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피해자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탐색

        남동엽,임혜선,박상현 한국안전학회 2021 한국안전학회지 Vol.36 No.6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damage of disaster victims were explored using the “Long-term survey on the change of life of Disaster victim” data constru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The obtained results were utilized to suggest a recovery plan for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disasters.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d the survey data of disaster victims who consecutively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 2019 and 2018.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post-traumatic stress level experienced by the disaster victims at the time of the survey, after controlling the post-traumatic stress level in the patients in 2018, factors affecting the post-traumatic stress level in 2019 were explore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ge, gender, years after disaster, perceived scale of damage,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resilience. Further,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was examined us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was in the order of resilience, community resilience, age, perceived scale of damage, and year after disaster. In addition, gender and social support level were excluded from the regression model.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reduce with an increase in the resilience of the victims and the community resilience. In contras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ere enhanced with an increase in age and perceived scale of damage. Therefore, to reduce the consequence of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disasters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approach that can increase the resilience of disaster victims and enhance the resilience of the community to disaste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ased on the age and damage scale. -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음주 예방행동전략 척도 타당화 연구

        양난미,남동엽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scale. In order to develop preliminary items, the items of a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scale (PBSS) were adapted through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and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on 117 students at a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Then a preliminary alcohol-related protective strategies scale of 50 items was produced based on the adapted items of the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scale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66 students from another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were asked to rate their own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of the scale on drinking prevention,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made after selecting 246 students from a third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to finalize the items. As a result of mak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wo factors that consisted of 13 items were selected. Factor 1 was composed of items about activity strategies, which cover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 thinking and behavior. Factor 2 was constituted by items about manner of drinking, which covered behaviors related to alcohol drink and alcohol non-drink. Finall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validity analysis were carried out after 257 students from a fourth four-year university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and the convergent,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it was all confirmed by making 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cales of drinking motivation, alcohol use and drinking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When a retest was conducted three weeks later,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model was confirmed as well. Finally, the academic significanc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음주 예방행동전략 척도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번역, 역번역의 번안과정을 거친 예방행동전략(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scale: PBSS) 문항과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방형 설문조사 응답을 통합하여 음주 예방행동전략 예비척도 50문항을 제작하였다. 개발된 예비척도에 대해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 66명에게 이해도와 음주 예방 효과성을 평정하도록 하였고 최종 문항을 확정하기 위해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예비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3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2개 요인이 확인되었다. 1요인은 활동 전략에 대한 문항으로 대인관계 및 개인의 사고와 행동으로, 2요인은 음주 방법에 대한 문항으로 알콜섭취 및 비알콜섭취와 관련된 행동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실시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음주동기, 음주정도, 대학생 음주문제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해서 수렴, 공존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변별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3주 후 실시한 재검사를 통해서 안정적인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재난피해지역 내 지역사회기반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사례 연구

        이영욱,남동엽,정혜민,박상현,이지향 한국안전학회 2020 한국안전학회지 Vol.35 No.5

        The two major trends that have emerged in recent years in relation to disaster recovery and recovery are 'regional infrastructure', 'regional leadership' and 'community recovery'. In the former case, it is to avoid disaster recovery and recovery by using external personnel and resources, and to maximize the resources in the area under the initiative of the residents of the affected area. And through this process, it is to prepare a new growth engine for disaster-affected areas. In addition, the latter expands disaster recovery targets to the general population living in affected areas and is not limited to victims. Through this, we can expect to recover the 'community' beyond the individual's recovery. In the Ansan of Gyeonggi-do, where many families of 'Sewolho' live, and in the Heunghae-eup of Pohang, Gyeongbuk-do, where the damage was severe, projects are underway to restore communities. And In these areas local activists and civic groups are actively utilized to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efficiency. Nevertheless, in the case of the community recovery program being promoted in Korea, there are limitations that it can be promoted only on the basis of special laws and that participation of various actors is necessary.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limitations of current projects and ways to solve them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related to the community recovery program for disaster-affected communities using local resources. we suggest two way. One is the relaxation of the national dependence of the community recovery program, and the other is to expand the area of disaster relief through.

      • KCI등재

        재난피해자의 회복수준에 대한 지역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임혜선,남동엽,이기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5 No.-

        본 연구는 재난피해자가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피해유형과 회복수준의 관계에 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지역사회복지의 관점에서 공동체 회복탄력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즉 재난피해경험과 회복수준의 부정적인 관계에 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완화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공동체 회복탄력성은 재난관리에서 중요한 개념인 재난 회복탄력성의 구성개념 중 하나로 지역사회가 재난과 같은 위기상황을 겪을 때 필요한 사회적 자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2021년 재난피해 회복수준 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21 년 재난피해 회복수준 실태조사는 국내에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발생한 자연재난 피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로 본 연구에서는 가구주 1,807명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5.0을 사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인의 관계성 확인을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모델의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경제적⋅심리적⋅신체적⋅일상적 어려움은 회복수준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난피해 경험 중 경제적.심리적피해와 회복수준의 부적(-) 인 관계에 공동체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피해자의 회복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역사회 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공동체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의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짐바르도 시간관 척도 타당화: 직장인을 대상으로

        탁진국,장성배,김수연,이병걸,남동엽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9 No.3

        본 연구는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시간관 척도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번역, 역번역의 번안과정을 거친 짐바르도 시간관 척도(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ZTPI) 56개 문항을 사용하여, 국내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25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5개 요인이 확인되었으며, 각 요인별 문항은 과거긍정 6문항, 과거부정 3문항, 현재쾌락 4문항, 현재운명 5문항, 미래지향 7문항이었다. 다음으로, 국내 재직 중인 직장인 204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실시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5요인 모델이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삶의 만족도, 불안, 우울을 통해 준거 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다른 국가의 연구 결과들을 비교하여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일의 의미 척도개발 및 타당화

        서형준,탁진국,김혜선,남동엽,정희정,권누리,김소영,정일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성인이 인식하는 일의 의미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척도의 개발을 위해 개방형 설문과 두 차례의 예비조사, 본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 구성개념 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다양한 직장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8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총 5차례의 문항분류작업을 거쳐 9개 요인, 86문항을 선별하였다. 다음은 예비조사를 1차 500명, 2차 236명을 대상으로 2차례 실시하여 9개 요인 60문항, 8개 요인 54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개념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근로자 608명, 비근로자 408명 등 총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조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집단 1의 508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집단 2의 508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개념을 검증하였다. 집단 1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7문항으로 구성된 8개 요인구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2를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8개 요인구조 모형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서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개념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일의 의미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8개의 각 요인은 대부분의 준거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따라서 본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이론․실무적 시사점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