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대용 3구 소형 가스버너의 성능개선을 위한 해석 연구

        김민이,양영준 한국기계기술학회 2019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21 No.3

        Gas burner has been widely utilized to many industrial fields and personal outdoor activities and so on. Portable small-sized gas burner is, especially, useful in personal outdoor activities.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portable small-sized gas burner is important because it uses gas as fu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performance improvement of portable small-sized gas burner through flow and structural analysis, respectively. As the results, it showed that mass fraction of butane gas in all cases(Type 1, Type 2, Type 3) was about 12~18% and further safety load of 3 stand leg was below 10 kgf.

      • KCI등재

        “학대(虐待)”관련 법률에 대한 논의 - 학대개념과 법정형을 중심으로 -

        김민이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1

        Abuse-related domestic laws are regulated specifically to those subjected to abuse, such as the mistreatment of children, the disabled and elderly. They conform to the Child Welfare Act,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rimes of Child Abuse, the Welfare Law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These laws have been enacted in terms of social welfare, such as the welfare of children, the disabled and elderly, therefore, the regulation of such laws are particularly focused on procedural aspects that protect those subjected to abuse, rather than the punishment of offenders who commit abusive acts, such as in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r bodily harm. Although Article 273 of the Criminal Code stipulates a penalty for offenders who mistreat "another who is under one’s protection or supervision", or "a lineal ascendant of the offender or of one’s spouse", it has been judged to be an inadequate statutory penalty due to current cases of abuse. Thus, a procedural regulation is being demanded through the revision of abuse-related laws, independently of the Criminal Code, in order to establish an adequate penalty, as well as both preventive and post-conflict protection for those subjected to abuse.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abuse-related domestic laws are regulated specifically to those subjected to abuse, and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abuse not only varies, the statutory penalty may also be regul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law despite the same forms of prohibited behavior, that have been stipulated as abusive acts. The death cases in the last 16 months of abused adopted children have raised social awareness through a hashtag campaign on "child abuse" and the need to revise abuse-related laws. Consequently, the regulation concerning disciplinary action of parental authority, of Article 915 of the Civil Code has been abolished, and special case laws have been revised, concerning child abuse in the Child Welfare Act and penalties related to child abuse crimes. Although this revision constitutes a supplementary legislation, in terms of procedural aspect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from child abuse offenders, rather than for the reinforcement of penalties of child abuse offenders, the revision of penalties may occur at any moment as an amendment on the reinforcement of child abuse penalties has already been proposed. In such case, the penalty differences between the disabled or elderly abuse offenders and child abuse offenders may increase, as well as creating further differences in statutory penalty for each law, despite the same forms of abuse. Thu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oncept of abuse and the statutory penalty that are stipulated in each abuse-related law, in order to examine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regulate a unified concept of abuse. Even if welfare laws on children, the disabled and elderly should remain, it appears necessary to lay down regulations that can encompass each of those who are subjected to abuse, through the suppression of current regulations concerning the different subjects of abuse, as well as through the revision of Article 273 of the Criminal Code. 학대 관련 국내법은 아동, 장애인, 노인 등과 같이 학대 대상별로 학대행위에 대해서 개별 법률을 통해 규정하고 있다. 아동복지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레법, 장애인복지법, 노인복지법 등이 해당된다. 이 법률들은 아동, 장애인, 노인 등의 사회복지적 측면에서 제정된 것으로, 그들의 인권을 침해하거나 건강을 해하는 등의 "학대”행위에 대한 행위자의 처벌보다는 학대 대상자를 보호하는 절차적 측면에서의 규율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물론 형법 제273조가 "자기의 보호 또는 감독을 받는 사람", "자기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을 학대한 경우, 행위자에 대한 형벌을 규정하고 있지만, 최근 발생하는 학대사건을 볼 때 충분한 법정형이라고 판단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형법이 아닌 학대 관련 법률의 개정을 통해 학대 행위자에 대한 적절한 처벌과 학대 대상자에 대한 사전예방적․사후적 보호 등을 위한 절차적 규정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언급한 바와 같이 학대 관련 국내법은 대상자별로 각각의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어, 학대에 대한 개념 정의가 다를 뿐만 아니라, 학대행위로 규정되어 금지하고 있는 행위 유형들이 동일한 양태를 보이고 있음에도 각각의 법률에서 규율하는 법정형에 차이가 있는 경우도 있다. 최근 16개월 입양아동 학대 사망사건은 해시태그(#) 캠페인을 통해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함께 관련법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 이에 따라 민법 제915조 친권자의 징계권 규정이 삭제되었고, 아동학대와 관련한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개정되었다. 이번 개정이 행위자의 처벌을 강화하는 방향이 아닌 아동을 학대행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절차적 측면에서의 보완 입법이었지만, 이미 아동학대행위자에 대한 처벌강화 개정안이 발의된 상황에서 언제든 처벌강화적 개정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이라면 장애인 또는 노인에 대한 학대와 아동학대 간 행위자에 대한 처벌의 간극, 즉 동일한 학대 유형에 대한 각 법률에서의 법정형의 차이가 지금보다 더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학대 관련 개별 법률들에서 규정하고 있는 학대개념과 법정형을 비교하면서 통일적으로 학대개념을 규율할 수는 없는 것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동, 장애인, 노인에 대한 복지적 측면에서의 법률은 그대로 두더라도, 이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각의 학대와 관련된 규정을 삭제하고, 형법 제273조의 개정을 통해 각 대상에 대한 학대행위를 아우를 수 있는 규정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H2O, O3 반응기체로 원자층 증착된 Al-doped ZnO 박막의 특성

        김민이,장효식,조영준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8 No.10

        본 논문에서는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박막 증착 공정에서의 반응기체에 따른 Al-doped ZnO (AZO) 박막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투명 전도성 산화물 중의 하나인 AZO 박막은 trimethylaluminum (TMA)과 diethylzinc (DEZn)소스를 이용하여 원자층으로 증착되었다. 저온에서 반응기체 H2O와 O3의 비율을 바꾸어서 AZO 박막을 증착하였다. 이렇게 증착된 AZO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구조적 특성은 4-point probe, Hall effect measurement, 분광 광도계 (UV-VIS), 주사탐침현미경 (AFM), 장방출 주사전자현미경 (FE-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박막의 미세구조와 원자 결합 구조는 고분해능 X-선 회절분석기 (HRXRD)와 광전자분광기 (XPS)로 분석하였다. 반응기체 H2O만 사용하여 증착한 AZO 박막의 비저항은 O3과 함께 사용한 박막보다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H2O만 사용하여 증착한 AZO 박막의 산소 공공이 증가하면서 전자 공여체 (electron donor)의 역할을 함으로써 전기 전도도가 향상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We hav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Al-doped ZnO (AZO) thin films as functions of atomic layer deposition (ALD) oxidants. AZO 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TCOs) layer was deposited by ALD with adding trimethylaluminum (TMA) and diethylzinc (DEZn). AZO films were deposited at low temperature with H2O and O3 as oxidants. Electrical, opt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AZO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by 4-point probe, Hall effect measurement, UV-VIS, and AFM. Microstructure and atomic bonding states were investigated by HRXRD and XPS. The resistivity of AZO films grown using H2O was lower than the films grown using H2O and O3, by approximately two orders of magnitude. The differences in oxygen vacancy peak intensity of AZO films were correlated to th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 KCI등재

        보호관찰제도에 있어 “보호”의 기능 변화

        김민이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법학논고 Vol.0 No.47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al change and legal character of probation focusingon Korean criminal law related to probation. Probation, which was initiated by asocial worker in Boston, 1841, has two major functions. It is originally invented toprotect offenders from the risk of losing any chance of rehabilitation and directlyserving time in prison. It also protects innocent citizen and society from offenderson probation through supervision. The nature of law is to reflect social change and feelings of law, in which probationin Korean criminal law is no exception. Responding to the increase of atrociouscrimes Korea criminal law has been emphasizing the function of defending citizenand society over that of protecting offenders in the discussion of probation. In conclusion, the balance matters. It is understandable to strengthen the functionof protecting citizen and society from heinous crimes. It is, however, also importantto remember the original purpose and function of probation, that is, rehabilitationof criminals. Through legislative deliberation, simultaneously, with mature communitythe function of rehabilitating criminal should coexist with protecting society inprobation. 1841년 미국 보스톤의 한 사회 복지사(social worker)를 통해 시작된 보호관찰(probation)은 범죄인의 사회 복귀와 재사회화에 그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은1963년 개정 소년법을 통해 보호처분의 한 종류로서 보호관찰을 도입하였고 1988년소년법 개정과 보호관찰법 제정을 통해 사회내제재의 중심축으로 운용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최근 들어 보호관찰은 관련 법률들의 제․개정을 통해 사회방위사상에 입각한 감시와 통제적 기능이 보다 강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이러한 보호관찰 관련 법률들의 특성을 개별적으로 살펴보고 보호관찰의 기능적 변화와 함께 보호관찰의 본질과 법적성격을 고찰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보호관찰제도는 선고유예, 집행유예와 가석방에서의 형벌 집행이 변형된 법적 성격을지닌 동시에 명실상부한 보안처분의 한 종류이기도 하다. 즉 기존의 보호관찰제도가범죄자의 재사회화를 위해 보호관찰대상자인 범죄자를 지도, 감독하는 것을 목적으로삼았다면 이제는 이와 동시에 일반국민과 사회를 보호하는 기능이 새로이 추가되고있음을 뜻한다. 즉 보호관찰(保護觀察)에 있어 “보호(保護)”라는 의미는 재사회화가가능한 범죄인을 사회내에서 개선․교화하여 재사회화함은 물론 이들에 대한 감시와통제라는 적극적 관찰을 통해 일반 시민을 보호하는 이중적 기능을 균형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법률의 제 개정을 통해 보호관찰의 사회방위가 무조건 강조,강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공동체 사회의 성숙과 더불어 정제된 입법적노력을 통해 재사회화와 사회복귀라는 보호관찰의 본질적 이념이 사회방위라는 현대적 요구와 균형적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치료명령제도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민이 한국보호관찰학회 2018 보호관찰 Vol.18 No.1

        치료명령제도는 2015년 12월 입법화되었고, 1년 후인 2016년 12월부터 시행이 되고 있다. 따라서 치료명령제도가 우리나라 형사제재로서 어떻게 적용되고 집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명령제도의 실효성을 판단하기에는 시행된 지 약 1년 반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에 이 논문은 치료명령제도가 시행된 이후 집행률이 어떤지, 실제 집행된 이후 효과는 어떤 것인지에 대한 분석은 논외로 하고, 치료명령제도가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에 입법화 된 것이 동법에 규정되어 있는 치료감호제도와의 관계에서 바람직한 것인지, 또는 치료명령제도와 동일한 목적으로 이미 제도화 되어 있는 타 법률에 근거한 “치료명령”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과연 “치료명령제도”가 입법화될 필요가 있었는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의 치료감호제도는 범죄를 저지른 자에 대하여 부과될 수 있을 뿐이어서 경미한 범죄를 저지른 자에 대하여는 적절한 치료적 대안이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같은 법률을 통해 경미한 범죄를 저지른 자에 대한 치료적 목적으로 신설된 것이 치료명령제도이다. 그러나 치료명령제도가 치료감호제도와 치료의 대상자가 중복될 뿐만 아니라, 부과 요건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자 및 재범의 위험성을 동일하게 요구하고 있어, 치료명령제도의 입법 취지가 법 시행 이후 퇴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도의 실효성 측면에서도 의문이 있다. 특히 치료명령제도가 선고유예 또는 집행유예를 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제44조의2에 규정되어 있는데, 형사법상 선고유예 또는 집행유예는 재범의 위험성 있는 자를 요건으로 하고 있지 않다. 또한 치료명령제도가 도입되기 이전에도, 현행법 하에서는 정신질환 범죄자와 관련한 치료적 개입을 시행하고 있었다. 대표적인 법률로는 정신건강복지법과 마약류관리법, 그리고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등이 있다. 현대사회에서 범죄가 범죄행위 보다는 범죄행위자의 습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형벌일지라도 범죄행위에 대한 비난으로서 책임뿐만 아니라 범죄행위자의 사회복귀 및 재범방지도 중요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범죄행위자의 습성, 일례로 정신질환자의 범죄 습성에 적절한 형사제재의 발견은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치료명령제도의 도입과 시행은 축하하라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위와 같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치료적 제도들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 간의 관계를 고려할 때, 치료명령제도가 적절한 입법이었는지는 의문이 든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오히려 치료명령 등에 관한 법률에서가 아닌,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에서 치료명령을 규정하는 방법, 또는 형법을 통해 규정하는 방법이 치료명령제도가 가지는 법적 성격과 타 법률과의 관계에서 타당한 것이 아닌지 제안해 본다. 또한 한편으로, 지금과 같이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치료감호제도와 함께 치료명령제도를 규정하고자 했다면, 치료감호제도와 분명하게 차별화된 요건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즉 치료감호제도에는 없는 치료조건부 기소유예제도의 신설, 또는 재범의 위험성 요건과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요건을 삭제하여 치료명령제도 부과 요건을 완화함으로써, 경미한 범죄자에 대해 탄력적으로 치료적 대응을 할 수 있는 방안 등이 이에 해당한다. 기존 입법을 통해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을 때 새로운 입법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무엇이 문제인지를 먼저 고민해야 한다. 치료명령제도의 도입이 시행된 지 불과 1년 반 만에 제도의 존폐를 논하는 것이 성급할 수 있지만, 그만큼 치료명령제도가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에 규정됨으로써 갖는 문제점도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Treatment Order System was legalized in December 2015 and came into force from a year after in December 2016. Therefore, we must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 enforcement of the law has been only a year and a half to decid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Order System (“the System”) based on how it has been applied and executed as a criminal sanction of South Korea. Thus, this paper will leave out the analysis on execution rate of the System and the effects of the execution as a result; instead, this paper will focus on whether the System legalized within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would be desirable in relation with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System regulated in the same Act, or whether it was absolutely needed to legalize the System at all when considered of its relations with “Treatment Order” based on other laws with the same purpose already institutionalized. In fact, there have been comments about the need of appropriate treatment alternatives for those who committed a minor offense since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System in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can only be imposed on those who committed a crime; and thus introduced within the same Act was Treatment Order System. The problem, however, is that the Treatment Order System and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System not only share the same treatment recipients, but also require without discrimination the recipients receiving more than imprisonment as an imposing requirement and its recidivism risk; this raises a doubt that the legislation purpose of the Treatment Order System might have been losing its stand and the effectiveness. In particular, the Paragraph 2 of the Article 44 regulates that the System can only be applicable in the cases of suspended sentence or probation; on the criminal law’s point of view, suspended sentence and probation do not require those with recidivism risk; also, under the currently laws, therapeutic intervention relating to offenders with mental issues has already been in force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to name a few of the related laws are: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the Narcotics Control Act, and the Probation Act. In today’s society, a crime is focused on the habit of the offender rather than the criminal act itself, and the punishment is aimed importantly at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of reoffending of the offender over the reproachable responsibility of its criminal act. Therefore, bringing up an appropriate criminal sanction to the habit of the offender, for instance, the offender with mental issues, is important. In this respect, the introduction and execution of the System can be seemed praiseworthy. Nevertheless, whether the legislation of the System was appropriate is still a question consider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laws that regulate the treatment systems for the offenders with mental issues. Hereupon, this paper would like to suggest the ways of defining the Treatment Order based on the laws relating to probation rather than to treatment orders, and whether regulating it through criminal laws can be appropriate considering the relations of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with the other laws. Also, there is a need to suggest clear requirements differentiated from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System, unlike the existing point of view to define the System alongside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System based on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In other words, we can bring up flexible treatment measures for minor offenders by establishing a system of suspension of indictment on condition of medical treatment which is not stated in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System, or easing the System imposing requirements on removing the requirements for recidivism risk and imprisonment. We are advised to consider first the cause of the problem rather than to counteract with new legislations whenever issues occur which cannot be settled down with the existing laws. It might sound hasty to discuss on maintenance or abolition of the System since it has been in force only a year and a half; yet we must not ignore the problems it is causing by being bounded by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