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즈마 중합된 Styrene 박막을 터널링층으로 활용한 부동게이트형 유기메모리 소자

        김희성,이붕주,이선우,신백균,Kim, Heesung,Lee, Boongjoo,Lee, Sunwoo,Shin, Paikkyun 한국진공학회 201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2 No.3

        The thin insulator films for organic memory device were made by the plasma polymerization method using the styrene monomer which was not the wet process but the dry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stable plasma, we make an effort for controlling the monomer with bubbler and circulator system. The thickness of plasma polymerized styrene insulator layer was 430 nm, the thickness of the Au memory layer was 7 nm thickness of plasma polymerized styrene tunneling layer was 30, 60 nm, the thickness of pentacene active layer was 40 nm, the thickness of source and drain electrodes were 50 nm. The I-V characteristics of fabricated memory device got the hysteresis voltage of 45 V at 40/-40 V double sweep measuring conditions. If it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paper which was the organic memory with the plasma polymerized MMA insulation thin film, this result was greater than 18 V, the improving ratio is 60%. From the paper, styrene indicated a good charge trapping characteristics better than MMA. In the future, we expect to make the organic memory device with plasma polymerized styrene as the memory thin film. 본 연구에서는 유기소자의 절연박막을 습식 공정이 아닌 건식 공정인 플라즈마 중합법을 이용하여 Styrene 유기물을 사용하여 절연박막을 제작하였다. 안정적인 플라즈마 형성을 위해 버블러와 써큐레이터를 활용하여 정량적인 모노머 주입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중합된 Styrene 박막을 30, 60 nm 터널링층으로 활용하였고, Styrene 절연층의 두께를 430 nm, Au 메모리층의 두께를 7 nm, 활성층의 두께를 40 nm, 소스와 드레인 전극의 두께를 50 nm로 유기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40/-40 V의 double sweep시 45 V의 히스테리시스 전압을 얻을 수 있었고, 이는 MMA를 터널링층으로 활용한 유기 메모리 소자의 히스테리시스 전압이 27 V인 것과 비교하였을 때 60% 상승한 효과로 히스테리시스 전압이 18 V 이상 높은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플라즈마 중합된 Styrene 유기 박막의 높은 전하 포집 특성을 활용하여 전체층을 유기 재료로 제작한 유연한 메모리 소자의 응용 가능성을 기대한다.

      • KCI등재

        Production of a strong(S) and weak(W) syllable in English words containing WS pattern by Korean learners

        Heesung Kim(김희성),Misun Seo(서미선),Jiyoung Shin(신지영),Kee-Ho Kim(김기호) 한국음운론학회 2006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Korean learners with low (KL) and high (KH) English proficiency produce English syllables with respect to ‘stress’. In this study, duration, F0 and amplitude of Korean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English native speaker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experiment, while native speakers of English tended to produce strong syllables higher, louder, and longer, than weak syllables, Korean learners produced strong syllable higher and louder than weak syllable, but not longer in some words: KL produced strong syllable longer as much as native speakers did only in one word, and KH in ten of nineteen words. The tendency to produce weak syllables longer and strong syllable shorter than native speakers was quite noticed in KL. Even though the realization of KH was more native-like than KL’s, it seems that both KH and KL were rather affected by their L1. The difference in duration of syllables between Korean learners and English native speakers is much greater than pitch and amplitude.

      • KCI등재

        A대학교 RC[기숙형 대학] 교육의 효과성 분석

        김희성(Kim, Heesung),채주석(Chae, Joo-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5

        This study’s aim is to examine Residential College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the authors analyzed the data collected at a university RC in 2019.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C system has an effect on enhancing core competencies and students’ satisfaction. Next, the RC faculty’s competency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ore competencies and students’ satisfaction of RC. The study’s results show that universities should focus on developing RC programs for linking core competencies with improving students’ satisfaction. The RC faculty must make efforts to show their distinctive competency for RC.

      • KCI등재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편 사례 연구 :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희성(Kim, Hees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이 논문의 목적은 A대학교의 교양 교육과정 개편 과정과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많은 대학과 그 사례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적인 교양 교육과정 개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이다. 교양교육 전담 기구는 절차적인 측면에서 교양 교육과정 개편 1단계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교양교육 분석단계를 추진했다. 객관적 관점의 외부시각에 의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내부 시각에 의한 철저한 자기분석의 정책연구를 시도했다. 다음 단계로 2017년부터2018년까지는 본격적인 개편 절차에 도입하여 교양 교육과정 개편 TF를 구성하고 개편(안)에 대한 학내 구성원대상 의견수렴을 거쳐 2019학년도 교양 교육과정을 완성하였다. 교양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조정과 합의의 과정이얼마나 원만하게 진행되는가가 개편 교육과정의 안정적 정착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하여 A대학교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각적인 분석과 의견수렴의 절차를 진행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최근 사회 및 시대 변화의 요구에 부응하고 지식지형의 변화에 대처하면서도 교양교육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체제를 마련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컨설팅 결과를 반영하여 인성과 비판적 사고 분야, 의사소통 분야, 정보문해 분야 등을 필수 분야로 지정하여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을 연계하는 교양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이번 개편에서는 대학의 교육목표를 핵심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개신기초교양 영역”을 신설하여 위 분야를 편성하였다. 이 분야는 교양 전담부서에서 집중적으로 운영, 관리하여 표준화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향후 교육의 질 관리 및 성과 관리의 환류체계를 철저히 구축해 나가는 것이 다음 숙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general education. A university analyzed the practices of general education from 2015 to 2016. A university reviewed the general education system from both external and internal perspectives. A university organized a task force and proposed a new general education in 2017. A university has continued to ask for feedback and has focused on communicating with all the relevant faculty and staff members until 2018. The new general education includes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skills and information literacy as required courses. The new general education sets the future convergence field that contains all the subjects related to the future and convergent study. The next step is to establish a feedback system for the high quality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초점 발화시 한국인 화자와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포먼트 실현

        김희성(Kim Heesung),송지연(Song Jiyeon),김기호(Kim Kee-Ho) 한국음운론학회 2006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monophthong vowels spoken by Japanese learners in focused words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vowels by Japanese with those by Korean native speakers. The data are eight Korean vowels without focus and same vowels with focus. In this study, formant frequencies of the vowels were measured by Wave Surf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or the Koreans, the F1 rising ratio of focused vowels, which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mouth opening at the lips, was gett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focused vowel. That is, the lower the vowels are, the higher F1 rising ratio are. However, F2 ratio of focused vowels, which is correlated with the frontness of the tongue, was not affected by the focus at all. For the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F1 of a focused vowel was getting higher in the rising ratio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tatistics, and F2 did not show a certain tendency. As a result, F1 was the one that shows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Korean learners in focused word.

      • KCI등재

        4년제 대졸자 취업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김희성(Kim, Hees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 졸업 이후 취업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교육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에서 수집된 2015년도 데이터를 위계적 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대학 졸업 이후 취업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수준 변인을 확인한 결과, 취업의 질의 대학 간 차이는 개인 수준 변인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성별이나 부모자산규모와 같은 인적 속성 및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인한 차별적 요소가 확인되었다. 대학 경험 요인과 관련하여 전공 계열, 졸업 평점, 어학연수 경험, 영어시험 응시 유무, 직업 능력 향상 교육 및 훈련 이수 여부, 자격증 취득 유무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수준 변인 중에는 대학 소재지, 설립 유형, 재정지원사업 예산, 대학 만족도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quality of job placement of university graduates and examin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quality of job placement. To achieve the goals,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015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the quality of job placement of university graduates and derived six indices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job ; job satisfaction, employment security, opportunities for upgrading, financial reward, employment condition and relationship. The sum of the values measured by each index was defined as the scale of job quality(0-10 points). Next, personal-leve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impacts on the quality of job placement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parents’ asset) and educational experience (major, grade point average, overseas language training, English examination,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 licenses). The quality of job placement can vary depending on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at universities. University-level variables also disclosed their influence on the quality of job placement – university location, type and satisfaction. When universities offer high-quality facilities and educational system,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 and their educational performance could be better.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stronger supports to help students find a job.

      • KCI등재후보

        PBL(Problem-Based Learning)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김향자 ( Hyangja Kim ),김선희 ( Sunny Kim ),김희성 ( Heesung Kim ),송수민 ( Sumin S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21세기 세계화, 전문화 시대에 능동적으로 적응·대처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회복지과(지역사회복지론), 유아교육과(교육심리학), 청소년교육복지과(여성교육개론)의 교과목에 PBL을 적용하여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학습능력 등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 전문가자문, 설문조사, 성찰일지 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능력에서 PBL 학습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 중 ‘자신감 및 자기통제능력’에서 증진효과가 있었고, 학습자의 성찰일지 분석 결과 과제를 수행하면서 과제수행에 대한 동기, 과제수행방법 등 전반적인 이해가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 결과, 설문조사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찰일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은 PBL 수업을 통해 스스로 교육 내용을 고민하고, 탐구하거나 자료 수집 범위를 확대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성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협력학습에서 PBL 학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별과제능력의 하위요소인 과제관련과 협력관련 능력 모두에서 증진효과가 있었고,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과정에서 팀별로 함께 활동함으로써 협동심, 배려, 믿음, 친밀감, 성취감, 의사소통 증진 등 긍정적 태도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PBL 수업방식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방식의 한계를 보완하는 수업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 다른 학과에서도 PBL 수업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및 그 외의 교수전략, 요인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ducational effects and enhance students` learning abilities of problem 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by applying PBL(Probelm-Based Learning) model·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classes of Department of Social Works(Introduction to Community Welfar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Educational Psychology),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Development(Women`s Studies)· Research methods was used literature review of PLB, a survey to identify students` achievement, and analysis of journal writings that learners had done· Results were follows· First, PBL model showed learning outcomes on problem-solving, especially in ‘confidence and self-control management,’ ‘the motivation of performance,’and ‘perception of assignments·’ Second, abilities of self-directed learning were improved in learners` oriented attitude· Third, PBL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also were showed positive attitudes in team work, communication skills, and intimacy· In conclusion, PBL model could be applied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enhance educational effects·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을 위한 지원주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원주택의 구성요소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성경(Kim, Sunkyung),정민아(Jung, Min Ah),김희성(Kim, Heesung),이경혜(Lee, Kyounghy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을 위해 주거공간과 자립지원서비스를 결합해 제공하는 지원주택(Supportive Housing)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한국적 적용을 고려하여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지원주택의 구성요소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복지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을 실시하고 주제분석과 내용분석의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지원주택의 구성요소로 3개의 주제 범주와 10개의 하위내용 범주를 분류하였다. 지원주택의 구성요소는 첫째, 입주 당사자인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과 관련된 것으로, 지원주택에 입주하는 동안 자립을 위한 ‘출발 준비’를 할 수 있는 역량과 의지를 지닌 청소년이다. 둘째, 주거 공간과 관련된 주제로 청소년이 ‘살고 싶은 집’에 대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주거조건을 갖춘 공간이어야 한다. 셋째, 지원주택의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청소년에게 ‘실질적으로 자립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원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실천적 대안으로 지원주택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현장 실무자의 경험과 인식을 토대로 하여 우리 사회에 적합한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을 위한 지원주택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청소년, 주거공간, 지원서비스의 주제 영역 및 구체적 내용을 도출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향후 실천현장에서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지원주택을 설계하고 실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supportive housing for youth who have been discharged from Korea’s child residential care system.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ervice practitioners for youth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institution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identified three main components and the related contents of supportive housing for the independence of youth discharged from child residential care.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ving” was conceptualized as a youth-related component. “The home in which I want to live” was conceptualized as a housing service component. “Support and assistance” was conceptualized as social welfare service component. The research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service paradigm that supports youth who have been discharged from the child residential system to make the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민아(Jung, Min Ah),김희성(Kim, Heesung),김은혜(Kim, Eun Hy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2년제 전문대학 사회복지 전공생이 인지하는 전공만족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 2년제 전문대학 3곳의 사회복지 전공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최종적으로 236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각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모형을 통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전공만족의 영향에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 과, 2년제 전문대학 사회복지 전공생의 전공만족은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전문직 정체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발달의 행동적 측면인 진로준비행동이 사회복지 전공생의 전공만족과 전문직 정체성 간의 관계를 매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2년제 전문대학에서의 진로준비를 통해 사회복지 전공생의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함으로써 실천역량을 갖춘 사회복지사를 양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college social welfare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social welfare students at three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 total of 236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analyzed for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identified that students’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major had a direct effect on profess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professional identity was mediated b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eaturing behavioral aspects of the social welfare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t college to facilitate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al identity of students leading to the competent social workers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