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in a Patient with Previous Mitral Valve Replacement
문성우,고영국,홍그루,이삭,장병철,심재광,곽영란,홍명기 대한심장학회 2014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44 No.5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TAVI) has shown favorable outcomes in patients with severe symptomatic aortic valve stenosiswho are at high surgical risk or are unsuitable candidates for open heart surgery. However, concerns exist over treating patients who havepreviously undergone mitral valve surgery due to the potential interference between the mitral prosthetic valve or ring and the TAVI device.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a patient with symptomatic severe aortic stenosis and previous mechanical mitral valve replacement who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TAVI using a CoreValve.
[논문]통합 건설관리 환경하에서의 일괄된 정보처리 체계
문성우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4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3 No.-
경제·사회적 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한정된 국가자원을 고려했을 때 공공사업을 위해서 투입되는 자원은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배분되어야 한다. 건설관리는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사항에 따라서 건설사업의 최적화라는 개념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통합 건설관리 환경은 정보화 환경의 구현으로 건설관리를 선진화 시킬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감독원과 시공사가 계약 상의 업무를 추진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건설관리 환경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 건설관리는 건설 CALS에서 목표로 하는 발주처, 시공사, 용역사 등을 포함한 건설 e-비즈니스를 구현함으로써 건설사업의 추진 시 정보 처리의 효과를 높이고f 일원화된 정보 처리로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라이프싸이클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건설정보를 일괄되게 관리하기 위 해서 XML을 증심으로 한 데이터의 조회와 저장이 가능하도록 고려해야 하며, 향후 예상되는 건설 B2B 환경에 대응해야 한다. 한국수자원공사의 수자원 건설통합정보관리시스댐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통합 건설관리 환경은 기간 시스템과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서 전략적 기간 시스템으로 설계·구현펼 수 있다. 국내 건설사업이 시공 분야에 있어서 갖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건설관리의 고도화가 필요한 바 통합 건설관리 환경의 도입을 통해서 경쟁력의 획기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하겠다.
문성우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4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3 No.-
건설업계는 발주물량의 축소 등 시장의 악화를 겪고 있다. 건설 정보화는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산업계의 경쟁력을 높이고l 시장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화 시대에서 경쟁력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화 수준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으며, 현재 전 산업계에서 도입되고 있는 e-비즈니스는 건설기업에게 경쟁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건설산업에 있어서 e-비즈니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사업역량을 우선 파악하여 기업의 장점과 여력을 극대화해야 한다. e- 비즈니스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투자는 국내 건설시장에서의 경쟁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서 경쟁해야 하는 국내 건설엽계에 경쟁력을 향상시켜 수주확대를 가져올 것이다.
[논문]건설 생산성 향상을 위한 콘크리트 표면절삭 자동화 연구
문성우,양병수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7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6 No.-
콘크리트 표면절삭 작업은 장비 조작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작업의 완성도 및 품질l 작업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는 수작업으로 수행되던 표면절삭장비의 운영을 도울 수 있는 자동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높이기 위해서 산학협력 과제의 일환으로 개발된 표면절삭로봇을 소개한다. 표면절삭로봇은 1) 원격조종 콘크리트 표면절삭장비,2) 최적경로계획시스템,3) 원격조종시스댐,4) 그래픽 MMI시스템/ 그리고 5) 품질관리시스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시스템은 현장에서 적용되어 테스트되었으며, 테스트 결과 작업자의 안전과 함께 환경개선 및 품질개선의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줬다. 표면절삭에 적용된 자동화 기능은 확대되어서 다양한 자동화 장비의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며/ 결론적으로 표면절삭로봇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품질저하 문제와 국내 건설현장의 노령화 및 인력부족 둥 건설업체에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부분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건축기술 : 빌딩구조물에 있어서 인터스티셜 디자인을 이용한 천장공간의 활용
문성우,Bruce M. Haxton 대한건축학회 1997 建築 Vol.41 No.6
인터스티셜(interstitial)구조란 빌딩구조물에 있어서 층 바닥과 바닥 아래 천장사이에 위치한 층간 공간구조를 지칭한다. 이러한 구조디자인은 시공중 천장공간과 그 아래 층에서 수행되는 공정작업이 동시에 수행될수 있으며, 완공후 유지보수시에는 연구나 생산활동이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개념은 1960년대에 영국의 병원건축 에서 처음으로 시작 되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시설물에 제공에 대한 시장요구에 따라 그 역할이 증대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인터스티셜 구조 디자인에 대하여 소개하며, 시공.유지보수에 있어서 실과 득에 대하여 논한다.
문성우,윤현석,문정연,서용석 대한지질공학회 2016 대한지질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6 No.1
단층물질의 입도분포 특성은 단층의 분류, 단층의 역학적 및 유동학적 거동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단층물질의 입도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는 전자현미경이나 레이저 스캔 관찰을 통해 이차원적으로 프랙탈 차원 값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An and Sammis, 1994; Storti et al., 2003, Billi and Stroti, 2004; Keulen et al., 2007; Song et al.,2012), 그 불균질성과 이방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토질시험법 기준을 따르면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단층물질의 입도분포 분석을 위한 시료크기를 제안한 연구는 보고된 바없다. 본 연구는 단층각력과 단층점토가 혼합된 단층 핵 물질을 대상으로 동일 단층대에서 채취한다수 시료의 불균질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여 단층물질의 입도분포 시험시 필요한 최소 시료크기를 검토한 것이다. 입도분석 시료는 22개 단층대에서 채취하였으며, 각 단층대당 3회 이상의 입도분포 시험을 수행하여 총 206회의 입도분포 분석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입도분포 분석 결과는 USCS 분류에 따라 자갈(4.75mm 이상), 모래(0.075~4.75mm), 실트&점토(0.075mm 이하) 각각의 무게비로 정리하였다. 또한 채취한 시료크기(67~141g, 139~479g, 522~748g)에 따라 총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 단층대에서 채취한 시료들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료의 질량이 67~141g인 그룹은 자갈 무게비의 표준편차 8.2, 모래 무게비의 표준편차 8.1, 실트&점토 무게비의 표준편차 9.2로 나타난 반면 시료의 질량이 139~479g인 그룹은 자갈 무게비의 표준편차 6.3, 모래 무게비의 표준편차 5.1, 실트&점토 무게비의 표준편차 8.2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의 질량이 522~748g인 그룹의 경우 자갈 무게비의 표준편차 4.0, 모래 무게비의 표준편차 3.3, 실트&점토 무게비의 표준편차 4.9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표성을 가지는 단층대 입도분포 시험을 위해서는 입도분포 시험전 건조 시료의 무게가 최소 550~750g이 필요하며, 야외 채취시에는 함수상태를 고려하여 최소750~900g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