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Matlab Simulink를 이용한 3상 WPM의 전 영역 과도특성해석
박관태,이규종,최명현,김병택 대한전기학회 2012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4
본 논문에서는 3상 WPM(Written Pole Motor)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qd 전압방정식과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과도상태 해석을 실행하였다. 매 운전시 착·감자하는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Matlab Simulink를 이용하여 기동시 감자와 Exciter에 의한 착자를 Block diagram으로 구성하였다.
공동체의식이 지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박관태,정보영,정문기 한국행정연구원 2022 韓國行政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이 지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파편화와 단절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지역 내 사회적 관계와 공동체를 통한 공공문제해결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정부도 또한 공동체의 역할 및 중요성을 인식하여 지역사회의 통합 및 지역만족을 증대시키고, 지역의 활력을 증대시키고자 다양한 정책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 질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20년도 서울서베이 지역사회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인 서울은 1960년대 이후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도시공동체의 미발달 및 변형이라는 결과를 낳으면서, 낮은 공동체의식 회복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를 반영하여 서울시는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성 회복을 위해서 2012년부터 마을 만들기 지원조례를 제정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마을공동체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공동체의식은 지역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역주민들의 욕구의 통합과 충족은 지역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민의 지역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인들이 각기 가진 문제들을 서로 공유하여 지역의 공유된 문제로 의제화하고, 지역의 공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는 공동체의식 수준으로도 발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민 간 개인과 지역의 문제를 활발하게 상호교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박관태,정보영,정문기 한국행정학회 2022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동계
본 연구는 지역문화재정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지역문화재정지출의 세부 항목별 영향력 차이를 분석한다. 연구 질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의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의 국가통계포털과 지방재정365 홈페이지의 재정자료를 활용하여 고정효과모형과 동적 패널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는 광역자치단체의 문화예술과 체육 재정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는 역할과 재원분담을 통해 상호간의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지역문화영역에 적합한 정부간 관계모형을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문화분야 보조금이 지방정부 문화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 : Fungibility 가설을 중심으로
박관태,정보영,정문기 한국행정학회 2023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하계
본 연구는 Fungibility 가설을 바탕으로 문화분야 보조금이 지방정부의 문화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 질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의 전국 225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365와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의 재정자료를 사용하여 고정효과모형과 FGLS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문화분야 보조금이 지방정부의 문화재정지출에 영향을 미치며, Fungibility 현상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분야 보조금이 증가할수록 문화재정지출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자치단체 유형별로는 시와 군 단위에서 (역)Fungibility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자치구 단위에는 Fungibility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분야 보조금이 적절히 배분될 수 있도록 문화분야 보조금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