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대장 측방발육형 종양(Laterally Spreading Tumor)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

        류권호,장재영,차상우,천갑진,김진오,조주영,이준성,이문성,심찬섭,김부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2 Clinical Endoscopy Vol.25 No.2

        Background/Aims: Among colorectal neoplasms, laterally spreading tumors (LSTs) are defined as tumors over 10 mm in diameter that are low in height and grow superficially.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LSTs in colorectum. Methods: Forty six LS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endoscopic and pathologic findings. Results: Incidence of LSTs were 2.0% (46/2,276). Twenty two LSTs (47.8%) were less than 20 mm in diameter, 20 (43.5%) were 20∼30 mm, 4 (8.7%) were larger than 30 mm. The most frequent location was rectosigmoid colon (54.3%), followed by ascending colon (21.7%). Morphplogic types were GH types 37.0% (17/46), MN types 30.4% (14/46) and F types 32.6% (15/46). Histologic types were tubular adenomas 65.2% (30/46), tubulovillous adenomas 26.1% (12/46) and villous adenomas 8.7% (4/46). The overall malignancy rate was 19.6% (9/46). Malignancy rates were 4.5% (1/22) in the lesions less than 20 mm, 30.0% (6/20) in 20∼30 mm, 50.0% (2/4) in larger than 30 mm. Malignancy rates were 11.8% (2/17) in GH type, 21.4% (3/14) in NM type and 26.7% (4/15) in F type. Carcinoma invaded into the submucosa were present in one lesion of NM types and two of F type. Conclusions: LSTs larger than 20 mm had high malignant potential, more than 30%. Furthermore, LSTs showed different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orphologic classification. NM or F type had higher malignant potential than GH typ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2;25:82-88) 목적: 대장 측방발육형 종양(laterally spreading tumor)은 대장 벽을 따라 낮고 넓게 펴진 표면형 종양으로 크기가 큼에도 색조변화가 거의 없어 대장내시경상 발견이 쉽지 않고, 융기형, 표면형 용종들과는 다소 상이한 임상적 특징들을 갖는다. 이에 저자들은 대장 측방발육형 종양의 임상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장내시경상 측방발육형 종양으로 진단된 46예에서 내시경 소견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결과: 선종성 용종 2,276 병소 중 측방발육형 종양은 46병소(2.0%)였고 병변의 크기는 직경 10~19 mm 22예 (47.8%), 20~29 mm 20예(43.5%), 30 mm 이상 4예(8.7%)이었다. 호발 부위는 직장 및 S상 결장이 25예(54.3%)로 가장 많았고 상행결장 10예(21.7%) 횡행결장과 하행결장 11예(24.0%)였다. 육안적 분류는 과립균일형 17예(37%), 결절혼합형 14예(30.4%), 비과립형 15예(32.6%)였고, 병리조직적 분석은 관상 30예(65.29%), 관상융모상 12예(26.1%), 융모상 4예(8.7%)였다. 고도 세포이형성, 점막암 및 점막하암이 관찰된 경우는 9예(19.6%), 6예(13.0%), 3예(6.5%)로 전체 악성률은 19.6%였고 크기별 악성률은 10~19 mm의 경우 4.5% (1/22), 20~29 mm 30% (6/20), 30 mm 이상 50% (2/4)였으며, 점막하암 3예 중 1예는 직경 20~29 mm, 2예는 30 mm 이상이었다. 육안적 분류별 악성률은 과립균일형 11.8% (2/17), 결절혼합형 21.4% (3/14), 비과립형 26.7% (4/15)였고 점막하암 3예 중 1예는 결절혼합형, 2예는 비과립형이었다. 결론: 대장 측방발육형 종양이 20 mm 이상의 크기가 큰 경우는 악성률이 높고, 특히 육안적 형태학상 결절혼합형이나 비과립형에서는 악성률 및 점막하 침윤율이 매우 높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 대학병원 정신과 입원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처방경향과 그에 미치는 요인

        류권호,박상학,김학렬,김상훈,신혜랑 대한우울조울병학회 2012 우울조울병 Vol.10 No.1

        Objectives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antidepressant prescription patterns and associating factors at a university hospital. Methods : Subjects were total 138 psychiatric inpatients who take antidepressants for two years, 2008 and 2009 at a university hospital. We evaluated antidepressants used as the first choice, switching, combination , various augmentation agents and the factor associated with choice of antidepressant. Results : The antidepressants used as first line drug wer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51.4%), Noradrenergic and Specific Serotonergic Antidepressant (NaSSA)(21.7%), Serotonin Noradrenaline Reuptakte Inhibitor (SNRI)(13.8%) in frequency order. The antidepressants used as switching drug were SNRI (35.7%), NaSSA (28.6%), and SSRI (21.4%). As combination treatment, various combination were used including NaSSA,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 SNRI (29.4%, 29.4%, 20.6%, respectively). As augmentation treatment, atypical antipsychotics (44.2%) more used frequently than trazodone (38.4%), mood stabilizer (16.3%). The factor associated with choice of antidepressant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Conclusion : Psychiatrists in a university hospital prefer combination medication to switching antidepressant. These changes could be seen in use of various antidepressants, increment in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choice of antidepressant. This study can reflect not only the current progress of psychopharmacology and clinical experience, but also the clinical complexity of prescription of antidepressant.

      • SCIESCOPUSKCI등재

        담낭절제술이 오디조임근의 운동에 미치는 영향

        류권호 ( Kwon Ho Ryu ),이준성 ( Joon Seong Lee ),천영국 ( Young Koog Cheon ),송해정 ( Hae Jung Song ),김연수 ( Yeon Soo Kim ),은수훈 ( Soo Hoon Eun ),김상균 ( Sang Gyun Kim ),장재영 ( Jae Young Jang ),홍수진 ( Su Jin Hong ),김영석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오디조임근에 대한 통상적인 짧은 시간동안 측정하는 내시경적 내압검사법은 전반적인 오디조임근의 운동을 대변할 수 없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오디조임근 운동에 대한 담낭절제술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경피경간 담도배액관을 유치하고 있는 간내 담석만 있는 환자에서 오디조임근 내압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금식상태에서 오디조임근 경피경간 내압검사를 시행하였다. 17명은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은 간내 담석 환자였고, 9명은 정상대조군으로 이전에 담도계의 수술을 받은 적이 없는 간내 담석 환자였다. 4명의 환자에서는 처음 내압검사를 시행한 후 1-2주 지나 경피경간 오디조임근 내압검사와 동시에 위소장 내압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평균 기록 시간은 108±51분이었다. 오디조임근 기저압은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오디조임근의 위상파 수축의 평균횟수, 위상파 수축의 형태에 따른 분포에 있어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군과 정상대조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오디조임근 위상파 수축의 고빈도 수축은 18명의 환자에서 총 40회 관찰되었다.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군에서 고빈도 수축간의 평균 간격은 40.1±21.9분으로 정상 대조군 69.9±19.0분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0.05).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군에서 고빈도 수축이 지속되는 평균 기간은 6.1±2.1분으로 대조군의 5.0±1.6분에 비해 길게 나타났다(p<0.05). 동시에 위소장 내압검사를 시행한 4명의 환자에서는 기록된 오디괄약근의 총 20회 고빈도 수축이 모두 십이지장의 MMC III기와 동시에 나타났다. 결론 : 담낭절제술 환자군에서 고빈도 수축 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더 길고, 고빈도 수축 간의 간격은 대조군에 비해 짧았다. 또한, 오디조임근의 고빈도 수축과 십이지장 MMC III기가 연관성이 있게 나타나 이들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e perendoscopic manometry of the sphincter of Oddi (SO) may not represent the overall SO motility. To assess the effect of cholecystectomy on SO motility, SO manometry was performed via the percutaneous transhepatic route. Methods: Percutaneous transhepatic SO manometry was performed in 26 patients with IHD stones. Seventeen patients had undergone cholecystectomy, and the others had not (the control group). We performed antroduodenal manometry simultaneously in 4 patient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asal pressures, the mean frequency of phasic contrac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phasic contraction types of SO between the cholecystectom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ty occasions of high frequency type phasic contractions were observed in 18 patients. The mean interval of high frequency contractions in the cholecystectomy group was short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40.1±21.9 vs. 69.9±19.0 min, respectively, p<0.05), and the mean duration of high frequency contractions in the cholecystectomy group was long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6.1±2.1 vs. 5.0±1.6 min, respectively, p<0.05). Twenty high frequency contractions of SO coincided with duodenal MMC III on the antroduodenal manometry. Conclusions: A longer duration and shorter intervals of high frequency contractions were observed in the cholecystectomy group. High frequency contractions of SO were observed periodically without biliary pain and these coincided with duodenal MMC III.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61-67)

      • SCIESCOPUSKCI등재

        위 십이지장 내압검사상 동시성 반복성 수축을 보인 되새김 증후군 1 예

        류권호(Kwon Ho Ryu),이준성(Joon Seong Lee),임희혁(Hee Hyuk Lim),유창범(Chang Bum Yoo),김진오(Jin Oh Kim),조주영(Joo Young Cho),이문성(Moon Sung Lee),심찬섭(Chan Sup Shim),김부성(Boo Sung Kim)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1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7 No.2

        Rumination syndrome is defined as a regurgitation of recently ingested food into the mouth with subsequent remastication and reswallowing or spitting out, and absence of structural disease. This is infrequent in adults of normal mental capacity. The true prevalence of rumination syndrome is unknown because few people have medical attention and most of physicians do not recognize this syndrome as a disease. Upper gastrointestinal manometry has been reported to show a characteristic pattern that confirms the diagnosis, namely, the occurrence of synchronous pressure spikes termed R waves at all levels in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We assessed a 49-year-old 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frequent effortless regurgitation of food. Ambulatory short-segment antroduodenal manometry with pH-metry showed simultaneous repeatetive contractions in all segments associated with regurgitation.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2001;7:239-244)

      • 내시경적 절제술로 확진한 비전형적 위저선 과증식 1예

        임현진,박현준,정현구,류권호,천갑진,정인섭,김영석,김진오,조주영,이준성,이문성,심찬섭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2 Clinical Endoscopy Vol.24 No.2

        Fundic gland hyperplasia is a hyperplasia of glandular portion on epithelium of gastric fundus or body. The incidence of fundic gland hyperplasia is 1.4% in the general population. Fundic gland hyperplasia is the most common cause of multiple polyposis. Probably the most cause of fundic gland hyperplasia is a hamartomatous origin but some hyperplastic origin because of spontaneous remission. We have experienced and reported a case of atypical fundic gland hyperplasia confirmed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2;24:96-99) 위저선 과증식(fundic gland hyperplasia)은 위저부나 체부의 상피층에 존재하는 위선(glandular portion)이 과증식된 것을 말한다. 위저선 과증식은 전 인구의 1.4% 정도에서 발견되며 다발성 위용종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며 일반적으로 과오종성 기전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자연적으로 없어질 수도 있어 과형성성 기전으로 보기도 한다. 저자 등은 내시경적 절제술로 확진된 비전형적인 위저선 과증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헬리코박터 유발성 위염의 확대내시경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과의 상관관계

        장재영,정준성,천갑진,류권호,이보영,정인섭,유창범,김진오,조주영,이준성,이문성,심찬섭,김부성,진소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2 Clinical Endoscopy Vol.25 No.6

        Background/Aims: This is the study to find diagnostic possibility of the H. pylori induced gastritis by using the magnifying endoscope. Methods: The objectives were 144 pathologies from 48 patients with gastritis. The three sites of gastric mucosa have been magnified up to 80 times by using the magnifying endoscope.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the collecting venule,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3 patterns; regular (R), irregular (I) and disappearance (D) pattern and biopsy of each part has been performed. Each tissue has been evaluated into five kinds of morphological index (point: 0∼3) by using an updated Sydney system. Results: In 144 collecting venule, R, I and D-pattern was 19, 67, 58, respectively. Regarding the total score of morphologic points, the point of R-pattern was less than that of D-pattern (p<0.05). Regarding the infection of H. pyrori, the infection rate was 0%, 53.7%, and 60.3% in each pattern, and infection rate of R-pattern was less than other two patterns (p<0.05). Regarding the activity of neutrophile, R-pattern was less than those of I and D-pattern (p<0.05). Conclusions: Observance of the collecting venule of the gastric mucosa by magnifying endoscopy is considered to be useful when estimating the inflammation degree and H. pylori infec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2;25:431-437) 목적: 헬리코박터 유발성 위염의 진단에 있어서 생검조직을 이용한 침습적 방법이 흔히 이용되나 이는 국소적 소견으로 전체적인 위병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부위별 조직이 필요하다. 이에 연자들은 최근 임상적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확대 내시경을 이용한 위점막 집합세정맥의 관찰소견과 조직소견을 비교분석하여, 확대내시경을 이용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발성 위염의 진단적 가능성과 감염과 연관된 점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상부소화관 내시경검사에서 궤양이나 악성종양이 없는 위염 환자 48명, 144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남자 19명, 여자 29명이었고 평균연령은 47.8세(21~68세)였다. 내시경을 시행하면서 전정부 대만, 체부 대만, 체부 소만부에서 확대내시경을 사용하여 점막을 80배 확대 관찰하였으며, 점막의 미세혈관계인 집합세정맥의 분포양상에 따라 R형(regular pattern), I형(irregular pattern), D형(disappearance pattern)으로 분류하고 관찰한 부위들에서 조직생검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조직은 개정시드니체계를 이용하여 5가지의 형태학적 지표로 평가하고 0에서 3까지 점수화하여 각 부위의 확대내시경 소견과 조직학적 지표와의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관찰한 144부위에서 점막의 미세혈관계인 집합세정맥의 양상은 R형이 19예, I형이 67예, D형이 58예였다. 형태학적 지표의 총점수에서는 R형이 0.16±0.50점, I형이 2.91±2.57점, D형이 3.10±2.38점으로 R형이 I형 및 D형보다 적었다(p<0.05). 각각의 지표에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감염은 R형에서 0%, I형에서 53.7%, D형에서 60.3%로 R형에서 I형과 D형보다 의미있게 적었다(p<0.05). 중성구 활성도는 R형에서 I형 및 D형보다 적었다(p<0.05). 5. 각 군간의 단핵구 침윤, 위축성변화 및 장상피화생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확대내시경을 이용한 위점막 집합세정맥의 관찰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발성 위염에서 염증의 정도 및 감염유무의 예측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많은 증례를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