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Paracyclopina nana Smirnov (Copepoda)의 생물학적 고찰 : Ⅰ. 각 유생 발생 단계별 탈피율 및 탈피에 소요되는 시간 Ⅰ. Moulting rate and inter-moult interval(days) of each larval developmental stages

        김형신,정민민,박흠기,윤양호,이화자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2 基礎科學硏究 Vol.15 No.2

        우리 나라 동해안에 위치한 화진포에서 채집된 요각류, Paracyclopina nana의 생물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유생 단계의 탈피율 및 탈피에 소요되는 시간을 알아보았다. 수온 20℃, 염도농도 17ppt의 조건에서 T. suecica를 먹이로서 충분량 급이 했을 때 P. nana의 어미로부터 갓 부화되어 나온 nauplius 유생은 성체가 되기까지 평균 17일이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제 1 nauplius 유생 단계에서 제 2 nauplius 유생으로 탈피하는 데에 평균 3.3일이 소요되어 가장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차 탈피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짧아져서 제 5 nauplius 유생 단계에서 제 6 nauplius 유생 단계로 탈피하는데에 가장 짧아서 약 1일이 소요되었고, 제 2 copepodid 유생 단계에서 제 3 copepodid 유생 단계로 탈피하는데 약 2.5일이 소요되었다. 한편, 제 1 nauplius 유생 단계에서 제 2 nauplius 유생 단계로의 탈피율은 66.7% 그리고, 제 6 nauplius 유생단계까지의 탈피율은 50%를 나타내었다. The moulting rate and inter-moult interval(days) of each larval developmental stages of Paracyclopina nana were studied. The copepod, P. nana was collected from lagoon Hwajinpo, South Korea.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temperature 20℃, salinity l7ppt and fed on micro-algae, Tetraselmis suecica. The species was metamorphosed to the adult stage after possession of 6 nauplius stages and 5 copepodid stages. The moulting rate was 66.7% from 1st nauplius stage to 2nd one and was 50.0% to 6th one. P. nana were needed 17 days for developing from hatching to adult.

      • 내만의 정점별 해저퇴적물중의 와편모조 시스트 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형신,정민민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3 基礎科學硏究 Vol.16 No.1

        내만의 각 정점별 해저 퇴적물중의 와편모조 시스트 군집 특성이 내만의 수질 환경 평가지표로서 활용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비교적 부영양화 정도가 낮은 오무라만의 중앙 해역에서는 독립 영양형종의 시스트가 전체 출현종의 66.4%를 차지하고, 이와는 달리 종속영양형종의 시스트는 33.6%로 독립 영양형종 시스트의 약 1/2정도의 낮은 출현율을 보였다. 그러나, 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함으로서 해수 유동이 거의 없고 주변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부하물질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해역에서는 독립영양형종의 시스트는 36.2%의 출현량을 그리고 종송영양형종 시스트는 63.8%의 출현량을 나타내었다. 즉, 동일 내만의 해저 퇴적물 중에 포함되어져 있는 와편모조 시스트 군집의 분포 경향을 보면, 外海로부터의 해수 流出入이 비교적 적은 만의 가장 안쪽 해역에서는 박테리아 및 규조류, 와편모조류 등과 같은 다른 미세조류 등을 먹이로서 섭이하면서 증식하는 종속영양형종의 시스트가 우점하며, 이와는 반대로 만내에서도 해수 유출입이 비교적 원활하며 수질 오염 정도가 비교적 낮은 해역에서는 광합성을 통해 세포증식을 행하는 독립영양형종의 시스트가 우점하는 등의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내만 해역의 해저 퇴적물중의 와편모조 시스트 군집 특성은 그 해역의 수질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의 지표로 이용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We studied about characteristics of dinoflagellate cyst assemblages in two different sea areas of Omura Bay, Kyushu, Japan. By the results, cysts of autotrophic dinoflagellate species composed about 66.4% at the central part of Omura Bay. But at the most inner part, more eutrophied then central part, cysts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species composed about 63.8%. Even in the same enclosed sea, characteristics of cyst assembleages of the most inner part were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one of central part, by the degree of eutrophic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characteristics of dinoflagellate cyst assemblages in the surface sediment of enclosed sea will be use as good biomarkers of water quality change.

      • KCI등재

        해양 미소 편모조류의 종 동정을 위한 인편 형태에 관한 연구

        김형신,정민민,Kim, Hyeung-Sin,Jung, Min-Min 한국조류학회(藻類) 2005 ALGAE Vol.20 No.4

        5 Haptophyta 2 Chrysophyta and 1 Prasinophyta species of scale-bearing nanoflagellates were collected in coastal water of Korea and identified by examination of their scales with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SM-6700F). These included Chrysochromulina ahrengoti, C. simplex, C. spinifera, Prymnesium parvum, P. patelliferum, Mamiella gilva, Paraphysomonas imperforata and Pa. vestita. The surface of cells covered with unmineralised scales (5 Haptophyte and 1 Prasinophyta species) or silica scales (2 Chrysophyta species). Scale-covered flagella are found in the 1 Prasinophyta species. One of the mai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aptophyte is the haptonema, a filiform organelle which occurs together with the two flagella. It may be long and coiling upon irritation as in Chrysochromulina, or short and noncoiling as in Prymnesium.

      • KCI등재

        열대 해역 지표종 Ornithocercus 속 와편모조의 출현 동향으로 본 한반도 온난화

        김형신,정민민,이준백,Kim, Hyeung-Sin,Jung, Min-Min,Lee, Joon-Baek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4

        제주도 서부해역인 차귀도 연안 해역에서 2006년 10월부터 2007년 11월 사이 5회에 걸쳐 식물 플랑크톤의 일종인 와편모조의 종 조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총 32종의 와편모조가 관찰되었다. 이들 와편모조 중 19종 즉, Amphisolenia bidentata, Ceratium gravidum, C. hexacanthum, C. platycorne, C. praelongum, C. ranipes, C. reflexum, C. geniculatum, Dissodinium elegans, D. bicorne, Ornithocercus heteroporus, O. magnificus, O. quadratus, O. splendidus, O. steinii, Protoperidinium excentricum, Pseliodinium vaubanii, Ptychodiscus noctiluca, Pyrocystis hamulus 등의 종은 한국 연안 해역에서는 매우 드물게 출현이 보고된 종이거나 미기록 종이었다. 그리고 채집된 시료에서 열대 해역 지표종인 Ornithocercus 속의 월별 단위체적당 출현량을 분석한 결과 2006년 10월, 2007년 2, 4, 9 및 11월에 각각 28, 22, 0, 3 및 $502\;cells/m^3$이었다. 또한 월별 총 와편모조류 출현량에 대한 Ornithocercus 속의 점유율은 각각 8, 3.9, 0, 0.2 및 97.9%로 2007년 11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에 발맞추어 한반도 연안 해역 역시 온난화 되어지고 있음을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about change of dinoflagellate composition during October 2006 to November 2007 at the Chagwi-Do, west-part of Jeju Island. There were 32 dinoflagellate species in collected samples and 19 species Amphisolenia bidentata, Ceratium gravidum, C. hexacanthum, C. platycorne, C. praelongum, C. ranipes, C. reflexum, C. geniculatum, Dissodinium elegans, D. bicorne, Ornithocercus heteroporus, O. magnificus, O. quadratus, O. splendidus, O. steinii, Protoperidinium excentricum, Pseliodinium vaubanii, Ptychodiscus noctiluca, Pyrocystis hamulus of collected dinoflagellate species were rare and unrecorded species from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quantities by month of these tropical oceanic species, Ornithocercus were 28, 22, 0, 3 and $502\;cells/m^3$ in October 2006, February, April, September and November 2007 respectively. The abundance of genus Ornithocercus for whole dinoflagellate species were 8, 3.9, 0, 0.2 and 97.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ast of Korean Peninsula is getting warm by global warming.

      • KCI등재

        구조방정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임도비탈면 산사태의 주요 영향인자 선정

        김형신,문성우,서용석 대한지질공학회 2022 지질공학 Vol.32 No.4

        This study determined major factors influencing landslide occurrence along a forest road near Sangsan village, Sancheok-myeon, Chungju-si,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Within a 2 km radius of the study area, landslides occur intensively during periods of heavy rainfall (August 2020). This makes study of the area advantageous, as it allows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only geological and tomographic factors while excluding the effects of rainfall and vegetation. Data for 82 locations (37 experiencing landslides and 45 not) were obtained from geological surveys, laboratory tests, and geo-spatial analysis. After some data preprocessing (e.g., error filtering, minimum-maximum normalization, and multicollinearity),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d logistic regression (LR) analyses were conducted. These showed the regolith thickness, porosity, and saturated unit weight to be the factors most influential of landslide risk in the study area. The sums of the influence magnitudes of these factors are 71% in SEM and 83% in LR. 본 연구는 충주시 산척면 상산마을 일대 임도 비탈면을 대상으로 지질 및 지형 인자 중 산사태 발생에 영향력이 큰 인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집중호우 기간에 반경 2 km 이내에서 집중적으로 다수의 산사태가 발생했기 때문에 동일 강우조건 및 식생 조건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영향을 배제한 상태로 지형적 요인 및 토층의 물리 ‧ 역학적 특성과 관련된 인자들만의 영향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이다. 산사태 발생지점 37개소와 미발생 지점 45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실내시험, 지형 공간분석 등을 통해 토층의 물리 ‧ 역학적 자료 및 비탈면의 지형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대상으로 이상치 제거, 최소-최대 정규화, 다중공선성 진단의 순으로 전처리를 수행하였고, 9개의 독립변수를 선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결과, 토층두께, 공극률 및 포화단위중량이 연구지역의 산사태 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며, 상기 3개 인자의 영향도 합계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서 전체의 71%,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전체의 83%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