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단전이성 뇌종양의 임상 양상과 예후 인자

        이재련(Jae Lyun Lee),신창진(Chang Jin Shin),강희정(Hee Jeong Kang),오현아(Hyun Ah Oh),이구(Gu Lee),최재혁(Jae Hyuk Choi),배성화(Sung Hwa Bae),이경희(Kyung Hee Lee),현명수(Myung Soo Hyun),신세원(Sei One Shin),류헌모(Hyun Mo Ryoo)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4

        목적 : 전이성 뇌종양은 성인 악성 종양환자의 흔한 합병증이다. 저자 등은 전이성 뇌종양의 임상적인 특징, 치료 효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전이성 뇌종양으로 진단 받은 9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뇌전이의 원발종양으로는 폐암 (61예, 63%)이 가장 흔하였으며 그 외 원발 불명 전이성 뇌암 (15예, 16%), 위장관암 (13예, 13%), 유방암 (6예, 6%), 신장암 (2예, 2%) 순이었다. 단일성 뇌전이는 44예 (45%)였으며 다발성 뇌전이는 53예 (55%)였다. 치료 유무 및 종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중앙생존기간은 3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8%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로는 진단당시 활동능과 신경손상의 정도 (p< 0.01)였다. 어떠한 치료도 시행하지 않는 군에 비해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유의한 생존기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1.1개월 대 3.7개월). 스테로이드 단독 치료에 비해 전뇌 방사선 조사를 추가한 군에서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2.2개월 대 4.8개월). 추가적인 항암화학요법은 유의한 생존기간의 향상을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한 군의 중앙생존기간은 8.8개월로 스테로이드와 전뇌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군에 비해 유의한 생존기간의 증가를 보였다. 결론 : 전이성 뇌종양 환자에서 전뇌 방사선치료와 스테로이드는 유용한 완화치료 방법이며 진단 당시 활동능과 신경손상의 정도가 중요한 예후 인자로 분석되었다. 후향적인 연구로 인해 결과 해석에 한계가 있으나 수술적 절제 및 항암화학요법이 일부 선택된 환자 치료시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Brain metastasis is a common complication in cancer patients. We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brain tumor. Methods : The records of 97 patients with metastatic brain tumor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1 to November 199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most common primary tumor is lung cancer (61 cases, 63%) followed by metastatic cancer unknown primary site (15 cases, 16%), gastrointestinal cancer (13 cases, 13%), breast cancer (6 cases, 6%) and renal cancer (2 cases, 2%). There were 44 patients with a single brain metastasis and 53 patients with multiple brain metastases. The median survival was 3.0 months and one-year survival rate was 8% irrespective of treatment.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which affect survival were ambulatory status (p<0.01) and functional neurologic class 1, 2 (p<0.01). Median survival was 3.7 months for patients with steroid therapy and 1.1 months with no therapy (p<0.01). Median survival was 4.8 months for patients with steroid therapy plus whole brain radiotherapy (WBRT) and 2.2 months with steroid therapy alone (p<0.01). Additional chemotherapy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survival. The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had median survival time of 8.8 months compared with 2.5 months for patients treated with steroid therapy plus WBRT (p<0.05). Conclusion : In present study, we confirmed that whole brain irradiation and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are effec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brain tumor. Initial performance status and neurological func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Although confounded by the limitations of retrospective study, more aggressive treatments including surgery and chemotherapy could be regarded to have a significant role to achieve better treatment outcome in some selected cases.(Korean J Med 62:444-452, 2002)

      • SCOPUSKCI등재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Recurrent Glioblastoma Multiforme using Yeungnam Localization Device

        신세원(Sei One Shin),김성규(Sung Kyu Kim),김명세(Myung Se Kim),김오룡(Oh Lyong Kim),조수호(Soo Ho Ch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1

        재발성 두개강내 악성종양의 치료는 관습적으로 재수술이나 고식적 항암요법이 주된 치료법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치료효과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일부분의 치료기관에서는 뇌정위적으로 근접치료를 시도하였으나 선량분포의 불균일성과 시술상의 어려움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최근 방사선 영상진단기술의 발달과 치료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뇌정위적 방사선 절제술이 도입되어 그 이용범위가 넓어지면서 기능적 뇌절제술을 비롯하여 뇌동정맥기형의 치료나 뇌종양의 치료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고무적인 보고가 많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에서는 신경외과학교실과 합동으로 뇌정위적 방사선 뇌절제술에 필수적인 위치선정을 특수기구를 자체제작하여 전산화 단층촬영장치와 치료용 선형가속기에 적용가능성 여부를 검토한 후 인형 인체 모형과 필름을 이용하여 기계적 정확성과 방사선 선량 분포의 안정성을 확인한 후 과거에 근치적 뇌부분 절제술과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후 재발된 두명의 악성 성상 세포종 환자에서 자체제작한 기구를 이용하여 뇌정위적 방사선절제술을 시행하여 고식적치료에 합당한 증상개선의 만족스런 결과를 얻었으므로 위치선정용 기구의 특성과 치료성적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Authors performed a stereotactic radiosurgery with multiple noncoplanar convergent photon beams of linear accelerator (NELAC-1018 18 MeV, NEC) using a specially designed Yeungnam localization device for two patients with recurrent gliobiastoma multiforme One patient had 2 cm sized and the other 4 cm sized mass on the CT images. After single session of treatment with 15 and 20 Gy, headache was improved in a few days after radiosurgery with no remarkable untoward reactions. Our experience with these two patients were endcouraging and we found that our localization device, which is easily adjustable and inexpensive, could be a valuable tool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particularly in the treatment of recurrent brain tumor.

      • 콘빔 CT를 이용한 전이성 뇌암의 영상 유도 방사선수술

        신세원 ( Sei One Shin ),윤상모 ( Sang Mo Yun ) 영남대학교 기초/임상의학연구소 200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4 No.2S

        Background: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feasibility of CBCT(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guided radiosurgery. Materials and Methods:We used CBCT which was mounted on a retractable arm at 90° to the treatment source. CBCT images were overlapped on the digitally reconstructed images from simulation CT scan. Then, 3 dimensional volumetric CT image matching was performed. If there were any positioning errors, automated patient re-positioning was done. Results:A radiosurgery treatment plan was carried out with a set of specially designed multiple non-coplanar arcs. The goal of plan was to deliver single session 18 Gy at periphery of the target. We treated a patient with a solitary brain metastasis from left upper lung cancer. Serial imaging study for treatment response revealed a satisfactory result with no remarkable treatment related side effects. Conclusion:CBCT image guided radiosurgery system is very simple and could be a convenient image guiding modality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or fractionated radiotherapy with an acceptable geometric accuracy and radiation exposure.

      • SCOPUSKCI등재

        MCF-7 세포주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과발현에 의한 방사선 내성의 유도

        김재철,신세원,Kim, Jae-Chul,Shin, Sei-On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4

        목적 : 사람의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주를 대상으로 gul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유전자의 발현 정도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hGSTK1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고 hGSTK1 유전자를 과발현시킴으로써 hGSTK1이 방사선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관찰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사람의 모유두 세포 pBluescript phagemid cDNA library로부터 선별한 hGSTK1 cDNA를 pcDNA3.1/Myc-His (+) vector에 결합시킨 후, 사람의 유방암 세포인 MCF극 세포에 이입시켰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극 세포와 hGSTK1을 이입시킨 MCF-7 세포에 $2\~12\;Gy$의 엑스선을 조사하여 생존 분획을 비교하였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7 세포와 hGSTK1을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방사선량, 분할조사 여부,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hGSTK1 mRNA 발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RT-PCR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기 전의 MCF-7 세포보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생존 분획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7 세포에서 2 Gy 생존 분획은 $0.3250{\pm}0.0319$였고,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2 Gy 생존 분획은 $0.4125{\pm}0.0325$였다 (p<0.05). 그러나 RT-PCR에 의한 hGSTK1 mRNA 분석에서는 방사선량, 분할조사 여부,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발현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 : MCF-7 세포주에서 hGSTK1의 과발현은 방사선 감수성에 영향을 미쳐서 MCF-7 세포의 생존 분획을 증가 시켰다고 볼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기전을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x-irradiation on the expression of the novel glutathione S-transferase K1 gene. Materials and methods : Human glu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DNA was purified and ligated to a pcDNA3.1/Myc-His(+) vector for the overexpression of hGSTK1 gene. MCF-7 cells were transfected with or without the recombinant hGSTK1 gene, and irradiated with 6 MV x-ray. After incubation of 14 days, cell survival was measured and compared. The expression of hGSTK1 and the effect of x-irradiation on hGSTK1 expression were also estimated in MCF-7 cells transfected with or without the hGSTK1 gene by RT-PCR. Results : Following 2 to 12 Gy of x-irradiation, the cell survivals were higher in the MCF-7 cells transfected with the hGSTK1 gene than in those without transfection. Despite the higher cell survival in the hGSTK1-transfected cells, RT-PCR for hGSTK1 mRNA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adiation dose, fractionation, and time after irradiation. Conclusion : The MCF-7 cells transfected with the hGSTK1 gene showed higher cell survival than those without transfection of the gene. The hGSTK1 gene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radiosensitivity of MCF-7 cell line and further analysis should be needed.

      • SCOPUSKCI등재

        The Effect of Therapy Oriented CT in Radiation Therapy Planning

        김성규,신세원,김명세,Kim, Sung-Kyu,Shin, Sei-One,Kim, Myung-Se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5 No.2

        전산화 단층촬영 (CT)은 진단 분야 뿐 아니라 방사선 치료 계획 및 치료효과의 추적 등 치료분야에 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체위가 치료시와는 다름으로 얻어진 영상이 치료시의 영상과는 차이가 있으며, 삼차원적인 치료면적의 계산이 곤란할 뿐 아니라 조영제를 사용함으로 생길 수 있는 선량계산의 오라 및 정확한 조사야가 표현되지 많음으로 병소 및 중요 정상장기의 선량 측정이 정확하지 못한점 등의 단점이 없다. 저자들은 1986년 5월 1일부터 1987린 4월 30일까지 영남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받은 총 365명의 환자 중 일반 CT의 단점을 보완한 치료용 CT와 종래의 simulation을 병행한 106명의 치료계획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료용 CT후 두경부 암 환자의 $47\%$, 흉부암 환자의 $79\%$, 복부암 환자의 $63\%$에서 치료계획의 변경이 있어 치료용 CT가 두경부암, 흉부암, 복부암에서 거의 철수적임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직장암, 자궁경부암에서는 추가치료의 조사야의 측정 및 선량계산 이외의 전예에서 치료계획의 변경이 없었다. 선량분포의 비교측정에서는 윤곽만을 사용한 종래의 선량계산이 CT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두경부암에서는 평균 $20\%$, 흉부암, 복부암에서는 약 $10\%$의 차이를 보여 전례에서 CT보다 과측정 되었음을 보여 종래의 윤곽만을 사용한 치료계획시의 저선량 조사에 대한 보정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success of radioation therapy depends on exact treatment of the tumor with significant high dose for maximizing local control and excluding the normal tissues for minimizing unwanted complications. To achieve these goals, correct estimation of target volume in three dimension, exact dose distribution in tumor and normal critical structures and correction of tissue inhomogeneity are required. The effect of therapy oriented CT (plannng CT)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simulation method in necessity of planning change, set dose, and proper distribution of tumor dose. Of 365 new patients examined, planning CT was performed in 104 patients $(28\%)$. Treatment planning was changed in $47\%$ of head and neck tumor, $79\%$ of intrathoracic tumor and $63\%$ of abdmonial tumor. in breast cancer and musculoskeletal tumors, planning CT was recommended for selection of adequate energy and calculation of exact dose to critical structures such as kidney or spinal cord. The average difference of tumor doses between CT planning and conventional simulation was $10\%$ in intrathoracic and intra-abdominal tumors but $20\%$ in head and neck tumors which suggested that tumor dose may be overestimated in conventional simulation Although some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including the cost and irradiation during CT are still criticizing, our study showed that CT Planning is very helpful in radiotherapy Planning.

      • SCOPUSKCI등재

        Transcatheter Irradiation of Advanced Extrahepatic Biliary Tract Carcinoma

        김경애,김성규,신세원,김명세,송선교,권굉보,Kim Kyeoung Ae,Kim Sung Kyu,Shin Sei One,Kim Myung Se,Song Sun Kyuo,Kwon Koing Bo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5 No.2

        담도암은 서서히 자라며 원격전이가 늦은데 비하여 완전절제가 어렵고 수술 후 재발율이 높아. 생존율은 매우 낮다. 많은 예에서 국소치료의 실패가 치료실패의 요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술후 방사선 치료의 중요성이 인정되어 왔다. 외부방사선치료 만으로는 충분한 선량을 조사할 수 없으므로 국소적인 고선량치료법으로서 술중방사선치료, 간질방사선치료 (interstitial irradiation), 경관방사선치료(transcatheter irradiation)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경관방사선치료의 보고는 드물다. 영남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진행된 담도암 1예에서 암 종괴의 부분절제 후 삽입된 T-자관을 통하여 고선량 방사선 치료를 실시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arcinoma of extrahepatic biliary tract is slow growing tumor but curative resection is rarely successful. Radiation therapy has been introduced for enhancing palliation and possible longterm survival. We treated a case of advanced extrahepatic biliary tract carcinoma with high dose rate remote afterloading system through T-tube as a initial irradiation postoperatively. We hope that this treatment may affect not only ennancing palliation and better quality of life but also in local tumor control.

      • SCOPUSKCI등재

        Acute Response to Co-60 Total Body Irradiation (TBI) With 600 cGy at 3 Different Does Rates in the Mice

        강철훈,김성규,신세원,김명세,Kang Cheol Hoon,Kum Sung Kyu,Shin Sei One,Kim Myung Se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에서는 코발트-60원격치료기를 이용하여 80마리의 ICR 백서를 대상으로 서로다른 세가지 선량율로 600 cGy 단일조사를 시행한뒤 9주일동안 체중 및 말초혈액소견의 변화를 추적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체중변화는 선량율에 상관없이 조사 1주일부터 감소하여 6-7주일부터 치료전의 체중까지 회복 되었다. 2. 혈색소의 변화는 전 추적조사기간에 걸쳐 변화가 없었다. 3. 말초 혈액내의 백혈구의 총수는 조사 1주일부터 3주일까지 형태학적 구분이 안되는 수개의 세포만이 인지되었고 4주일부터 호중구의 회복이 임파구에 비해서 현저하였으며 8-9주일부터 조사전의 상태로 완전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보다 다양한 실험을 거친후 저선량율 전신조사의 가장 큰 단점인 장시간의 조사로 인한 기계의 무리와 환자 위치고정의 해결을 위하여 분당 선량율을 15 cGy까지 올릴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acute effects of variable dos rates to total body irradiation (TBI) were investigaed with 600 cGy of single exposure in the mice as a preclinical model. Total 80 mice (ICR) were used. Twenty of which sewed as controls, receiving no irradiation. All irradiated mice showed a universal decline in their weight and white blood cell count. The degree of weight loss and leukopenia were similar at 3 different dos rate but slightly prominent with 15 cGy/minute group. The degree of recovery among the groups showed no dose rate dependence. Our results suggest that TBI with 15 cGy/mimute may be applicable for clinical therapy with careful evaluation of patient's condition.

      • SCOPUSKCI등재

        The Effect of Therapy Oriented CT in Radiation Therapy Planning

        Sung Kyu Kim(김성규),Sei One Shin(신세원),Myung Se Kim(김명세)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5 No.2

        전산화 단층촬영(CT)은 진단 분야 뿐 아니라 방사선 치료 계획 및 치료효과의 추적 등 치료분야에 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체위가 치료시와는 다름으로 얻어진 영상이 치료시의 영상과는 차이가 있으며, 삼차원적인 치료면적의 계산이 곤란할 뿐 아니라 조영제를 사용함으로 생길 수 있는 선량계산의 오라 및 정확한 조사야가 표현되지 많음으로 병소 및 중요 정상장기의 선량 측정이 정확하지 못한점 등의 단점이 없다. 저자들은 1986년 5월 1일부터 1987린 4월 30일까지 영남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받은 총 365명의 환자 중 일반 CT의 단점을 보완한 치료용 CT와 종래의 simulation을 병행한 106명의 치료계획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료용 CT후 두경부 암 환자의 47%, 흉부암 환자의 79%, 복부암 환자의 63%에서 치료계획의 변경이 있어 치료용 CT가 두경부암, 흉부암, 복부암에서 거의 철수적임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직장암, 자궁경부암에서는 추가치료의 조사야의 측정 및 선량계산 이외의 전예에서 치료계획의 변경이 없었다. 선량분포의 비교측정에서는 윤곽만을 사용한 종래의 선량계산이 CT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두경부암에서는 평균 20%, 흉부암, 복부암에서는 약 10%의 차이를 보여 전례에서 CT보다 과측정 되었음을 보여 종래의 윤곽만을 사용한 치료계획시의 저선량 조사에 대한 보정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success of radioation therapy depends on exact treatment of the tumor with significant high dose for maximizing local control and excluding the normal tissues for minimizing unwanted complications. To achieve these goals, correct estimation of target volume in three dimension, exact dose distribution in tumor and normal critical structures and correction of tissue inhomogeneity are required. The effect of therapy oriented CT (plannng CT)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simulation method in necessity of planning change, set dose, and proper distribution of tumor dose. Of 365 new patients examined, planning CT was performed in 104 patients (28%). Treatment planning was changed in 47% of head and neck tumor, 79%> of intrathoracic tumor and 63% of abdmonial tumor. in breast cancer and musculoskeletal tumors, planning CT was recommended for selection of adequate energy and calculation of exact dose to critical structures such as kidney or spinal cord. The average difference of tumor doses between CT planning and conventional simulation was 10% in intrathoracic and intra-abdominal tumors but 20% in head and neck tumors which suggested that tumor dose may be overestimated in conventional simulation Although some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including the cost and irradiation during CT are still criticizing, our study showed that CT Planning is very helpful in radiotherapy Planning.

      • KCI등재후보

        3-Channel Vaginal Ovoids의 선량분포 특성

        김창희,윤상모,김성규,신세원,Kim Chang Hee,Yun Sang Mo,Kim Sung Kyu,Shin Sei One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 의학물리 Vol.15 No.3

        자궁경부암의 치료에서 자궁적출술 후 시행되는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의 가능성을 줄여 주거나 무병생존율을 향상시켜준다. 수술 후 국소재발이 질강에서 발생하거나, 질의 악성종양을 치료하기 위하여 외부조사와 병합한 강내조사나 강내조사 단독치료가 이용된다. 질강을 통한 강내조사에서는 육안적 또는 영상진단에서 확인되는 종양에는 고선량의 방사선치료가 필요하지만 정상조직에는 최대한 피폭을 적게 해야 된다. 사용하는 치료기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ovoid applicator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 질강의 해부학적인 특성이 준비된 ovoid applicator와 비교하여 너무 넓은 경우에는 질점막에 원하는 선량분포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여 치료의 효과를 떨어뜨리고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궁적출술 후 시행되는 질강을 통한 근접치료에서 기존의 상품화된 2-채널 ovoid applicator 에 추가로 한 개의 선원을 더 설치할 수 있도록 3-채널 ovoid applicator를 제작하고 다양한 조건에서 모의치료를 시행하여 선량분포를 서로 비교하였다. Ovoid applicator의 두 선원 사이의 거리가 2 cm와 2.5 cm인 경우에는 기존의 2-채널 ovoid applicator와 새로 제작한 ovoid applicator 사이에 선량분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양쪽 ovoid applicator 사이의 거리가 3, 3.5, 4 cm으로 증가될수록 기존의 2-채널 ovoid applicato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ovoid applicator사이 중간지점에 저선량 부위가 발생하였지만, 새로 보완하여 제작한 3-채널 ovoid applicato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 선량 지점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질강이 넓어서 기존의 2-채널 ovoid applicator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양쪽 ovoid applicator 사이에 추가로 방사선원을 더 설치할 수 있는 3-채널 ovoid appilcator를 사용하면 질강내 국소재발의 감소와 생존율의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향후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임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new ovoid applicator for vaginal high-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evaluate uniformity of dose distribution, and assess clinical applicability. The authors evaluated dose uniformity of vaginal mucosa according to 5-different ovoid-separation using 2-channel and modified 3-channel ovoid applicat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ose distribution along the vaginal mucosa with 2 and 2.5 cm separations, but there were between the 2-channel and 3-channel ovoid applicator with a separation of 3 cm or more. Although a low dose area was shown between two ovoid applicators with the 2-channel ovoid applicator, the dose distribution along the vaginal mucosa with the 3-channel ovoid applicator was very uniform.

      • SCOPUSKCI등재

        단순 흉부 X-선 사진상 폐암 소견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효과

        강철훈(Cheol Hoon Kang),신세원(Sei One Shin),김명세( Myung Se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7 No.2

        From April 1986 to Dec. 1988, fifty one patients with carcinoma of lung were treated by radiation therapy in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Yeungnam University Hospial. Of the 51 patients, 31(61%) were squamous cell ca, 8(15.7%) were small cell ca, and remained 4(7.9%) were other cell types. Total radiation dose was average 64 Gy(60~75 Gy) for group A and 45 Gy(40~59 Gy) for group B. The mass regression and the response of airway obstruction to radiation therapy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follow up chest X-ray. The mass regression above 50% of total volume was noted in 23 patients (74.2%) among 31 patien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een. In squamous cell ca, however, the mass regression rate (above 50% of total volume) was 83.3% (10/12) in group A compared to 50% (3/6) in group B (p<0.05). The alleviation of airway obstruction was noted as follows. In group A, CR 42.9%, PR 35.7%, no response 21.4% and in group B, CR 55.6%, PR 33.3%, no response 11.1%. But, in squamous cell ca, responsiveness is higher than group B.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higher radiation dose in the management of primary tumor mass and airway obstruction caused by lung cancer especially squamous cell ca. So, meticulous treatment planning and multimodality combination therapy without increasing side effect or complication is recommended in management of inoperable bronchogenic carcin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