. K. Lee),이승원(S. W. Lee),박경현(K. H. Park),김정수(J. S. Kim),김홍만(H. M. Kim),황인덕(I. D. Hwang),박형무(H. M. Park),조호성(H. S. Cho),홍창희(T. Hong) 한국광학회 1994 한국광학회지 Vol.5 No.1

        LPE와 간섭노광법을 이용하여 1.55 ㎛ 파장의 InGaAsP/InP PBH-DFB-LD를 제작하고 스펙트럼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작된 PBH-DFB-LD의 발진 임계전류는 15 ㎃ 이하이며, 1.55 ㎛ 파장에서 광출력 7 ㎽ 이상까지도 단일 종모우드로 동작하였으며 측모우드 억제율 35dB 이상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PBH-DFB-LD 발진파장의 온도 의존 특성은 0.9Å/℃이며, 금지대역폭 측정에 의한 회절격자의 결합계수(k)는 97 ㎝-¹로 평가되었다. PBH-DFB-LD emitting at 1.55 ㎛ wavelength has been fabricated for 2.5 Gbps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For fabrication of PBH-DFB-LD, inteference expose for grating formation and 3-step LPE epitaxial growth was used. Fabricated PBH-DFB-LD operates in single longitudinal mode with more than 35dB SMSR and its threshold current is less than 15 ㎃. The operating wavelength is 1530~1550 ㎚ with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0.9Å/℃. Coupling coefficient(k) was estimated as 97 ㎝-¹ by means of stop-band measurement. PBH-DFB-LD fabricated in this experiment can be applicable as light source for 2.5 Gbps optical fiber communication system.

      • KCI등재

        2.5 Gbps 광통신용 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DFB - LD) 모듈 제작 및 광송신 실험

        박경현(K. H. Park),강승구(S. G. Kang),송민규(M. K. Song),이중기(J. K. Lee),조호성(H. S. Cho),장동훈(D. H. Jang),박찬용(C. Y. Park),김정수(J. S. Kim),김홍만(H. M. Kim),박형무(H. M. Park),한정희(J. H. Han),심창섭(C. S. Shim) 한국광학회 1994 한국광학회지 Vol.5 No.3

        DFB-LD 칩으로부터 단일모드 광섬유 부착 2.5 Gbps 광통신용 광원인 DFB-LD 모듈을 설계, 제작하였다. DFB-LD 모듈은 광 isolator가 삽입된 2 렌즈 quasi confocal 광학계로 구성된 원통형 서브 모듈과 14 pin butterfly 패키지가 분리된 구성으로서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bias-T 회로가 형성된 하이브리드 기판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모듈 제작시 정밀한 부품 고정이 요구되는 서브 모듈 조립에는 레이저 웰딩 방법을 사용하였다. 제작된 DFB-LD 모듈은 광결합 효율 20%, -3dB 소신호 변조 대역폭 2.6 ㎓ 이상의 특성을 가졌으며, 온도 순환검사에도 10% 이내의 광출력 변동만을 보임으로써 기계적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작된 DFB-LD 모듈의 광송신 성능을 실제 2.5 Gbps 광통신 시스템의 광원으로 적용하여 평가한 결과 47 ㎞의 광섬유 전송시 BER 1×10^(-10) 조건에서 최대 -30.2 dBm의 수신감도를 얻었으며, 이 때 전송페널티는 소광비에 의한 것이 1.5 dB, 분산에 의한 것이 1.0 dB로 나타났다. We designed and fabricated the single mode fiber pigtailed DFB-LD module for 2.5 Gbp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In the design of the DFB-LD module, we made the module divided into two parts of inner sub-module and outer 14-pin butterfly package and cylindrical shaped sub-module contain quasi confocal 2 lens system including optical isola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se parts via hybrid substrate of bias T circuit.<br/> Laser welding was used to assemble the sub-module which requires accurate fixing between optical elements. The fabricated DFB-LD module showed optical coupling efficiency of 20% and -3 dB small signal response of more than 2.6 ㎓. We confirmed mechanical reliability of the module by temperature cycle test where the tested module exhibit optical power fluctuation of less than 10%. Finally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fabricated DFB-LD module as light source of 2.5 Gbp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sensitivity of -30.2 dBm was obtained through 47 ㎞ optical fiber transmission under the criterion of 1×10^(-10) BER and transmission penalties were 1.5 dB caused by extinction ratio and 1.0 dB caused by chromatic dispersion of normal single mode fiber.

      • KCI등재

        난포 호르몬에 의한 인체 자궁동맥 이완반응과 연령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김연희(Y . H . Kim),박형무(H . M . Park),허민(M . Hur),이무열(M . Y .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0

        목적 : 본 연구는 난포 호르몬에 대한 혈관반응도를 연구함으로서 난포 호르몬의 혈관에 대한 칼슘 길항작용을 증명하고 연령에 따른 난포 호르몬에 대한 혈관이완반응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자궁 적출술 환자에서 내경 3mm 이상의 자궁동맥을 적출하여 혈관내피를 제거한후 생리적 용액내에서 길이 10mm, 폭 2mm정도의 직사각형 모양의 혈관 평활근 절편을 만들고 용량 30ml의 실혐용기에 옮긴 후 등장성 장력변환기에 연결하여 다양한 실험 조건하에서 수축력을 측정함으로서 에스트로겐이 혈관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결과 : 1) 노에피네프린에 의해 유발된 혈관경축과 고농도의 포타슘용액에 의해 유발된 혈관경축에 대하여 난포 호르몬은 농도 의존성 이완 효과를 보였고, 이는 난포 호르몬이 혈관 평활근 수용체 작동성 칼슘통로와 전압작동성 칼슘통로를 통해 칼슘 길항작용을 나타내며 이 작용은 농도 의존성 현상임을 추측케 한다. 2) 난포 호르몬의 투여는 수용체의존성 및 전압의존성 칼슘통로를 통한 혈관평활근수축에 대한 이완반응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결론 : 난포 호르몬은 인간자궁동맥 평활근 세포에서 칼슘 길항작용을 가지며, 그 기전은 수용체 및 전압의존성 칼슘 이온통로를 통해서 나타나고 이로 인한 혈관이완 효과는 에스트로겐의 심혈관보호 효과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연령의 증가에 따른 난포 호르몬에 대한 혈관 이완반응성의 감소는 연령에 따라 심혈관질환이 증가하는 것과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1) estrogen induces the vasorelaxation mediated by calcium channel in smooth muscle of endothelium-denuded human uterine artery, and 2) the degrees of vasorelaxation have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Methods : The uterine arteries from 18 premenopausal women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hysterectomy due to various indications and endothelium was denuded. Vascular reactivity was monitored by using Isometric force transducer and recorded by physiograph. Endothelial integrity was assessed by sequential administration of 1 μM norepinephrine(α-adrenergic stimulant) and 10 μM acetylcholine (endotelium -dependent vasorelaxant). Integrity of smooth muscle was measured by administration of 10 μM sodium nitroprusside (endotelium - independent vasorelaxant). A dose-dependent action of estrogen was measured on denuded uterine arteries, pretreated with norepinephrine and potassium chloride. Statistical tests were performed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using the SPSS PC+ package. Results : Acethylcholine have little effect but sodium nitroprusside showed marked relaxation, which suggested loss of endothelial function and adequacy of smooth muscle function. The contraction by norephinephrine(1 M) revealed estrogen induced relaxation which was concentration-dependent from 10pg/ml to 10ng/ml in concentration of 17 -estradiol. The contraction by high potassium solution 35mM was also inhibited by estrogen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vasorelaxation effect of 17 -estradiol on the contraction evoked by both norepinephrine and potassium revealed reduc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ge.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crease of the vasorelaxant effect according to age might be correlated with increas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old age group.

      • KCI등재

        2.5Gbps 광통신용 InGaAs Separate Absorption Grading Multiplication (SAGM) Avalanche Photodiode의 제작 및 특성분석

        유지범(J. B. Yoo),박찬용(C. Y. Park),박경현(K. H. Park),강승구(S. K. Kang),송민규(M. K. Song),오대곤(D. K. Oh),박종대(J. D. Park),김흥만(H. M. Kim),황인덕(I. D. Hwang),박형무(H. M. Park),윤태열(T. Y. Yoon),이창희(C. H. Lee),심창섭(C. S. Sh 한국광학회 1994 한국광학회지 Vol.5 No.2

        2.5 Gbps 광통신시스템용 수광소자로서 charge plate층을 갖는 링구조의 separate absorption grading multiplication Avalanche photodiode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Avalanche Photodiode의 제작은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과 Liquid Phase Epitaxy법을 이용한 에피성장과, Br: Methanol을 이용한 채널식각 방법을 사용하였고, passivation과 평탄화는 photosensitive polyimide를 이용하였다. 제작된 APD는 10 ㎁ 이하의 작은 누설전류를 나타내었고, -38~39V의 항복전압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APD를 GaAs FET hybrid 전치증폭기와 결합하여 2.5 Gbps 속도에서 2²³-1의 길이를 갖는 입력 광신호에 대해 10^(-10) Bit Error Rate에서 -31.0 dBm의 수신감도를 얻었다. W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the InGaAs separate absorption, grading and multiplication (SAGM) Avalanche photodiode (APD) with a chrage plate layer. Channel was employed for the isolation of the active area of APD.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and liquid phase epitaxy (LPE) were used for the epitaxial growth. Channel was formed using wet etching technique. Photosensitive polyimide was used for the passivation and planarization of the device. APD shows very low leakage current smaller than 10 ㎁ and -38~39 V of breakdown voltage. Optical receiver consisting of APD and GaAs FET pre-amplifier shows the sensitivity of -31.0 dBm at 10^(-10) BER (Bit Error Rate) and 2.5 Gbps optical random signal of 2²³-1 in length.

      • Flip-Chip 본딩 기술 현황

        주관종,김동구,윤형진,박형무,Joo, G.C.,Kim, D.G.,Yoon, H.J.,Park, H.M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9 No.1

        소자가 고속, 고주파화 되고 ASIC 칩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패키징과 interconnection 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소자의 성능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1차 패키징인데 현재 가장 많이 실행되고 있는 것이 wire 등에 의한 본딩 방법이었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소자의 고속화와 입출력 숫자의 증가에 따라 점차 그 한계를 보이고 있는데 이에 대한 방안으로는 플립칩 본딩 방식에 의한 패키징을 들 수 있다. 약 20여년 전에 IBM 에서 개발된 이래 많은 발전을 거듭한 이 기술은 최근 기본 기술에 대한 특허권의 소멸과 함께 많은 응용 분야에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향후의 가장 유력한 패키징 기술로 인정되고 있는 플립칩 본딩 기술의 특징과 제조 관련 사항을 정리함과 동시에 응용 분야, 특히, OEIC(Optoelectronics Integrated Circuit) 분야에서의 이용 및 개발 현황을 분석, 소개함으로써 이 새로운 패키징 기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수술적 폐경과 자연 폐경에서 호르몬 보충요법 후 골반응의 차이

        서유석(Y. S. Suh),박형무(H. M. Park),박선영(S. Y. Park),윤성준(S. J. Yoon),허민(M. Hur)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수술적 폐경은 난소 기능의 갑작스럽고 완전한 소실로 인하여 골밀도의 변화에 있어서 자연 폐경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고 이로서 호르몬 보충요법에 의한 치료효과도 다르게 나타나게 될 것으로 생각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폐경기 클리닉에서 수술적 폐경을 한 73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접합마 estrogen 0.625mg을 사용하여 호르몬 치료를 1년간 시행하고 그 전후에 척추와 대퇴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자연 폐경 여성과 비교하여 보았다. 28명의 환자에서는 QCT를, 43명의 환자에게는 DXA를 사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1) 골밀도의 변화 2) 폐경기간에 따른 호르몬 보충요법에의 반응 정도 3) 호르몬 보충요법에도 불구하고 골밀도의 감소를 보이는 여성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1) 수술적 폐경여성에서는 estrogen 단독요법으로 척추의 골밀도가 QCT에서는 6.86%가 감소하였으며 DXA에서는 1.15%가 감소하였다. DXA로 측정한 대퇴경부의 변화는 1.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 QCT군에서 2년 이하의 폐경기간을 가진 22명의 여성의 골밀도는 7.89%가 감소하여 4.33%가 증가한 폐경여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년 이상의 폐경기간을 가진 여성에서는 폐경 경로와 관계없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XA군에서는 2년 이하의 폐경기간을 가진 여성에서 척추와 대퇴경부에서 2.80%와 3.08%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2.36%와 1.84%가 증가한 자연폐경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폐경기간 2년 이상에서는 수술적 폐경군에서 4.31%, 3.10% 증가로 5.00% 증가, 2.99% 증가로 나타난 자연 폐경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호르몬 치료에도 불구하고 유의한 정도로 골밀도가 감소한 여성의 빈도는 수술적 폐경후 2년 이내의 폐경기간을 가진 여성이 QCT에서 59.0%, DXA에서 척추가 60.6%, 대퇴경부가 56.7%로 반 이상의 여성이 호르몬 치료에도 불구하고 골밀도가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자연 폐경 여성과 비교하여 훨씬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결론: 수술적 폐경은 자연 폐경과 달리 급속한 골밀도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좀 더 적극적이고 철저한 검사와 치료로 초기의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surgical menopause, state of both oophorectomy, shows some different features compared to natural menop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ectivenes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in surgical menopause with it in natural menopause. Methods: bone mineral density was assessed in 71 surgically menopausal women at the time of starting HRT and was repeated after one year HRT. 28 were evaluated b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QCT) and 43 were done by dual energy X ray absorptiometry (DXA).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vals between oophorectomy and the start of HRT(group 1: within 2 years after surgery, group 2: more than 2 years after surgery). Results: QCT-group 1 included 22 subjects, QCT-group 2 included 6. In group using DXA, 33 subjects were in group 1, and 10 in group 2. In natural menopause, 76 subjects were included and their bone mineral densities were assessed pre- and post-HRT(QCT: group 1, n=13, group 2, n=13, DXA: group 1, n=32, group 2, n=18) 1) Incidences of significantly decreased BMD in spite of HRT in surgically menopaused women were 59.0% in QCT-group 1, 60.6% in spine of DXA-group 1. These incidences are higher than those of natural menopause. 2) After 1 year estrogen replacement in surgical menopause, BMD decreased 6.86% by QCT and 1.15% by DEXA. But, surgical menopause women in group 1, BMD by QCT decreased 7.89%, spine BMD by DXA decreased 2.80%, femur neck BMD decreased 3.08%. Contrary to these results, BMD of natural menopause women increased 4.33%, 2.36%, and decreased 1.83%, respectively. Conclusion: Usual dosages of HRT cannot prevent acute bone loss effectively after both oophoectomized women. So, additional therapy will be prescribed to surgically menopause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