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가토의 체액양 변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목정은(JE Mo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7

        임신가토와 progesterone 투여가토에서 혈장량, 세포외액량 및 세포내액량을 측정하여 비임 신 대조군과 비교 고찰하였다. 혈장량은 T-1824를, 세포외액량은 potassium thiocyanate, 총수분량은 antipyrine을 지시약 질로 이용하여 지시물질 희석법으로 각체액구분을 측정하였으며, 혈액량은 혈장량과 Hematocrit치로서 계산하고 간질액량은 세포외액량과 혈장량과의 차로, 세포내액량은 총수 분량과 세포외액량과의 차로부터 산출하였다. 1) 혈장량은 임신군에서 35.0(±0.99)ml/kg, progesterone 투여량에서 35.7(±0.98)ml/kg로서 임신군, progesterone 투여군의 혈장량은 비임신군과 비교하여 증가되었으며 이것은 통계적 의의가 있는 증가였다. 혈장량은 임신군에서 53.0(±1.47)ml/kg, progesterone 투여군에서 56.9(±2.98)ml/kg, 비임신군에서 49.8(±0.01)ml/kg로서 임신군가토는 비임신군과 비교하여 혈액량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증가는 아니었으나 progesterone 투여군은 의의있는 증가 였다. 2) 세포외액량은 임신군과 비임신군, progesterone 투여군과 비임신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고 도의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임신군은 271(±6.3)ml/kg, progesterone 투여군은 249(± 5.2)ml/kg로 임신군, progesterone 투여군에서 세포외액량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간질액량은 세포외액과 혈장량의 차로 평가하였는데 임신중, progesterone 투여군의 간질 액량 235(±6.5)ml/kg, 273(±9.2)ml/kg은 비임신군 218(±5.4)ml/kg에 비하여 증가되었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였다. 4) 총수분량은 임신군 799(±13.5)ml/kg, progesterone 투여군 816(±15.3)ml/kg과 비임신군 805(±17.4)ml/kg을 비교하여 이렇다할 차이가 없었다. 5) 세포내액량은 총수분량과 세포외액량과의 차로 평가하였는데 임신중의 세포내액량 542 (±17.1)ml/kg은 비임신군 548(±14.2)ml/kg과 비교하여 아무런 차이가 없었으나 투여군 502(±17.2)ml/kg은 감소하였다. Plasma volume, extracellular and intracelluar fluid volume have been estimated in pregnant, progesterone administered non-pregnant rabbits and non-pregnant rabbits as controls. 1) Plasma volume was measured by use of Evans blue dye. The differnces between pregnant and non-pregnant, progesterone administered and non-pregnant rabbits were significant. The mean value of the pregnant, administered and the non-pregnant rabbits were 35.0(±0.99), 35.7(±1.90) and 31.4(±0.98)ml/kg body weight, respectively. 2) The extracellular fluid was measured by use of potassium thiocyanate.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egnant and non-pregnant, progesterone administered and non-pregnant rabbits. Extracellular fluid increased from 249(±5.2)ml/kg of non-pregnant rabbits to 271(±6.3)ml/kg during pregnancy, and 305(±10.1)ml/kg during progesterone administration. 3) The amount of interstitial fluid estimated the between extracellular fluid and plasma volume increased from 218(±5.4)ml/kg of non-pregnant rabbits to 235(±6.5)ml/kg during pregnancy, and 273(±9.2)ml/kg during progesterone administration,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found in non-pregnant rabbits. 4) The total body water was measured by use of Antipyrine. There was no appreciable difference between pregnant (799±13.5ml/kg), non-pregnant (8.5±17.4ml/kg) and progesterone administered rabbits (816±15.3ml/kg). 5) The amount of intracellular fluid estimated the difference between total body water and extracellular flui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regnant (542±17.1ml/kg) and non-pregnant rabbits (548±14.2ml/kg). But significant decrease was seen in progesterone administered rabbits (501±17.2ml/kg).

      • KCI등재

        단안증에 뇌수종을 겸한 기형아의 1례

        목정은(JE Mok),윤혜숙(HS Yun),이강현(KH Lee),신면우(MW Shin) 대한산부인과학회 197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3 No.7

        Cyclopia is a fetal ocular anomaly such a serious degree of maldevelopment is incompatible with survival. It`s name is derived from Cyclops, the one eyed giant of Greek legend. It is commonly associated with Hydrocephalus, Anencephaly, Polydactyly & etc. it has been of much interest to embryologists because of frequency & the easy with which it can be produced experimentally in lower forms of life. Because of relative rarity of this condition& of serious cerebral abnomalities associated, following case is reported.

      • KCI등재

        X선골반계측의 임상적고찰

        목정은(JE Mok) 대한산부인과학회 196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2 No.6

        89 X-Ray Pelvimetries by colcher-Sussman method within 2 weeks from E.D.C. or during labor since March 1968 till October 1968 were taken at the prenatal clinic and at the deliv- ery ward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had one or more of the indications for X-Ray pelvimetry. of 89 cases, 51 delivered through the vaginal route, and another 38 through cesarean section due to the C.P.D. (Contracted pelves and postmaturity) I. The results of X-ray-pelvimetry and cephalometry were as follows, 1) The measurements from 51 vaginal deliveries A. Pelvic inlet M±δ(cm) ⅰ . Anatomical true conjugate: 11.60±0.78 ⅱ. Obstetroca; trie conjugate: ⅲ. A.P diameter of actual inlet: ⅳ. Transverse diameter: B. Mid-Pelvis ⅰ. A.P diameter: ⅱ. Interspinous diameter: ⅲ. Posterior sagittal diameter: C. Pelvic outlet ⅰ. A.P diameter(post. sag.α.) 8.48±0.69 ⅱ. Intertuberous diameter: 10.35±0.91 2) The measurements from 38 Cesarean Sections A. Pelvic inlet ⅰ. Anatomical true conjugate: 10.62±0.95 ⅱ. Obstetrical true conjugate: 10.17±0.87 ⅲ. A.P diameter of the actual inlet 11.29±0.78 ⅳ. Transverse diameter 12.32±0.79 B. Mid-pelvis ⅰ. A.P diameter: 11.12±0.64 ⅱ. Interspinious diameter: 9.57±0.66 ⅲ. Post sagittal diameter: 3.70±0.51 C. Pelvic outlet ⅰ. A.P diameter (post. sag. d.): 8.25±0.74 ⅱ. Intertuberous diameter: 9.92±0.84 The difference of measurements between cases of vaginal delivery and of Cesarean section was significant. II. The measurements from the contracted pelivis The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was over 85% in 9.5cm or less of the obstetrical conjugate, and 71% in 9.5-10.0cm in the inlet contraction. 5 of 8 cases who taken cesarean section due to the mid-pelvic contraction were 9.0cm or less of the interspinous diameter, another 3 were 9.1 or more. Cesarean section was indicated 9.0cm or less (of the interspinous diameter). Outlet contraction was found rare. In and mid-pelvic contraction occupied about two thirds of the combined contraction. III.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of body and obstetrical conjugate of the pelvic inlet Showed no valuable mutual relation. IV. Relationship between pelvimetry and cephalometry the average skull diameter (A.S.D) which was the mean value of the longest diameters and the shortest diameters of the A.P and lateral films was relarted to the fetal body weight. The cesarean section rate was depended upon the difference of the anatomical true conjugate and A.S.D. The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was 53% in 1.0cm or less of the difference of the C.V.A.-A.S.D.

      • KCI등재

        Colorectal Lesion in Pregnancy

        목정은(JE Mok),오보훈(BH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1

        질문:1 임신중은 급성 충수염이 병발하여 충수돌기 절제술을 시행한 후 progesterone투약이 태아손실 방지에 미치는 효과. 질문2 : 지연된 질식 분만 과정을 경과한 후 복식분만한 산모에서 장폐쇄증이 잘 발생하는 원인과 그 예방대책.

      • KCI등재

        Surgical Problem in Pregnancy Coloretal Lesion in Pregnancy

        목정은(JE Mok),오보훈(BH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1

        임신중 흔히 나타나는 변비,구토,복부불쾌감,치질 등의 경증장애는 임신중 발현하는 생리적 변화로 간주할 수 있겠다. 그러나 임신중 혹은 산욕기에 발생하는 내과적 또는 외과적 질환은 위급한 합병증을 유발시키고 특히 진단상 어려움이 많아 반드시 산부인과 의사,내과의사,외과의사, X-선과의사 상호간의 긴밀한 상의가 절대로 필요하다. 환자의 증상을 임신중 혹은 산욕기에 나타나는 정상 생리적 현상으로만 간과하지 말고 전술한 바 있는 위험한 질환군을 항상 염두에 두어 면밀한 관찰과 검사로 기질적 병변을 가려내야 한다. 특히 급성 충수염, 장축*전증(volvulus), 장폐쇄증 등의 외과적 질환이 의심될 때에는 최종 확진할 때까지 치료를 지연시키지 말고 반드시 응급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현명한 일이다.

      • KCI등재

        정상임신과 임신성고혈압이 병합된 고위험임신의 제대동맥 및 태아하강대동맥 혈류속도파형의 비교

        목정은 ( JE Mok ),김영탁 ( YT Kim ),이인식 ( IS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8

        1990년 3월부터 1990년 11월말까지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관호를 받은 임산부중 월경주기가 일정하고 최종월경날짜가 확실한 정상임산부와 임신성고혈압이 병합된 임산부에서 도플러 초음파로 제대동맥 및 태아 하강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을 측정한 후 2주이내 분만된 정상임신 34예를 대조군으로 임신성고혈압에 병합된 고위험임신 18예를 대상군으로 정상임산부 및 임신성고혈압이 합병된 고위험임산부에서 산전에 시행한 도플러초음파소견 및 주산기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신성고혈압이 병합된 고위험임신군의 제대동맥 A/B ratio 및 태아 하강대동맥의 PI치는 정상임신군보다 유의하게 상승되었으며(P<0.05), 출생시 임신주수, 신생아 체중, 1분 및 5분 Apgar치 등의 주산기데이터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2. 임신주수를 고려하면 고위험임신군과 정상임신군의 출생시 임신주수, 신생아체중, 1분 및 5분 Apgar치 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P>0.05), 제대동맥의 A/B ratio 및 태아 하강동맥의 PI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3. 정상체중아 집단과 고위험임신군중 정상체중아 집단의 출생시 임신주수, 신생아 체중, 1분 및 5분 Apgar치 등의 주산기데이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제대동맥의 A/B ratio 및 태아 하강대동맥의 PI치는 정상갑을 나타내었으나 정상체중아 집단보다는 증가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4. 고위험임신군중 정상체중아 집단과 태아곤란증이 동반되지 않은 체중 10 백분위미만의 발육부전아 집단의 출생시 임신주수, 1분 및 5분 Apgar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신생아체중은 각각 3168.80±223.29gm, 2117.00±476.24gm으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제대동맥의 A/B ratio는 각각 2.79±0.42, 3.61±1.30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태아 하강대동맥의 PI치는 각각 1.99±0.35, 2.55±0.90로 태아곤란증이 동반되지 않은 박육부전아 집단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고위험임신군중 정상체중아 집단과 태아곤란증이 동반된 체중 10 백분위미만의 발육부전아 집단의 신생아 체중, 1분 및 5분 Apgar치 등의 주산기데이터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제대동맥의 A/B ratio는 각각 2.79±0.42, 3.72±0.42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태아 하강재동맥의 PI치는 각각 1.99±0.26으로 태아곤란증이 동반된 발육부전아 집단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태아곤란증이 동반된 발육부전아 집단과 태아곤란증이 동반되지 않은 발육부전아 집단의 출생시 임신주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신생아 체중은 각각 1963.33±644.37gm, 2117.00±476.24gm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태아곤란증이 동반된 경우에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분 Apgar치는 각각 5.33±1.89, 7.13±1.45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5분 Apgar치는 각각 7.67±0.94, 8.50±1.22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제대동맥 A/B ratio는 각각 3.72±0.47, 3.69±1.30이었으며 태아 하강대동맥의 PI치는 각각 2.51±0.51, 2.55±0.90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7. 임신성고혈압이 병합된 고위험임신군중 정상체중아 집단에서는 (n=5) 5예중 3예에서 제대동맥 A/B ratio 및 태아 하강대동맥 PI치가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으나, 1예에서는 제대동맥 A/B ratio는 정상이었으나 태아 하강대동맥 PI치가 2이상으로 상승되었으며 1예에서는 태아 하강대동맥 PI치는 정상이었으나 제대동맥 A/B ratio는 3이상으 Blood velocity waveforms of the fetal umbilical artery and the fetal aorta weve studied in normal an dhypertensive pregenancies. The perinatal data of both pregnancies were also evaluated. In 34 normal pregnancies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 was 2.39±0.33 and the pulsatility index (PI) of the fetal aorta was 1.81±0.28. In 18 hypertensive pregnancies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 was 3.55±1.35 and the PI was 2.16±0.35.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inatal data (gestational age at delivery, birth weight, 1-minute and 5-minute Apgar score) were observed between normal and hypertensive pregnancies. In the subgroup of noncomplicated hypertensive pregnancies (n=5),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 was 2.79±0.42 and the PI of the fetal aorta was 1.99±0.35.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erinatal data between the subgroup of noncomplicated and normal pregnancies. In the subgroup of the fetal growth retardation without fetal distress(n=8),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 (3.69±1.30) and PI (2.55±0.9) of the fetal aorta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han those of normal pregnancies(P<0.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erinatal data except 1-minute and 5-minute Apgar score. In the subgroup of fetal growth retardation and feta distree(n=5), the umbilical artery A/B ratio(3.72±0.42) and PI(2.51±0.26) of the fetal aorta were also markedly elev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inatal data were observed between normal and this subgroups. Sixty percent(3/5) of subgroup of noncomplicated hypertensive pregnancies showed that the A/B ratio of the umbilical artery and the PI of the fetal aorta were within normal range. However 76.9%(10/13) of the subgroup of fetal growth retardation with or without fetal distress showed the elevation of the A/B ratio of umbilical artery and the PI of the fetal aorta and 23.1%(3/13) of these subgroup showed the elevation of the A/B ratio of the umbilical artery or the PI of the fetal aort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ies of the doppler velocity waveforms of the fetal umbilical artery and the fetal descending aorta are valuable for evaluating the perinatal prognosis of the pregnancies complicated by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 KCI등재
      • KCI등재

        미량원소 강화 식품소재의 항균효과

        김보미(Bo-Mi Kim),종수(Jong-Soo Mok),오은경(Eun-Gyoung Oh),손광태(Kwang-Tae Son),심길보(Kil-Bo Shim),조영제(Young-Je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

        식중독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예방은 물론 부족하기 쉬운 필수 미량원소의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연 및 게르마늄 등의 필수 미량원소를 강화시킨 식품소재의 항균효과 및 그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식중독 6 균주에 대하여 gelatin, dextrin, 불가사리 및 어류에서 추출한 collagen 등의 식품소재에 각종 미량원소를 강화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식품소재의 종류에 따른 항균활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사용된 미량금속 중 아연과 게르마늄만이 식중독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연 강화식품소재는 P. fluorescens와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E. coli, V. parahaemolyticus, B. cereus, B. subtilis에 대하여는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연을 강화한 식품소재는 산성영역에서 안정하였으며, 게르마늄 강화 식품소재는 산성영역보다 알칼리 영역에서 보다 안정하였다. 또한, 미량원소 강화 식품소재는 열에 매우 안정하므로 가열식품인 통조림 제품이나 레토르트 식품에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의 코팅제로 사용되고 있는 gelatin과 아연을 혼합한 용액에 시판 어묵을 침지하여 코팅한 것을 저온 및 상온에 저장하면서 생균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저장온도 10℃에서 대조구는 초기부패(10^(7-8) CFU/g)까지 7일정도 걸리는데 반하여 시료 용액에 침지한 어묵은 15일정도로 저장기간을 8일정도 더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5℃와 35℃의 경우도 1% zinc acetate와 3% gelatin의 혼합 용액으로 코팅된 어묵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균 증식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아연 강화 식품소재 코팅에 의하여 식품 오염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켜 어묵 제품의 유통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은 물론 필수 미량원소인 아연의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trace elements in combination with the food additives were measured against 6 kinds of food-borne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and Pseudomonas fluorescens. The difference of antibacterial activity was not shown among the kinds of food additives, such as dextrin, gelatin and collagen. Zn and Ge in combination with food additives had strong antibacterial effect. Especially, 1% zinc acetate in combination with 1% gelatin was more effective against P. fluorescens and S. aureus than against Bacillus sp., E. coli and V. parahaemolyticu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zinc acetate in combination with 1% gelatin appeared to be 0.5 ㎎/mL on S. aureus and P. fluorescens, and 1.0 ㎎/mL on E. coli, V. parahaemolyticus, B. cereus and B. subtilis.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zinc acetate in combination with 1% gelatin appeared to be 0.5 ㎎/mL on P. fluorescens and 1.0 ㎎/mL on E. coli, V. parahaemolyticus, S. aureus, B. cereus and B. subtilis. The zinc acetate in combination with gelatin showed stronger inhibitory effect in acidic range below pH 6.0, and remained active even after heat treatment at 121℃ for 15 min.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viable cell counts of fish pastes, which were coated with the solution containing both 1% zinc acetate and 3% gelatin, were decreased by more than 100-fold until the storage of 7 days at 10℃.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bined use of zinc acetate and some food additives could prolong the shelf life of fish pastes by 8 days or more at 10℃.

      • KCI등재

        Down`s syndrome의 세포 유전학적 연구

        박언준(UJ Park),목정은(JE Mok),주갑순(KS Ju)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3

        Down`s syndrome 염색체를 가진 것으로 밝혀진 총41예의 성별, 나이, 출생 당시의 모친의 나이, 핵형 및 Down`s syndrome과 병 발한 질병들을 Table I에 나타내었다. 총 41예의 성별을 보면 남자가 26예, 여자가 14예로서 남자가 좀더 많았으며 이들 나이분포는 생후 1일부터 23세까지 넓은 분 포를 나타내었고, 핵형에 의한 분류를 보면 전형적인 21번 3배성(primary 21-triso-my:47, xx 혹은 xy, +21)(Fig.1)이 34예로 약 83%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14/21전위형[D/G translocation:46, xx 혹은 xy, -14, -21, +t(14q 21q)](Fig.2)이 3예로 약 7.3%, 21/21전위형[G/G translocation:46, xx 혹은 xy, -21, -21, +t(21q 21q)](Fig.3)이 1예로 약 2.4%, 나머지 3예에서는 정 상핵형과 Down`s syndrome의 핵형을 동시에 가진 mosaic형(46, xx/47, xx, +21 혹은 46, xy/47, xy, +21)으로 약 7.3% 나타내었 다. Down`s syndrome 환아의 출생당시의 모친의 연령과 핵형을 분석하여 Table II에 나타내었다. 총 41예중 35예에서 출생시 정확 한 산모연령을 알 수 있었으며, 핵형을 보면 21번 3배성이 28명으로 약 80%, 14/21전위형이 3명(약 8.5%), 21/21전위형이 1명 (약3%), mosaism이 3명(약8.5%)을 나타냈고, 35세이상 고령의 산모가 8명으로 약 23.5%이었고 그 핵형은 전부가 21번 3배성으로 나타났다. Down`s syndrome과 병발된 질병으로 본원 소아과에서 정밀진찰 받은 20명 중에서 선천성심장병 5예(25%), 선천성백혈병 1예 (5%)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본조사중 14/21전위형 환아의 모친 1예에서 보인자로 나타났다(Fig.4) 3배성 Down`s syndrome에서의 Extra 21번 염색체의 기원을 가리기 위해 3예에서 부모의 염색체를 검사하였으나 2예에서는 21 번 염색체의 특색이 없어서 가려낼 수가 없었으며 1예에서 모친의 First meiotic division error에 의한 것으로 추종되는 염색 체를 관찰할 수가 있었다.(Fig.5) The chromosomal studies on the 43 patients who were suspected as Down`s sydrome were perfomed and confirmed the chromosome anomalies in 41 cases at the cytogenetic laboratory, Ky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The result of study was as follows: 1) Primary 21-trisomy type....34 cases 2) 14/21 translocation type.... 3 cases 3) 21/21 translocation type.... 1 case 4) Mosaic type .... 3 cases

      • KCI등재

        자궁체부에 발생한 혼합 중배엽성 육종의 1예

        이선경(SK Lee),목정은(JE Mok),주갑순(KS Ju),이재현(J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10

        저자 등은 최근 본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체부에 발생한 혼합 중배엽성 육종 1례를 경험하였으며 전자궁적출술과 양측난소난관절제술 및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1년간 재발없이 생존하였다. Mixed mesodermal tumor of the uterine corpus is a rare and highly malignant tumor.Such tumor arises from the mesodermal tissue associated with the mullerian duct, and may certain a combination of fibrous or myxomatous elements, smooth muscle, striated muscle, cartilage, bone, or fat. A case of this type was recently experienced in a 68-year-old woman and is reported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The patient has been followed for 1 year without evidence. We present a case of this typ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avail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