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석사과정 유학생의 한국 유학 준비 과정과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박부숙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2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the study preparatory process and initial adaptation process of an Uzbek female 3 student who is enrolled in a master’s degree program of University in Korea. Five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August 2023.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sa issuance is difficult and complicated, and debts owed must be paid in the future. Second, they solve meals with difficulties in finding accommodation and delivering food. Third, academic difficulties must be overcome due to unfamiliar Korean skills. Fourth, although they are getting used to Korean culture, Koreans' prejudice is a burden. Even thoug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is just three international student,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Research materials for improvement of policy or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s. A further research on university life will be conducted on a large number of graduate students is expected to be performed so that international students can lay the foundation for growth through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후보

        영유아 발달선별검사에 대한 교사 인식과 요구를 통한 활용방안 연구 -여주시 발달선별검사 사업에 참여한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박부숙,김형욱,박윤조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시행 전후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알아보고 활 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체계적인 영유아 발달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 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경기도 여주시 소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K-CDR-R(영유아 발달선별검사) 교육을 실시하고,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달선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실시 후 교사들은 발달선별검사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고, 결과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영유아 발달선별검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나, 발달지연 및 문제행 동을 보이는 영유아로 인한 어려움을 느꼈고, 접근이 용이한 발달검사를 요구하였 다. K-CDR-R 검사 실시 후 일반 영유아 발달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졌다. 둘째, 교 사들은 검사 결과를 토대로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가 이루어졌다. 또한 체계적인 영유아 발달 지원체계와 부모와 교사를 위한 발달선별검사 교육을 요구하였다. 연구결론: 교사들은 영유아 발달선별검사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므로, 교사 들이 접근하기 쉬운 발달선별검사가 필요하다.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의 발달지연 및 문제행동에 대해 가정과 원활한 연계를 위해 부모상담 및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영유아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교 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가정-기관-지역사회의 협력체계구축을 제언하는 바이다. Purpose: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e awareness and needs of childcar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screening test and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support system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Methods: K-CDR-R (Young Children Development Screening Test) education was conducted for childcare teachers located in Yeoju-si, Gyeonggi-do, and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was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After the test, the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bout th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24.0. Result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a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young children, but felt difficulties due to young children showing developmental delays and problematic behaviors, and requested an easily accessible developmental test. After the K-CDR-R test,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infant development has also improved. Second,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the test, the teachers were connected with their families and communities. In addition, a systematic young children’s development support system and development screening test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were requested. Conclusion: Since teachers are positively aware of the need for development screening tests for young children, development screening tests that are easy for teachers to access ar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young children development screening test, parent counseling and education are needed for smooth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al delay and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between home, institution, and community by reflecting teachers' needs to support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동작수업을 경험한 우즈베키스탄 예비유아교사들에 관한 연구

        박부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Korean university’s early childhood movement class to Uzbekist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ed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movements class planned by th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applied the classes for 15 weeks from March 2021, targeting 90 Uzbekistan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Korea International University in Ferghana (KIUF)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of stu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Results At first, the students obsessed with something to teach young children). However they gradually applied what they had learned, and led the class in a free and permissive atmoshpere.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There were positive emotional changes such as joy, passion, and sense of accomplishment. The contents of the motion activity simulation class actively used various teaching aids. However, There wa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systematic planning process and safety. Conclusions Cultivati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learned Kore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seems to enable to nurture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Uzbekistan. In addition, a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Korean Nuri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be practic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Uzbekistan.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Uzbekistan’s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delivering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Uzbekistan’s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적 우즈베키스탄 예비유아교사들에게 한국 대학의 ‘유아동작수업’을 적용하고 학생들의 참여하는 모습과 학생들이 계획한 동작수업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방법 페르가나 한국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우즈베키스탄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한국의 교육과정 ‘유아동작교육’ 수업을 15주 적용하고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들은 처음에는 유아들에게 무언가를 가르쳐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었다. 하지만 점차 배운 내용을 적용하였고, 자유롭고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협력하며 수업을 이끌어 갔다. 참여 과정에서 즐거움, 열정, 성취감 등 긍정적인 정서의 변화가 있었다. 모의수업의 내용은 능동적으로 다양한 교구를 활용한 동작활동을 하였지만, 체계적인 계획 과정과 안전에 대한 고려 부재가 나타났다. 결론 한국의 유아교육과정을 배운 예비유아교사 양성은 우즈베키스탄 유아교육 전문가 양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한국의 누리과정 적용이 가능하여 우즈베키스탄 유아교육 현장에서 질 높은 유아교육을 실천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한국의 유아교육을 우즈베키스탄 유아교육에 전달함으로써 우즈베키스탄 유아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콘텐츠 제작에 따른 디지털 역량에 관한 연구

        박부숙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 Study on Digital Capabilities According to Preservice Early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ntent ProductionBoosook Park Abstract: This study is to foster digital capabilitie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digital content produc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team-based learning, a qualitative study was carried out by collecting digital content production process experience and outcome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tarted from the unfamiliar experience of digital content production, and then learned production techniques, found creativity and talent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also their teamwork improved. As for the content outcomes, the content, centered on activities that young children can manipulate and implement was developed. The preservice teachers felt a sense of achievement, and they decided to use them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sharing them.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ad expectations on the recognition of the need and use for digital capabilities. It will be meaningful if the digital content produc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can be used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and if the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future content production. This study proposes reflecting the content of education suitable for the recent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curriculum. Key Word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Contents, Digital Competency, Team Based Learning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콘텐츠 제작에 따른 디지털 역량에 관한 연구박 부 숙**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를 위한 디지털콘텐츠 제작을 통해서 디지털 역량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팀기반학습을 통해서 유아를 위한 디지털콘텐츠 제작과정 경험과 결과물을 수집하여 질적연구 하였다. 연구 내용: 학생들은 디지털콘텐츠 제작의 낯선 경험에서 시작하여, 제작 기술을 습득하고 제작과정에서 창의성과 재능을 발견하였으며, 팀워크가 향상되었다. 콘텐츠 결과물은 유아들이 조작하며 실행할 수 있는 활동 위주의 콘텐츠가 개발되어 학생들은 결과물에 성취감을 느끼고, 공유를 통해서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기로 하였다. 결론 및 제언: 학생들은 디지털 역량의 필요성 인식과 활용에 대한 기대를 하게 되었다. 학생들이 제작한 디지털콘텐츠를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고 결과를 향후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반영하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디지털 기술 발달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것을 제언한다. 핵심어: 유아교육과, 예비유아교사, 디지털콘텐츠, 디지털 역량, 팀기반학습 □ 접수일: 2022년 11월 2일, 수정일: 2022년 11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송원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됨. **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Professor, Songwon Univ., Email: tree7462@hanmail.net)

      • KCI등재

        보육교사의 통합적 인성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박부숙,이수경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7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6 No.3

        This paper describes A cooperative action research that examined on the process of daycare center teachers' solving their difficulties through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daycare care center teachers who was carried out at the K National Daycare Center located in S City. The study duration was 16 weeks, starting from May 12, 2016 (16 sessions, one session per week, one and a half hours per session). The following four basic steps were repeated: problem identification and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support → Implementation → Observation → Reflective Evaluation. After an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model was presented to the teachers, they were instructed to train it, and then continuously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The first piece of the action research was focused on the control of the teachers’ anger. The second action research was centered on seeking measures to replenish the teachers’ consumed energy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rst action. The third action research began by the teachers’ request after three months of the second action. research. The details of this phase were based on the idea “living together.” The teachers had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human relations and so they implemented support for human relations improvement. As a result, the daycare teachers were equipped with the practicing knowledge and competencies that can enhance their happiness by putting the implementing an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model into practice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통합적 인성교육을 통해서 자신의 어려움을 해결해가는 과정을 협력적 실행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교사는 S시에 위치한 K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 여섯 명으로 연구 기간은 실행연구 3차에 걸쳐 2016년 5월 12일부터 주 1회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실행연구 단계는 ‘유아교육기관의 문제 파악 및 통합적 인성교육프로그램 지원 → 실행 → 관찰 → 반성적 평가’ 4단계를 기본 주기로 반복하였다. 교사들에게 ‘통합적 인성교육모형’을 제시하여 실천하고, 실천 후 반성적인 사고를 통해서 평가의 시간을 지속적으로 가졌다. 1차 실행은 교사들의 ‘화’를 가라앉히는데 초점을 두었고, 2차 실행은 1차 실행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소진된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중점을 두었다. 3차 실행은 ‘더불어’ 살아가기로 교사들 자의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교사들은 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관계 향상을 위한 지원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들은 자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적 인성 모형을 실행에 옮기며 행복감을 증진하는 실천적 지식과 역량을 갖게 되었다.

      • KCI등재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박부숙,임명희,박윤조 한국보육학회 2017 한국보육학회지 Vol.17 No.4

        Although listening to music is the most basic musical experience that is ahead of all the other musical activities, it tends to be neglected due to lack of awareness and difficult teaching methods. This study is to compose integrative music appreciation by reflecting thoughts of children, draw children’s attention to listening to music, and let them to discover and create musical concept and structures by themselves, accompanied by related activities through which children can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ith children’s poem. Considering the peculiarities of three-four year-olds, it may be difficult for them to create poems individually, so we let them to write poems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in which they can share their opinions and observe their peers’ reaction. We provided a teaching method to teachers who find activities of listening to music and writing poems difficult, then we analyzed the effect. When children finished writing poems in small groups through integrative music appreciation reflecting their thoughts, they placed greater weight on preparing to listen to music at first, but going through the program, they discovered musical concepts and became active in music appreciation. In the related activity, writing poems inspired them to think creatively, listening to their peer’s stories. Even children who were not interested in children’s poem showed higher participation. Teachers found children’s creative words to be interesting, discovering the joy of creation. 음악적 경험 중에서 감상활동은 다른 음악 활동에 선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인식 부족과 교수 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소홀히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생각을 반영하여 통합적 음악 감상을 구성하고 유아들이 음악 감상에 흥미를 갖게 하며, 유아 스스로 음악적 개념이나 구조를 발견,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고, 연계활동으로 유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동시로 표현하였다. 만 3, 4세의 발달 특성상 개인별 동시 짓기의 어려움이 있어서 자신의 의견을 나누며, 또래들의 반응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소그룹 토의를 통한 동시 짓기로 접근 하였다. 현장에서 음악 감상과 동시 짓기 활동을 어려워하는 교사들에게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생각을 반영한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소그룹 동시 짓기를 한 결과 유아들은 초기에는 음악 감상을 위한 준비과정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으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음악적 개념을 발견하고, 음악 감상에 적극적이었다. 연계활동으로 동시를 지을 때 또래의 이야기를 들으며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자극이 되었고, 동시에 관심이 없었던 유아들도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교사도 유아의 창의적인 단어에 흥미를 보였고, 유아들과 함께 창작의 기쁨을 느꼈다.

      • KCI등재

        불교에 기초한 인성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단기출가 동자승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박부숙,이수경 한국종교교육학회 2016 宗敎敎育學硏究 Vol.50 No.-

        본 연구는 2015년 조계사 동자승프로젝트에 참여한 남아 4, 5세 9명을 대상으로 4월 28일 부터 5월 26일까지 불교에 기초한 인성교육프로그램 ‘부처님 품안에서 행복한 마음 가꾸기’ 를 진행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첫째, 하루 일과 속에 자연스럽게 알아차림과 명상이이루어지도록 격려하였다. 둘째, 불교와 유아교육을 통합하는 것을 스님과 유아교육 전문가가 서로 보완하며 진행하였다. 셋째, 불교행사는 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유아 발달에 적합하게진행하였다. 프로젝트 진행 결과 첫째, 불교의 이해심과 자비심 실천은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과인성을 바르게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유아들이 불성의 싹을 키우게 하였다. 둘째, 자연 친화적 통합적 활동을 통해서 유아들은 생명의 귀중함과 노작의 즐거움을 느꼈다. 셋째, 음식을 감사히 먹게 되었고, 모든 생명과 존재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넷째, 부모들도 자녀의 출가를 통해서불교에 대한 믿음과 긍정적인 마음 기르기 등 자기성장의 시간이 되었다. 다섯째, 동자승은 일반인들에게 포교역할을 하였다. 여섯째, 가정으로 돌아가서도 유아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었으며, 사회⋅정서적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메이커교육에 관한 연구

        박부숙,백지숙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메이킹 체험을 통해서 메이커교육을 이해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S 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135명을 대상으로 2019년 1학기에 메이커교육을 진행하여 메이킹 과정과 결과물에 나타난 의미를 탐색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메이커교육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메이커 활동 진행 과정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의 순환 과정을 경험하였다.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수업 분위기는 메이커로서 자신을 발견하게 하고, 협업과 공유의 순기능을 알게 되었다. 결과물 제작에 필요한 재료 구하기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다양한 재료로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완성하지 못한 아쉬움을 남긴 작품도 있었지만 메이킹은 진행 중이고 앞으로 메이커로 살아가겠다고 하였다. 결론: 학생들은 메이킹 경험을 바탕으로 메이커교육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메이커교육이 유아교육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메이커교육을 실천하고 사례를 공유하며, 협력체계를 구축한다면 메이커교육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 제작 경험 의미 탐색

        박부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학논집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in producing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and find meaning of the picture book production. The picture book production experience of 15 seniors at S University in G City was explored. 60 sheets of A4 paper transcribing the collected journals, interview, production process video, text messages, and finally produced picture 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open coding presented by Strauss and Corbin (1990). The details of the picture books were as follows First, the picture books were the genre containing the details of picture book themes and subject matters as child literature. Seco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inued corrections and supplementations by mixing various writers’ viewpoints. Third, they underwent difficulties in making simple sentences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exploring picture book production process experience.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challenges from the hopeless worries of producing picture book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helped and shared one another through pieces of advice on their works. Third, they got a new perspective in choosing suitabl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Fourth, the trial and error of the picture book production process simultaneously offered a sense of frustration on outcomes and an opportunity of learning. In a further study, this study proposes producing picture books suitable for young children by delivering the picture book stories to young childre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using the produced picture books and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sults.

      • KCI등재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박부숙,이수연,김효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9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what core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effective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identify the futur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rapidly changing social situations.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12 current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ree focus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52 transcrip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qualitative analysis process.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wanted to compose professionalism/personality in teaching profession as a competence and emphasized basic skill and quality. Second, they insisted that infants and toddlers’ developmental stage need to be segmented, and thus the developmental stage by age of months and the details 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fter seven years of age should be added. Third, they argued that the teachers need to enhance their competences as a play supporter so that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an be operated. Lastly, they demande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communication competences and the evaluation method improvement in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The Although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digital literacy reflected in the 20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revision as core competencies for future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recognized,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metho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training contents of in-service teachers, which can enhance the core competence of teachers for future education.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explore a core competency model for foste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reflects the core competency requir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