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임신과 임신성고혈압이 병합된 고위험임신의 제대동맥 및 태아하강대동맥 혈류속도파형의 비교

        목정은 ( JE Mok ),김영탁 ( YT Kim ),이인식 ( IS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8

        1990년 3월부터 1990년 11월말까지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관호를 받은 임산부중 월경주기가 일정하고 최종월경날짜가 확실한 정상임산부와 임신성고혈압이 병합된 임산부에서 도플러 초음파로 제대동맥 및 태아 하강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을 측정한 후 2주이내 분만된 정상임신 34예를 대조군으로 임신성고혈압에 병합된 고위험임신 18예를 대상군으로 정상임산부 및 임신성고혈압이 합병된 고위험임산부에서 산전에 시행한 도플러초음파소견 및 주산기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신성고혈압이 병합된 고위험임신군의 제대동맥 A/B ratio 및 태아 하강대동맥의 PI치는 정상임신군보다 유의하게 상승되었으며(P<0.05), 출생시 임신주수, 신생아 체중, 1분 및 5분 Apgar치 등의 주산기데이터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2. 임신주수를 고려하면 고위험임신군과 정상임신군의 출생시 임신주수, 신생아체중, 1분 및 5분 Apgar치 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P>0.05), 제대동맥의 A/B ratio 및 태아 하강동맥의 PI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3. 정상체중아 집단과 고위험임신군중 정상체중아 집단의 출생시 임신주수, 신생아 체중, 1분 및 5분 Apgar치 등의 주산기데이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제대동맥의 A/B ratio 및 태아 하강대동맥의 PI치는 정상갑을 나타내었으나 정상체중아 집단보다는 증가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4. 고위험임신군중 정상체중아 집단과 태아곤란증이 동반되지 않은 체중 10 백분위미만의 발육부전아 집단의 출생시 임신주수, 1분 및 5분 Apgar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신생아체중은 각각 3168.80±223.29gm, 2117.00±476.24gm으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제대동맥의 A/B ratio는 각각 2.79±0.42, 3.61±1.30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태아 하강대동맥의 PI치는 각각 1.99±0.35, 2.55±0.90로 태아곤란증이 동반되지 않은 박육부전아 집단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고위험임신군중 정상체중아 집단과 태아곤란증이 동반된 체중 10 백분위미만의 발육부전아 집단의 신생아 체중, 1분 및 5분 Apgar치 등의 주산기데이터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제대동맥의 A/B ratio는 각각 2.79±0.42, 3.72±0.42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태아 하강재동맥의 PI치는 각각 1.99±0.26으로 태아곤란증이 동반된 발육부전아 집단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태아곤란증이 동반된 발육부전아 집단과 태아곤란증이 동반되지 않은 발육부전아 집단의 출생시 임신주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신생아 체중은 각각 1963.33±644.37gm, 2117.00±476.24gm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태아곤란증이 동반된 경우에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분 Apgar치는 각각 5.33±1.89, 7.13±1.45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5분 Apgar치는 각각 7.67±0.94, 8.50±1.22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제대동맥 A/B ratio는 각각 3.72±0.47, 3.69±1.30이었으며 태아 하강대동맥의 PI치는 각각 2.51±0.51, 2.55±0.90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7. 임신성고혈압이 병합된 고위험임신군중 정상체중아 집단에서는 (n=5) 5예중 3예에서 제대동맥 A/B ratio 및 태아 하강대동맥 PI치가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으나, 1예에서는 제대동맥 A/B ratio는 정상이었으나 태아 하강대동맥 PI치가 2이상으로 상승되었으며 1예에서는 태아 하강대동맥 PI치는 정상이었으나 제대동맥 A/B ratio는 3이상으 Blood velocity waveforms of the fetal umbilical artery and the fetal aorta weve studied in normal an dhypertensive pregenancies. The perinatal data of both pregnancies were also evaluated. In 34 normal pregnancies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 was 2.39±0.33 and the pulsatility index (PI) of the fetal aorta was 1.81±0.28. In 18 hypertensive pregnancies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 was 3.55±1.35 and the PI was 2.16±0.35.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inatal data (gestational age at delivery, birth weight, 1-minute and 5-minute Apgar score) were observed between normal and hypertensive pregnancies. In the subgroup of noncomplicated hypertensive pregnancies (n=5),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 was 2.79±0.42 and the PI of the fetal aorta was 1.99±0.35.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erinatal data between the subgroup of noncomplicated and normal pregnancies. In the subgroup of the fetal growth retardation without fetal distress(n=8),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 (3.69±1.30) and PI (2.55±0.9) of the fetal aorta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han those of normal pregnancies(P<0.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erinatal data except 1-minute and 5-minute Apgar score. In the subgroup of fetal growth retardation and feta distree(n=5),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3.72±0.42) and PI(2.51±0.26) of the fetal aorta were also markedly elev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inatal data were observed between normal and this subgroups. Sixty percent(3/5) of subgroup of noncomplicated hypertensive pregnancies showed that the A/B ratio of the umbilical artery and the PI of the fetal aorta were within normal range. However 76.9%(10/13) of the subgroup of fetal growth retardation with or without fetal distress showed the elevation of the A/B ratio of umbilical artery and the PI of the fetal aorta and 23.1%(3/13) of these subgroup showed the elevation of the A/B ratio of the umbilical artery or the PI of the fetal aort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ies of the doppler velocity waveforms of the fetal umbilical artery and the fetal descending aorta are valuable for evaluating the perinatal prognosis of the pregnancies complicated by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 KCI등재

        임신중 제대길이와 만기임신시 제대합병증

        민기홍(KH Min),김영탁(YT Kim),이국(K Lee),조동제(DJ Cho),송찬호(CH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3

        1. 12예의 임신 22-32주와 462예의 임신 33-44주의 제대길이는 각각 36.6+-7.1cm 53.6+-11.1cm로 두군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잇었고 (p<0.05), 임신 33주후에는 임신주수에 따 른 제대길이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2. 만기임신시 평균제대길이는 52.1+-10.0cm이었고 정상범위는 39-74cm이었다. 3. 만기임신시 제대길이는 태반이 무거울수록 의미잇게 길었고 임신중독증시 합병증이 ㅇ벗 는 경우 보다 의미잇게 짧았고 산모의 ABO혈액형, 태아의 성별 및 체중, 태위는 제대길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만기임신시 경부제대의 빈도는 짧은 제대군, 정상군, 긴제대군에서 각각 5.4%, 23.4%, 54.3%로 제대길이가 길면 길수록 경부제대의 빈도는 의미있게 높앗고 총 발생빈도는 23.2% 로 1회시 20.2%, 2회시 2.6%, 3회시 0.4%였다. 5. 만기임신시 경부제대가 잇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 의미있게 태변의 빈도가 높았다. 6. 만기임신시 태변, 태아곤란, 5이하의 Apgar 점수는 제대길이군 간에 관련이 없었다. 7. 만기임신중 사산1예, 신생아사망 3예가 있었는데 제대합병증과는 관계가 없었다. 1.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ord lengths between 22-32nd week of gestation and 33-44th week of gestation but was no difference in cord lengths according the gestational weeks after 33weeks of gestation 2. The mean cord length was 52.1+-10.0cm with the range between 30 and 95 cm at term 3. None of the following factore (maternal ABO blood group , fetal sex and weight presentation) seemed to affect the lengths of the cord except for the placental weight and preeclampsia at term 4. A long umbilical cord was more frequency associated with nuchal cord than a normal and short cord at term (p<0.001) the overall incindence of nuchal cord was 23.2%, one nuchal cord to be 20.2% two nuchal cords to be 2.6% and three nuchal cords to be 0.4%. 5.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nuchal cords and meconium (p<0.01). 6.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econium, fetal distress and low Apgar score and umbilical cord lengths. 7. There were one case of stillbirth and three cases of neonatal deaths but no correlation between perinatal death and umbilical cord lengths was found.

      • SCOPUSKCI등재

        Preliminary Results of Concurrent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cervical Carcinoma

        양광모(KM Yang),안승도(SD Ahn),최은경(EK Choi),장혜숙(HS Chang),김영탁(YT Kim),남주현(JH Nam),목정은(JE Mo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1 No.2

        본 연구는 1991년 5월부터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 (FIGO stage IIB~IVA) 환자를 대상으로 5-FU와 Cis-platinum을 방사선 치료와 동시에 투여하여 치료 독성, 치료의 적합성과 국소관해율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사선 치료는 외부방사선 조사로 전골반부에 23회에 걸쳐 4140 cGy 시행후, 고선량 근접치료기로 강내조사를 6회 내지 7회 (A점에 3000~3500 cGy) 시행하였으며, B점에 추가조사를 시행하여 IIB병기 환자는 6000 cGy까지 IIIB병기 환자는 6500 cGy가지 B점에 조사되도록 하였다. 첫 번째 항암화학요법은 외부방사선 치료 시행의 두번째 주에 5-FU는 1000 mg/㎡/24hr를 96시간 동안에 걸쳐 토여하고 Cis-platinum은 20mg/㎡/day를 3일 투여하였다. 두번째 항암화학요법은 처음과 동일한 방법으로 첫번째 고선량 근접 강내 치료가 시행될 때 투여 되었다. 1993년 8월까지 총 16명의 환자(10 IIB 병기, 4 IIIB병기, 2 IVA 병기)가 등록되었으며, 이중 2명은 외부방사선 2회 조사후 치료를 중단하였으며, 1명은 강내치료중 3등급의 비뇨기계독성으로 치료를 중단하였다. 2회의 항암화학 요법이 종료된 후 독성의 평가가 가능했던 14명의 환자중 5명이 3등급의 위장관독성이 발생하였으나, 4명은 치료종료후 평가에서 회복되었다. 1명은 병기 IIIB환자로 초기에 서혜부 임파절 전이가 있어 다량의 방사선이 조사되었는데, 치료종료 후에 위장관독성이 악화되었고, 1개월후 원격전이로 사망하였다. 치료후 치료전 체중의 10% 이상 감소된 환자는 2명이었고, 1명이 3등급의 백혈구 감소를 보였다. 환자의 평균 치료 기간은 75일(포준 치료 기간은 70±7일)이었고, 80일 이상인 환자는 3명 (84, 84, 89일)이었다. 추적관찰 가능했던 13명 환자중 8명이 완전관해를 보였고, 특히 IIB병기 환자의 경우 9명중 8명이 완전관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진전된 자궁 경부암에서 방사선과 항암화학요법 병행치료는 효과나 독성면에서 수용가능 하였으나 향후 근치적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시행된 경우와의 전향적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ince May 1991, authors have conducted a pilot study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and evaluate the effect of concurrent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with 5-FU and Cis-platinum for loc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stage IIB-IVA). Radiation therapy consisted of external irradiation to whole pelvis (4140 cGy/23 fx) in 4.5 weeks followed by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HDR ICRT) to deliver a dose of 30 to 35 Gy to A point in 6 to 7 fractions. After the 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parametrial boost was delivered for B point dose of 60 Gy in Stage IIB and 65 Gy in stage IIIB. 5-FU (1000 mg/㎡/24hr for 96 hour iv infusion) and Cis-platinum (20 mg/㎡/day IV bolus for 3 days) were given during the second week of external RT and the second course chemotherapy administered at the first HDR ICRT with the same method as the first chemotherapy. Sixteen patients (10 stage IIB,4 stage IIIB,2 stage IVA) were registered to this protocol. Among these 16 patients, two refused treatment after 2 fractions of external irradiation, and one could not continue intracavitary irradiation because of treatment related genitourinary toxicity. So 14 patients were evaluated for toxicity and 13 patients were evaluated for response analysis. Five of 14 patients developed grade 3 gastrointestinal toxicity but 4 of them recovered at the completion of treatment. One stage IIIB patient with inguinal lymph node metastasis who received higher dose of radiation in spite of initial poor performance status did not recover from gastrointestinal toxicity at the completion of treatment. And she died of distant metastasis at one month after the completion of treatment. Two of 14 evaluable patients showed weight loss, more than 10% of initial weight. One patient developed grade 3 leukopenia. In this study, the average total treatment period of completely treated patients was 75 days and three of them took more than 80 days (84, 84, 89 days). Toxicities were generally acceptable and there were no treatment related death. At the last follow-up, complete response was achieved in 62%(8/13) and especially of nine patients with stage IIB, eight patients showed complete response. This study suggests that concurrent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5-FU and Cis-platinum) is tolerable and effective. Further follow-up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is protocol will have a favorable impact on survival and to evaluate the late effect on normal tissues. In future,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are needed to compare the standard radiation therapy alone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advanced cervical carcinoma.

      • KCI등재

        Reverse Dot Blot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한 자궁경부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의 검색

        김종혁,목정은,김용만,김영탁,남주현,고창원,나준희,김선권,정진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저자 등은 1995년 3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 세포 진검사(Pap smear)에 이상 소견을 보여 환상투열요법 (LEEP surgery) 및 Hybrid captureTM 검사를 통한 고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 HPV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reverse dot blot hybridization(RDBH)을 시행, HPV 유형검사(typing)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상 자궁경부 세포진 소견은 ASCUS 37예, LSIL 14예, HSIL 44예, 침윤성 자궁경부암 5예였다. 2. Hybrid CaptureTM의 경우 세포진검사 결과에 따른 이용한 고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 HPV DNA 양성률은 ASCUS 27.0%(10/37), LSIL 28.5%(4.14), HSIL 75.0%(33/ 44) 및 침윤성 자궁경부암 60.0%(3/5)이었고 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고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 HPV DNA 양성률은 CIN Ⅰ 0.0%(0/1), CIN Ⅱ 50.0 %(2/4), CIN Ⅲ 67.4%(29/43) 및 침윤성 자궁경부암 69.2%(9/13)로서 고 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 HPV DNA 양성률과 병리학적 진단의 등급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5). 3. Reverse Dot Blot Hybridization의 경우, 세포진검사 에 따른 고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 HPV DNA 양성률 이 ASCUS 24.3%(9/37), LSIL 35.7%(5/14), HSIL 70.4% (31/44) 및 침윤성 자궁경부암 80%(4/5)로서 세포진검사 결과의 등급과 고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 HPV DNA 양성률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5), 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HPV DNA 양성률은 CIN Ⅰ과 CIN Ⅱ 에서 60%(3/5), CIN Ⅲ에서 58.1% (25/43), 침윤성 자궁 경부암에서 92.3%(12/13)로서 침윤암에서 유의하게 높 은 고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 HPV DNA 양성률을 보 였다(p<0.05). Type 16 또는 18의 양성률은 ASCUS와 LSIL 11.8%이었고, HSIL 29.5%, 침윤암 66.7%로서 Type 16 또는 18의 양성률과 이상 세포진검사의 등급에는 유 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 p<0.05 ). 4. HCS에 의해 고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 HPV DNA가 음성인 50예 중에서 RDBH로 양성인 경우는 15 예(30.0%)이었고, HCS에 의해 고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 군 HPV DNA가 양성인 50예 중에서는 RDBH로 음성인 경우는 16예(32.0%)로서 두 방법간에는 고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 HPV 감염의 양성률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RDBH은 HPV 감염 검색 및 유형 분류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유용한 방법이라고 판단되나 HCS과 RDBH의 두 방법에 있어서 HPV 검색의 차이가 분명히 나타나 향후 많은 증례를 이용한 southern blo tting 및 PCR typing 기법을 통하여 두 방법의 정확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determin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new reverse dot blot hybridization (RDBH) technique in HPV detection and typing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Hybrid Capture systemTM (HCS) in Korean women with preinvasive and invasive cervical disease. Cervical swabs from 100 women with abnormal cytology (37 with ASCUS, 14 with LSIL, 44 with HSIL and 5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ere assayed for high-or intermediate-risk HPV DNA by both HCS and PCR followed by RDBH. HPV screening was done by PCR amplifying HPV L1 product with consensus primers followed by non-radioactive reverse dot blot hybridization as a single test. Biotin-14-dATP was incorporated into the amplified HPV DNA, which was then used as a single probe in hybridization with a membrane on which eight high-or intermediate-risk genital HPV types had been immobilized (type 16, 18, 31, 33, 35, 45, 51, 56).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verall HPV DNA positivity was 49.0% (49/100) by RDBH. The HPV DNA positivities according to cytology were 24.3% (9/37) in ASCUS, 35.7% (5/14) in LSIL, 70.4% (31/44) in HSIL and 80% (4/5) in invasive cancer resulting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ade of abnormal cytology and HPV DNA positivity. The HPV DNA positivities according to histology were 60.0% (3/5) in CIN Ⅰ or Ⅱ, 58.1% (25/43) in CIN Ⅲ and 92.3% (12/13) in invasive cancer resulting significantly high HPV DNA positivity in invasive cancer. Type 16 was most frequent and mixed infection was found in 6 cases, all combined with type 16.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vity of HPV type 16 or 18 and the grade of cervical lesion (p<0.05). However, there is significant discrepancy in positivity of HPV infection between the HCS and RDBH methods. In 50 cases positive for high-or intermediate-risk HPV by the HCS, 15 cases (32.0%) were negative by RDBH. In another 50 cases negative for high-or intermediate-risk HPV by the HCS, 15 cases (30.0%) were positive by RDBH. Therefore, further investigation in large scale and confirmation by southern blotting or PCR typing are needed to explain the discrepancy between HCS and RDBH methods. In conclusion, reverse dot blot hybridization technique is fast and easy method to detect and type HPVs by a single test and may have high clinical applicability.

      • KCI등재

        상피성 난소종양에서의 bcl-2 발현과 그의 예후적 의의

        김종혁,목정은,김용만,김영탁,남주현,허주령,이동헌,김대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5

        저자 등은 1989년 7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받았던 환자들 중 파라핀에 포매된 종양 조직 확보가 가능하고 보관 상태가 양호한 108명의 양성, 경계성 및 악성 상피성 난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해 bcl-2 단백의 발현을 분석하고 난소암 환자 74예에 대하여 기존의 임상 병리적 예후인자와의 연관성 및 생존 분석을 통하여 난소 종양에서의 bcl-2의 의의 및 난소암 환자에서 bcl-2의 예후인자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성 난소종양의 경우 10예 모두에서 bcl-2 단백이 발현되지 않았으며(0%), 경계성 난소종양 24예 중에는 중등도 발현군 1예, 고발현군 4예로 20.8% (5/24)의 bcl-2 단백 발현율을 보였다. 난소암 74예 중에는 저발현군 11예, 중등도 발현군 15예 및 고발현군 7예로 44.6%(33/74)의 bcl-2 단백 발현율을 보여 bcl-2 단백의 발현이 악성으로 진행할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38). 2. 난소암 환자군에서 FIGO 병기, 조직학적 유형, 종양 세포의 분화도, 복수의 양, 수술 후 잔여 종양 의 크기 및 2회 항암화학요법 후의 혈청 CA 125 삭제치 등 기존의 난소암 임상 병리적 예후인자에 따른 bcl-2 발현율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어떠한 인자도 통계적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3. 난소암 환자군에서 bcl-2 발현 여부를 비롯하여 기존의 임상병리적 예후인자들에 따른 환자의 3년 실제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bcl-2 단백의 발현 여부 (p=0.63), 조직학적 유형(p=0.23) 및 복수의 양(p=0.24) 에 따라서는 생존율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반면 병기가 진행될수록(p=0.032), 분화도가 낮을수록(p=0.036), 수술 후 잔여 종양의 크기가 지름 2 cm 보다 큰 경우가 그 이하인 경우보다(p=0.0091), 2차 항암 화학요법 후 측정된 혈청 CA 125 삭제치가 35 U/ml 이상인 경우가 그 미만인 경우보다(p<0.0001) 3년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변수 분석을 시행한 결과 잔여 종양의 크기(relative risk= 2.06)와 2차 항암화학요법 후의 혈청 CA 125 삭제치 (relative risk=4.04)만이 난소암 환자의 3년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bcl-2 유전자는 난소암의 발생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나 환 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로서의 의미는 없다고 판단된다. The expression of bcl-2 protein was studied in epithelial ovarian tumors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e immunostained a series of epithelial ovarian tumors to assess the prevalence of bcl-2 expression in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tumors respectively, and its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s and prognostic implications in malignant one.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108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tumor, 10 with benign tumor, 24 with borderline one and 74 with malignant one respectively, treated at Asan Medical Center from June, 1989 to December, 1995. In benign tumors, there was none showing bcl-2 immunoreactivity. Among 24 borderline tumors, bcl-2 immunoreactivity, strictly confined to the neoplastic cells, were detected in 5 (20.8%) including 1 moderate expressor (10% to 50% immunoreactive tumor cells) and 4 high expressors (>50%). In malignant tumors, there were 11 low expressors (1% to 10%), 15 moderate expressors and 7 high expressors, resulting 44.6% (33/74) of positivity and the prevalence of bcl-2 immunoreactivity did not show association with any of the clinicopathologic variable such as FIGO stage, histologic type, tumor grade, residual tumor volume, ascites volume or CA 125 level after second chemotherapy. Life tabl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bcl-2 express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patient`s survival (p=0.63 by Log-rank test), while FIGO stage (P=0.032), tumor grade (P=0.036), residual tumor volume (P=0.0091) and CA 125 level after second chemotherapy (P<0.036) did. Residual tumor volume (relative risk=2.06) and CA 125 level after second chemotherapy(relative risk=4.04) were revealed to b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in Cox regression model.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although bcl-2 has been strongly suggested to play a certain role in tumorigenesis, there seems to be no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its expression and prognosis of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 난소에 발생한 태생암 1 예

        김용만,남주현,김재익,김영탁,목정은,김경진,허주령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1995 울산의대학술지 Vol.4 No.2

        Embryonal carcinoma is an uncommon neoplasm of germ cell origin which usually arise in the ovary. Embryonal carcinoma is closely related to endodermal sinus tumor(EST) and was seperated from this grup of tumor by Kurman and Norris. In addition to the charicteristic histological and immunohistological features, embryonal carcinoma was reported to have a prognosis which is better than EST. We experienced one case of embryonal carcinoma of the ovary and report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Krukenberg 종양 32예의 임상병리학적 연구

        김종혁,남주현,나준희,김봉희,김병식,허주령,김용만,김영탁,목정은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1989년 6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및 일반 외과에서 진단 받고 치료받은 Krukenberg 종양 환자 32예의 임상병리학적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진단 당시의 연령, 임상 증상 및 증후, 암의 원발 장소, 원발암 진단과 Krukenberg 종양의 진단까지의 기간, 병리적 소견, 치료법 및 생존 기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본원에서의 전체 난소의 악성 종양 중 Krukenberg 종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10.7%로 나타났다. 환자들의 연령은 23∼55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연령은 39.9[±8.0]세 이었고 약 반수의 환자가 40세 미만이었다. 복통이 가장 흔한 주소였으며 복부 종괴 촉지 혹은 복부 팽만이 다음으로 많은 주소로 나타났다. 원발암의 장소로는 위가 30예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나머지 2예에서는 원발 병소를 찾지 못하였다. 46.9%의 환자에서는 Krukenberg 종양의 진단 전에 원발 병소의 진단이 가능하였다. 육안적으로 대부분의 종양은 큰 종괴를 형성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평균 최대 직경은 10.4 cm에 해당되었고 59.4%의 환자에서 양측성의 발생을 보였다. 현미경적으로 모든 종양은 특징적인 signet-ring 세포를 포함하고 이들의 광범위한 기질 침윤을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다. 대다수의 환자에서 전자궁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을 포함하는 종양 감축술을 시행되었으며 19명[59.4%]의 환자에서 PF[cisplatin 5-FU], EF[etoposide 5-FU], PEF[cisplatin epirubicin 5-FU] or EAP[etoposide adriamycin cisplatin]의 항암화학요법이 추가로 실시되었다. 환자들의 중간 생존 기간은 14.7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51.5%[survival standard error ; 0.099], 2년 생존율은 27.8%[survival standard error ; 0.132]로 나타났다. 결론 Krukenberg 종양은 난소로의 전이성 종양의 희귀한 한 형태로 알려져 있으나 본원에서 전체 악성 난소 종양 중 차지하는 비율이 10% 이상으로서 서양과 비교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발 장소로는 위가 대다수이었으며 수술적 요법과 항암화학요법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32 patients with Krukenberg tumor diagnosed and treated in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from June 1989 to May 1998. Methods Age distribution, symptoms and signs, primary site of tumor, pathologic findings, mode of therapy and survival of patie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patients with Krukenburg tumor constituted 10.7% of all ovarian malignancy patients encountered during this period.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23 to 55 years[mean±S.D. ; 39.9±8.0] and about half of patients were younger than 40. Abdominal pain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ing symptom, palpable mass or abdominal distension being the second. Tumors tended to be large with maximal diameter of 10.4 cm[mean] and showed 59.4% of bilaterality. In 30 cases, the stomach was the primary site and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in the other 2 cases. Fifteen[46.9%] were known to have [primary] tumors before they presented with ovarian metastasis. Microscopically, all tumors were of classic typ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signet-ring cells and a diffuse stromal reaction. Most patients were treated by surgical debulking including tot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phorectomy with or without omentectomy. Nineteen[59.4%]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with regimens such as PF[cisplatin 5-FU], EF[etoposide 5-FU], PEF[cisplatin epirubicin 5-FU] or EAP[etoposide adriamycin cisplatin]. The estimated two-year survival rate was 27.8%. Conclusion Krukenberg tumor is known to be a variant of metastatic ovarian carcinoma. However, the proportion of this tumor to all ovarian malignancies was over 10% in our institute and the prognosis remains extremely poor despite of surgery and chemotherapy.

      • KCI등재

        부인과 복강경수술시 CO₂ 기복과 체위 변화가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종혁,목정은,김용만,김영탁,이은주,남주현,나준희,박순은,조성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목적: 복강경수술시 CO₂ 기복과 체위 변화가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1998년 5월에서 6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복강경수술이 시행되었던 환자 중 심폐기능에 이상이 없는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신 마취하에서 복강경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복강내 CO₂ 주입에 의한 복압으로 발생하는 혈역학적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복압을 12∼15 mmHg가 유지되도록 조절하였다. 심혈관계의 지표로서 심박동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평균 혈압, 중심 정맥압(CVP)을 측정하였으며, 호흡기계 지표로서 흡기시 최고 기도내압(PIP),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pECO2) 및 동맥혈 가스분석을 통한 pH, pCO₂, 및 HCO_(3-)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지표들은 기복 형성과 체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8단계의 상태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통계는 Student`s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혈압의 변화는 체위 변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복 형성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심박동수와 HCO_(3-)의 농도는 수술 및 마취 전 과정에 걸쳐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심정맥압은 Trendelenburg 체위 및 기복 형성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pECO₂는 체위 변동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복 형성시 상승하였고, PIP는 체위 변동보다는 기복 형성시 상승하였다. 동맥혈에 있어서의 pH는 수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CO₂는 수술 과정 중 기초값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Trendelenburg 체위가 4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상승하였다. 결론: 심폐기능에 이상이 없는 환자에 있어 1시간 이상의 복강경수술은 심각한 심폐기능의 합병증을 야기하지 않고 안전히 시행될 수 있으며, 복강경수술 중의 기복의 형성은 20°의 Trendelenburg 체위 변화보다 심폐 기능의 지표에 보다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emodynamic and respiratory responses in patients undergoing gynecological laparoscopic opera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osition and induction of pnemoperitoneum (PP). Methods: Ten patients without cardiopulmonary disease undergoing various laparoscopic pelvic surger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cardiopulmonary parameters such as invasive arterial blood pressure (BP), heart rate (HR), central venous pressure (CVP), endexpiratory pCO₂, pH, pCO₂, and HCO_(3-). Under the standardized setting of general anesthesia and laparoscopy, cardiopulmonary parameters were determined in a supine position (baseline) and a supine lithotomy position, Trendelenburg lithotomy position, each with and without PP at predetermined set points. Results: Arterial B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O₂insufflation and these increased values persisted throughout the operation and even after 10 minutes after desufflation in supine position. HR`s and HCO_(3-) concentrations were quite stable during anesthesia irrespective of PP and position. CVP was elevated both by Trendelenburg position and PP. The significant elevation of pECO₂ began with PP in Trendelenburg position and PIP began to elevate after PP in supine position. These two parameters were recovered immediately to the baseline level after desufflation in supine position. Aterial blood pH began to decrease with PP in Trendelenburg position, and lowered level persisted after desufflation in supine position. The pCO₂ level was elevated significantly only when the duration of PP was 40 minutes or more. Conclusion: Although some hemodynamic (BP, CVP) and pulmonary (pCO₂, pH, CO₂) parameters are changed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hese are within normal range in healthy patients. Most of these changes seems to affected not by position change, but by pneumoperitoneum.

      • KCI등재

        자궁경부암 및 전암 병변의 정도와 in Situ Nuclear Labeling 법에 의한 Apoptosis의 상관관계

        김종혁,목정은,김용만,김영탁,남주현,고창원,나준희,허주령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7

        저자 등은 1996년 7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자궁경부 조직검사를 시행받았던 환자 중 정상 자궁 조직으로 확인된 10명, 저도 편평상피내병변(LSIL)으로 확인된 20명, 고도 편평상피내병변(HSIL)으로 확인된 20명 및 침윤성 자궁경부암 10명을 대상으로 in situ DNA labeling 기법을 이용하여 apoptosis의 빈도를 확인한 결과, apoptotic index[AI, (apoptotic bodies/total epithelial nuclei)×100]는 정상 자궁경부 상피에서의 AI(평균±표준 편차)는 0.06±0.02(범위; 0.04∼0.10), 저도 편평상피내병변(LSIL)에서는 0.17±0.05(범위; 0.10∼0.30), 저도 편평상피내병변(HSIL)에서는 1.44±0.93(범위; 0.25∼3.00) 및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 3.54±0.79(범위; 2.00∼5.00)로서 자궁경부 병변의 정도가 고도화됨에 따라 apoptosis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궁경부 전암성 병변 및 침윤암에서 apoptosis가 일정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vasive cervical cancer is thought to arise from the progression of precancerous lesions. The fact that spontaneous regression frequently occurs in low-grade lesions but a part of high-grade lesions progresses to invasive carcinoma suggests that selection of a cell population with high malignant potential may be closely linked to progression of cervical neoplasia. The rate of cell accumulation is determined by the balance of cell proliferation and cell death. 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 is an important mechanism of cell loss in tissue modelling with apparent differences from necrosis, and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of neoplasia. Therefo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cervical neoplasia, we investigated the rate of apoptosis according to the grade of cervical neoplasia. Archival cervical tissue samples from normal epithelium (n=10),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s (LSIL, n=20),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s (HSIL, n=20), and squamous cell carcinoma (SCC, n=10) were evaluated for chromatin cleavage, a hallmark of programmed cell death. We used in situ end-labelling of DNA strand breaks by terminal deoxynucleotidyltransferase (TdT) incorporation of heteropolymer of digoxigenin-11 -dUTP and dATP to 3`-OH ends of DNA, identified by anti-digoxigenin-peroxidase. Apoptotic bodies were identified as whole cells containing intact nuclei stained, often with peripheral chromatin clumping. To quantitate differences in the rate of labelling, apoptosis was expressed as an apoptotic index [AI=(sum of apoptotic bodies/total epithelial nuclei)×100]. The apoptotic index (AI)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as the grade of cervical neoplasia increased: 0.06±0.02% (mean±S.D.) in normal cervical epithelium, 0.17±0.05% in LSIL, 1.44±0.93% in HSIL, and 3.54±0.79% in squamous cell carcinoma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progression of neoplasia in the uterine cervix is accompanied by increased cellular deletion.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f AI with lesion grade sugges.

      • KCI등재

        자궁경부암의 생체내 수소핵 자기공명분광상에 관한 연구

        김종혁,목정은,김용만,김영탁,남주현,조경식,나준희,이정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저자 등은 1995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 11명과 정상인 3명을 대상으로 하여 생체 국소 수소핵 자기공명분광법(localized in vivo 1H MRS)을 시행하여 이들의 자기공명분광상(MR spectrum)의 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경부암 환자에서는 특징적인 분광정점이 0.9, 1.3, 3.0, 그리고 3.2 ppm 부근에서 나타났으며, 이들은 각각 중성 지방(triglyceride)의 CH3- 그룹, C H2- 그룹, creatine, 그리고 choline containing residue 를 나타낸다. 2. 특히 0.9∼1.3 ppm에서의 확연한 정점은 중성 지방 내의 acyl chain의 CH3-와 CH2- 그룹 나타나 는 것으로, 자궁경부암 환자 모두에서 나타났다. 3. 정상인에게서 얻어진 수소핵 자기공명분광상에 서는 16배까지 확대하여도 0.9∼1.3 ppm의 범위에서 여하한 공명정점(resonance peak)을 발견할 수 없었다. 즉, 이들 자궁경부암 환자들에게서 얻어진 국소 생체 수소핵 자기공명분광상은 이전의 체외절편경검 법(ex vivo biopsies)에 의한 MRS 연구들과 잘 일치함 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자들은 최초로 1.5T 전신 장비 내에서 질 표면 코일을 이용한 국소 수소핵 자기공 명분광기법으로 생체내(in vivo) 상태에서 세포 내의 화학적 분석에 기초하여 자궁경부암의 진단에 유용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기공명분광기법이 내포하는 무한한 가능성의 일부를 제시하였으며 앞 으로의 계속적인 연구는 부인종양학 전반에 걸쳐 무 수한 발전을 가져다 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MRS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is a recently introduced technique to the gynecologic field which can asses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metabolic status of tissues of interests. It can identify and quantify the metabolites in the cells and tissues in vivo and in vitro. Its non-invasive nature in the technology attracts clinicians from many fields of medicine; owing to its non-invasiveness, it can be used repeatedly on the same site, which can particularly be useful for monitoring therapeutic response.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MR spectrum is relatively straitforward with high accurac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t of protocol for MR spectroscopy to characterize cervical cancer. Localized 1H in vivo NMR spectra of the human uterine cervix were acquired from 11 patients with invasive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3 normal subjects. Image guided PRESS-spectra were obtained on a GE 1.5T SIGNA system equipped with shielded gradients (General Electric Medical System, Milwaukee, USA). Body coil was used for transmitting the signal and an endovaginal surface coil (homebuilt) was placed in the posterior fornix of the vagina. Extent of the cancer invasion was examined prior to the MRS measurement by T1 and T2-weighted surface coil spin-echo MR images. Localized 1H in vivo MR spectra of normal cervix and cervical carcinoma were shown. The spectr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previous reports of 1H ex vivo NMR studies of cervical biopsies. In the spectra of the cervical carcinoma, the resonance peaks at 0.9, 1.3, 3.0 and 3.2 ppm are from CH3- and CH2-groups of mobile lipid (e.g., triglycerides), creatine and choline containing residues, respectively. The resonance peak at 1.3 ppm which is from CH2 groups of acyl chains in triglyceride is characteristically intense and seen in all the cancer spectra at TE=20 and 135 msec. In contrast, the spectra of the normal cervix did not show any resonance peaks. In conclusion, localized 1H in vivo MRS can be useful to discriminate the cervical carcinoma from normal cervix. The resonance peak at 1.3 ppm which is known to be from CH2 groups of triglycerides can be a marker for the cervical carcin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