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혈액종양 ;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있어 FDG-PET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정현영 ( Hyun Young Jung ),장샛별 ( Saet Byul Jang ),정혜련 ( Hye Ryun Jung ),이선아 ( Sun Ah Lee ),배성화 ( Sung Hwa Bae ),현대성 ( Dae Sung Hyun ),이상채 ( Sang Chae Lee ),류헌모 ( Hun Mo Ryoo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1

        목적: 폐암은 우리나라에서 암으로 사망하는 환자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전체 폐암 중 비소세포폐암은 80~85%를 차지하며, 특히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은 예후가 불량하여 1년 생존율은 35%에 불과하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18F] fluorodeoxyglucose (FDG)를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은 다양한 FDG 섭취 정도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제 IIIb 병기 이상의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FDG-PET의 SUV (Standardized Uptake Value) 정도에 따라 이들의 치료 경과 혹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제 IIIb, IV 병기인 비소세포폐암을 진단받고 치료 전 FDG-PET을 시행한 5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각 환자의 PET 영상에서 FDG 섭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병소 부위에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병소의 SUV를 구하였다. 생존기간(overall survival)과 무진행 생존기간(time to progression)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생존율의 차이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의 FDG 섭취 정도에 따른 차이는 SUV 값을 7로 구분하였을 때 각각의 생존율이 가장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되어 SUV 7의 값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SUV 7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한 FDG 섭취 정도는 생존기간(p=0.02) 및 무진행 생존 기간(p=0.04)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예후인자로 확인되었고, 이외에 일상생활수행능력(p=0.02)이 생존 기간에 대한 예후인자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FDG-PET에서 원발암의 SUV가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FDG-PET에서 높은 SUV 섭취 정도를 보이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서 생존 기간과 무진행 생존 기간이 더 짧아 나쁜 예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더 오랜 기간 동안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치료 방침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를 확인하는 전향적인 대규모, 다기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ung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in Korea.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omprises 80~85% of lung cance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with [18F]fluorodeoxyglucose (FDG-PET) shows various levels of FDG uptake for patients with NSCLC. This study determined whether the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of FDG uptake by PET is a prognostic factor for advanced NSCLC. Methods: FDG-PET was performed in 59 patients with stage IIIb and IV NSCLC. The SUV was calculated for each patient. Overall survival (OS) and time to progress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evaluated with the log-rank tes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was assessed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A cutoff of 7 for the SUV gave the best criminative value. In the univariate analysis, performance status (p=0.02) and SUV (p=0.03)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S. The patients with low SUVs (≤7) had significantly better times to progression than those with high SUVs (>7, p=0.04). A multivariate Cox analysis identified performance status and the SUV as important for the prognosi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V i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Korean J Med 77:76-83, 2009)

      • KCI등재후보

        비전이성 골육종환자에서 술전 Cisplatin, Adriamycin 복합항암화학요법의 효과

        오현아 ( Hyun A Oh ),이구 ( Gu Lee ),강희정 ( Hee Jung Kang ),이재련 ( Jae Lyun Lee ),이경희 ( Kyung Hee Lee ),현명수 ( Myung Soo Hyun ),신덕섭 ( Duk Sub Sin ),배성화 ( Sung Hwa Bae ),류헌모 ( Hun Mo Ryoo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5 No.1

        목적 : 골육종환자에서 cisplatin과 adriamycin을 사용한 술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반응율 및 생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골육종 환자 24명 중 보조요법만 시행한 4명의 환자를 제외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전 화학요법과 술후 화학요법을 시행한 14명의 환자군을 A군으로 하고 술후에 화학요법을 시행한 6명의 환자군을 B군으로 하였다. A군 중 12명은 사지구제술을 시행하고 2명은 진행하여 사지절단술을 시행하였고 B군 중 사지외 Background : Adjuvant chemotherapy is the most accepted treatment for localized osteosarcoma. We studied the effectiveness of preoperative cisplatin and adriamycin combination chemotherapy in non-metastatic osteosarcoma. Methods : Twenty four cases of pat

      • KCI등재후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제1차 요법으로서 매주요법 Docetaxel/Platinum 복합항암화학요법의 효과

        김소연 ( So Yeon Kim ),류헌모 ( Hun Mo Ryoo ),배성화 ( Sung Hwa Bae ),정현영 ( Hyun Young Jung ),김경찬 ( Kyung Chan Kim ),현대성 ( Dae Sung Hyun ),이상채 ( Sang Chae Lee ),김경옥 ( Kyeong Ok Kim ),이경희 ( Kyung Hee Lee ),현명수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6

        목적: 비소세포폐암은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대다수의 환자가 질병 경과 중에 항암화학요법이 필요하다. Docetaxel과 platinum의 복합항암화학요법이 비소세포폐암의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표준적인 3주요법은 심각한 골수 억제 독성이 있다. 주 단위 저용량의 docetaxel을 투여할 경우 효과를 유지하면서 골수 억제 독성을 감소시킨다고 한다. 이에 저자들은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주 단위 저용량 docetaxel과 platinum 복합항암화학요법의 효과와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총 29명의 완치가 불가능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docetaxel 35 mg/m2를 제 1, 8, 15일에 1시간 동안 정맥점적주사하고, 제1일에 cisplatin 75 mg/m2 (60세 미만) 또는 carboplatin (AUC 6, 60세 이상)을 docetaxel 투여 후 정맥점적주사하였다. 결과: 총 29명 중 남자 25명, 여자 4명이었고, 중앙 연령 66세, 60세 이상 65.5%, 일상생활수행능력(ECOG) 2가 55.2%였다. 편평상피세포암 48%, 선암 38%였다. 제IIIB병기 21%, 제IV병기 72%, 수술 후 재발한 환자 7%였다. 복합항암화학요법은 총 95회를 투여하였다. 평가 가능한 26명에서 부분반응 44.8%, 안정성 병변 10.3%, 진행성 병변 34.5%로 전체종양반응률 44.8%였다. 중앙 생존기간 11.3개월(95% 신뢰구간, 23-67주), 무진행생존기간 5.3개월(95% 신뢰구간, 11-31주), 1년 추정 생존률 37%였다. 연령, 성별, 병기,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생존률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저용량의 docetaxel 매주요법과 platinum 제제의 복합항암화학요법은 3주요법과 대등한 전체 종양 반응률과 중앙생존기간을 보이면서 낮은 혈액학적 독성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불량하거나 고령인 환자를 포함하여 비소세포폐암의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Docetaxel is a highly effective chemotherapeutic agent with proven efficac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owever, myelosuppression can be a substantial concern when docetaxel is administered every 3 weeks. Weekly administration of low-dose docetaxel has demonstrated a comparable efficacy together with a distinct toxicity profile with reduced myelosuppression. We conducted a phase Ⅱ study of weekly administration of docetaxel and cisplatin or carboplatin in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to evaluate efficacy and safety. Methods: Twenty-nine patients with advanced or metastatic NSCLC who had not received prior treatment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infusions of docetaxel (35 mg/m2 on days 1, 8, 15) and cisplatin (75 mg/m2 on day 1) or carboplatin (AUC 6), followed by a week of rest. Results: Twenty-six patients were assessable for efficacy and all patients were assessable for toxicity determination. The overall response rate of the regimen was 44.8%. The median survival was 11.3 months, and the 1-year survival rate was 37%. Of the hematologic toxicities, grade 3/4 neutropenia were observed in 12.6% of the patients, but there were no episodes of neutropenic fever. Non-hematologic toxicities were mild. Conclusions: With this weekly dosing regimen, although efficacy is comparable, myelosuppression is substantially less, and the overall tolerability profile is better than with dosing every 3 weeks. (Korean J Med 72:625-631, 2007)

      • SCOPUSKCI등재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동반된 비장의 원발성 악성 림프종 2예

        배성화 ( Sung Hwa Bae ),박성훈 ( Sung Hoon Park ),류헌모 ( Hun Mo Ryoo ),김호각 ( Ho Gak Kim ),조창호 ( Chang Ho Cho ),이재련 ( Jae Lyun Lee ),이경희 ( Kyung Hee Lee ),현명수 ( Myung Soo Hyun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6

        The incidence of primary splenic lymphoma is less than 1% of all non-Hodgkin`s lymphoma. Lymphotrophism of hepatitis C virus may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imary splenic lymphoma. However, there is no report about primary splenic lymphoma associated with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e present two cases of primary splenic lymphoma associated with hepatitis B virus infection. They suffered from left upper quadrant abdominal pain and underwent diagnostic splenectomy. In case 1, the spleenhada10×10×9 cm lobulated tumor mass that replaced the splenic parenchyma. In case 2, the spleen contained two lobulated macronodular white tumors, measuring 3×2 cm and 2×2 cm. Splenic tumors were confirmed pathologically to be intermediate and high grade of B cell lymphoma. The patients received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CHOP. They are still alive without recurrence 23 months and 15 months after splenectomy.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519-522)

      • KCI등재후보

        단전이성 뇌종양의 임상 양상과 예후 인자

        이재련(Jae Lyun Lee),신창진(Chang Jin Shin),강희정(Hee Jeong Kang),오현아(Hyun Ah Oh),이구(Gu Lee),최재혁(Jae Hyuk Choi),배성화(Sung Hwa Bae),이경희(Kyung Hee Lee),현명수(Myung Soo Hyun),신세원(Sei One Shin),류헌모(Hyun Mo Ryoo)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4

        목적 : 전이성 뇌종양은 성인 악성 종양환자의 흔한 합병증이다. 저자 등은 전이성 뇌종양의 임상적인 특징, 치료 효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전이성 뇌종양으로 진단 받은 9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뇌전이의 원발종양으로는 폐암 (61예, 63%)이 가장 흔하였으며 그 외 원발 불명 전이성 뇌암 (15예, 16%), 위장관암 (13예, 13%), 유방암 (6예, 6%), 신장암 (2예, 2%) 순이었다. 단일성 뇌전이는 44예 (45%)였으며 다발성 뇌전이는 53예 (55%)였다. 치료 유무 및 종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중앙생존기간은 3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8%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로는 진단당시 활동능과 신경손상의 정도 (p< 0.01)였다. 어떠한 치료도 시행하지 않는 군에 비해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유의한 생존기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1.1개월 대 3.7개월). 스테로이드 단독 치료에 비해 전뇌 방사선 조사를 추가한 군에서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2.2개월 대 4.8개월). 추가적인 항암화학요법은 유의한 생존기간의 향상을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한 군의 중앙생존기간은 8.8개월로 스테로이드와 전뇌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군에 비해 유의한 생존기간의 증가를 보였다. 결론 : 전이성 뇌종양 환자에서 전뇌 방사선치료와 스테로이드는 유용한 완화치료 방법이며 진단 당시 활동능과 신경손상의 정도가 중요한 예후 인자로 분석되었다. 후향적인 연구로 인해 결과 해석에 한계가 있으나 수술적 절제 및 항암화학요법이 일부 선택된 환자 치료시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Brain metastasis is a common complication in cancer patients. We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brain tumor. Methods : The records of 97 patients with metastatic brain tumor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1 to November 199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most common primary tumor is lung cancer (61 cases, 63%) followed by metastatic cancer unknown primary site (15 cases, 16%), gastrointestinal cancer (13 cases, 13%), breast cancer (6 cases, 6%) and renal cancer (2 cases, 2%). There were 44 patients with a single brain metastasis and 53 patients with multiple brain metastases. The median survival was 3.0 months and one-year survival rate was 8% irrespective of treatment.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which affect survival were ambulatory status (p<0.01) and functional neurologic class 1, 2 (p<0.01). Median survival was 3.7 months for patients with steroid therapy and 1.1 months with no therapy (p<0.01). Median survival was 4.8 months for patients with steroid therapy plus whole brain radiotherapy (WBRT) and 2.2 months with steroid therapy alone (p<0.01). Additional chemotherapy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survival. The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had median survival time of 8.8 months compared with 2.5 months for patients treated with steroid therapy plus WBRT (p<0.05). Conclusion : In present study, we confirmed that whole brain irradiation and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are effec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brain tumor. Initial performance status and neurological func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Although confounded by the limitations of retrospective study, more aggressive treatments including surgery and chemotherapy could be regarded to have a significant role to achieve better treatment outcome in some selected cases.(Korean J Med 62:444-452, 2002)

      • KCI등재후보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weekly paclitaxel을 이용한 화학 방사선 동시요법의 효과

        배성화 ( Sung Hwa Bae ),김경찬 ( Kyung Chan Kim ),이선아 ( Sun Ah Lee ),김소연 ( So Yeon Kim ),류헌모 ( Hun Mo Ryoo ),현대성 ( Dae Sung Hyun ),이상채 ( Sang Chae Lee ),예지원 ( Ji Won Yei ),배종엽 ( Jong Yup Bae ),정경재 ( Kyung J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4

        목적 : 절제 불가능한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paclitaxel을 이용한 화학 방사선 동시요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화학 방사선 동시요법 기간동안 paclitaxel을 매주 60㎎/㎡의 용량으로 1시간 동안 정맥으로 투여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회 1.8Gy 분할량으로 주 5회 조사하였으며, 총 63Gy까지 조사하였다. 동시치료 이후 4주기의 paclitaxel/carboplatin 복합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28명의 환자가 등록되었고, 남자가 25명, 여자가 3명이었고, 나이의 중앙값은 60세(범위: 41~73세)였다. 19명의 환자에서 계획된 화학 방사선 동시치료를 마쳤다. 완전관해는 5명, 부분관해는 15명으로 전체 관해율은 71.4%이었고, 7명의 환자에서 3도 이상의 폐렴이 발생하였는데 이 중 3명이 치료 관련 사망하였다. 중앙 생존기간은 17.5개월(95% 신뢰구간 12.5~22.5개월)이었고 무진행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8.0개월(95% 신뢰구간 4.1~11.9개월)이었다. 결론 :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에서 paclitaxel을 포함한 화학 방사선 동시치료는 효과적이지만 폐의 부작용이 문제가 되며 환자 대상 선택과 추적에 주의를 요한다. Background : Combined modality therapy is standard treatment of unresectable, locally advanced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owever, the optimal chemotherapy regimen and duration of chemotherapy remain a matter of debate.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feasibility of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CCRT)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Methods : PS 0-2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inoperable stage III NSCLC were eligible for this trial. The patients received paclitaxel (60㎎/㎡) on days 1, 8, 15, 22, 29, 36 with a concurrent radiotherapy (5days/week, 1.8Gy/day) starting day 1 with a total dose of 63 Gy. After CCRT, four cycles of consolidation chemotherapy with paclitaxel (140㎎/㎡) and carboplatin (AUC 5) was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a partial, complete remission or stable disease. Results : Twenty eight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60 years. Of the 28 patients, 19 received scheduled CCRT. Overall response rate was 71.4% including 5 complete responses and 15 partial responses. Grade 3 or 4 pulmonary complication was observed in 7 patients and 3 patients died of pneumoniti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17.5 months (95% CI, 12.5-22.5). The 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 was 8.0 months (95% CI, 4.1-11.9). Conclusions : CCRT including paclitaxel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led to an encouraging response rate and survival, but resulted in high incidence of severe pulmonary complication.(Korean J Med 69:379-386, 2005)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소장 협착 소견을 보인 외투세포림프종 1예

        박재범 ( Jae Bum Park ),권중구 ( Joong Goo Kwon ),오재영 ( Jae Young Oh ),한지민 ( Ji Min Han ),정진태 ( Jin Tae Jung ),김은영 ( Eun Young Kim ),김호각 ( Ho Gak Kim ),류헌모 ( Hun Mo Ryoo ),채현동 ( Hyun Dong Chae ),조창호 ( Chang 대한장연구학회 2012 Intestinal Research Vol.10 No.3

        Mantle cell lymphoma (MCL) is a subtype of B-cell non-Hodgkin`s lymphoma (NHL), accounting for 3-10% of NHL. MCL involves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in 10-30% of patients and common sites of MCL GI tract involvement are the colorectum and stomach, but any region of the GI tract may be involved. GI tract involvement by MCL usually presents in the form of multiple lymphomatous polyposis involving several segments of the GI tract. A few cases of MCL presenting with a GI tract stricture have been reported. Here, we present a rare case of a small intestinal stricture caused by MCL and review the literature of this disease. (Intest Res 2012;10:300-304)

      • KCI등재후보

        진행성 대장암 환자에서 Oxaliplatin과 UFT, Leucovorin 복합화학요법의 효과

        신진향 ( Jin Hyang Shin ),김소연 ( So Yeon Kim ),우창민 ( Chang Min Woo ),김영섭 ( Young Sup Kim ),김지영 ( Ji Young Kim ),서정현 ( Jung Hyun Seo ),이완석 ( Wan Suk Lee ),배성화 ( Sung Hwa Bae ),류헌모 ( Hun Mo Ryoo ),이한일 ( Han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7 No.1

        목적: UFT와 경구용 leucovorin (LV) 요법은 진행성 대장암 환자의 치료에서 5-Flurouracil/LV 급속 정주법과 같은 효과를 보이면서 더 안전하고 편리하다. 저자들은 진행성 대장암 환자에서 oxaliplatin과 UFT/LV 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1년까지 전이성 또는 재발성 대장암으로 진단받았던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방법은 제 1일에 oxaliplatin 130㎎/㎡을 Background: UFT/oral leucovorin (LV) provided a safer, more convenient oral alternative to bolus i.v. 5-Fluorouracil/LV regimen for advanced colorectal cancer while producing equivalent survival.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a combination of ox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직계자녀에서의 경구 당부하 검사시 혈청 프로인슐린 분비반응

        이지현,유성수,박경찬,류헌모,윤현대,손호상 대한당뇨병학회 2002 임상당뇨병 Vol.3 No.4

        연구배경: 혈청 프로인슐린 농도의 증가는 베타세포에서 프로인슐린 생성과정의 이상 또는 비정상적인 인슐린 분비를 의미한다. 최근의 연구결과들은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내당능장애 환자에서 프로인슐린의 농도가 증가됨을 보고하고 있으며 혈청 프로인슐린 농도는 베타세포의 기능이상을 나타내는 표지자 또는 발병 예견인자로 생각하고 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직계자녀는 당뇨병 발병의 고위험군이며 이들에서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저하 또는 비정상적인 인슐린 분비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가 있다. 이에 저자 등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직계자녀에서 경구 당부하 검사를 통한 베타세포의 프로인슐린의 분비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부모 중 한 사람이 임상적으로 제 2형당뇨병 환자인 직계자녀 25명과 가족 중 당뇨병의 병력이 없는 대조군 23명을 대상으로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여 혈청 인슐린, 프로인슐린분비반응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에서 신장,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지수를 계산하고 수축기및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공복시 혈청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고밀도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경구 당부하 검사상 직계자녀군과 대조군 사이에 혈청 포도당 및 순수 인슐린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프로인슐린 농도는 경구 당부하검사에서 시간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직계자녀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다. 프로인슐린/총 인슐린 비율은 직계자녀군과 대조군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직계자녀군과 대조군 두군 모두에서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시간이 진행될수록 농도가 증가하였다. 결론: 당뇨병 발병의 고위험군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직계자녀에서 정상 포도당 대사소견을 보이는 상태에서는 공복 및 경구 당부하 검사를 통한 베타세포의 자극 상태에서도 프로인슐린의 분비 증가 소견을 보이지는 않았다. Background: An elevated proinsulin concentration reflects abnormal proinsulin processing and could indicate abnormal insulin secretion. Recent data suggest that proinsulin is elevated disproportionately i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So an elevated proinsulin level was interpreted as an early indicator of beta-cell dysfunction. First-degree relatives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re at high risk of developing diabetes. There are many studies showing decreases in insulin secretion or abnormal secretion in nondiabetic relatives of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We examined the proinsulin level and the ratio of proinsulin/total insulin in first-degree relatives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We investigated proinsulin and insulin responses during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twenty-five male offspring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twenty-three age- and sex-matched controls. We measured clin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rum glucose and true insulin concentrations between the offspring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The proinsulin concentration was gradually increased as time ensued and the offspring's value tended to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during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The proinsulin to total insulin ratio was similar between the offspring and control groups during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the ratio was gradually increased as time ensued. Conclusion: Young offspring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have a high risk of developing diabetes, do not exhibit elevated levels of fasting or glucose-stimulated proinsulin as long as they are in a normal glucose tolerance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