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단원 김홍도의 예술적 독창성에 관한 사회과학적 분석

        김민서 한국미술사학회 2024 미술사학연구 Vol.- No.324

        본 연구는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1745~1806)의 예술적 독창성이 발현되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직ㆍ간접적 영향들을 입체적으로 고찰하고, 창의성에 관한 사회과학적 접근을 통해 그의 예술적 독창성의 원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가 교유했던 인물들을 총 여섯 그룹으로 분류하여, 이들 각 그룹이 김홍도 생애의 특정 시기마다 그의 예술적 도약을 견인하는데 기여했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도화서 화원으로 자리잡기까지 초년기에는 강세황을 중심으로 한 문인 그룹과 도화서 화원 집단이, 국중 최고 화가로 활약하며 다양한 화풍을 섭렵한 중년기에는 정조를 중심으로 한 북학파 그룹과 이익 및 정약용을 중심으로 한 안산 15학사 그룹이, 독창적 예술성을 완성했던 말년기에는 김정희를 중심으로 한 금석학파 그룹과 위항 문인 그룹이 그의 화풍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제시하였다. 이 밖에도 사대부들의 호화 주택과 별장, 위항인들의 작은 기와집이 어울려있던 청계천과 인왕산의 지리적 환경, 신분이 미천한 자라도 능력에 따라 등용했던 정조의 사회개혁 제도, 중인이면서도 사대부의 문인 취향을 즐길 수 있었던 사회적 분위기, 신분적 경계를 뛰어넘은 다양한 주변인들이 김홍도의 복합정체성이 확립되는데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조명하였으며, 사회정체성 이론을 통해 이러한 복합성이 결국 창의성이 창발시킨 지대한 요인이 되었음을 기술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김홍도의 예술적 독창성이 타고난 천재성보다는 시대 및 사회의 산물임을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해석은 그간 범접할 수 없었던 ‘천재 김홍도’를 세속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독창성과 창의성의 본질을 일깨워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that are presumed to have contributed to the artistic originality of Tanwŏn Kim Hongdo (檀園 金弘道, 1745–1806) by employ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a social-scientific approach to creativity. To identify the sources of his artistic innovation, individuals associated with Kim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each of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during specific periods of his life and artistic development. In Kim’s early years, as he established himself as a painter in the Tohwasŏ (Royal Bureau of Painting), the literati group led by Kang Sehwang and the Tohwasŏ painters were pivotal. During his middle years, when he mastered diverse painting styles and became the nation’s leading artist, the Pukhak (Northern Learning) scholars surrounding King Chŏngjo and the Ansan Fifteen Scholars group led by I Ik and Chŏng Yagyong were instrumental. In his later years, when Kim achieved artistic originality, the epigraphic studies group led by Kim Chŏnghŭi and the middle-class literati circle were decisive in shaping his style.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Ch'ŏnggyech'ŏn and Inwangsan, where the luxurious residences of noblemen coexisted with modest tile-roofed houses of middle-class individuals, as well as King Chŏngjo’s reform policies, which promoted talent regardless of social status. Furthermore, the social atmosphere that allowed middle-class individuals to embrace the refined tastes of the nobility and Kim’s diverse connections across social boundarie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his complex identity. Drawing on social identity theory, the study argues that this complexity significantly fueled Kim’s creative emergence. Ultimately, this research reinterprets Kim Hongdo’s artistic originality not as a product of innate genius but as a reflection of his era and society. This perspective not only demystifies the concept of ‘genius Kim Hongdo’ but also offers insights into the nature of originality and creativity, providing inspiration for contemporary audience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김민서,이상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A total of 331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elf-criticism,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m. Second, covert narcissis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elf-critic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ird, self-compassion also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is research will support the developing of intervention program for people who were suffering in covert narcissism.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의 331명의 대학생(남학생134명, 여학생197명)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비난, 자기자비, 우울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비난은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자비 역시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검증함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 내담자들의 상담적 개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학문적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잠자리 수채의 사냥 시 아랫입술 움직임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김민서,김수진,김명희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1

        Dragonfly nymphs are known for their ability to rapidly snatch prey by extending their folded labium, despite the resistance of water. The labia of dragonfly nymph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ir shapes: Scooped and Flat. Orthetrum albistylum and Anax parthenope were selected respectively as the most representative species of the scooped and flat labial typ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unting behavior of dragonfly nymphs through analyzing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ooped and flat labia and three separate analyses were performed. First, we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labium structures by measuring the length, mass, and joint angle of each part through anatomical disse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scooped labium has limitations in opening its joints compared to the flat one due to structural difference. Second, we analyzed hunting videos of dragonfly nymph using the Tracker program to measure physical quantities such as velocity and acceleration. The average Striking velocity of the labium is 0.40m/s in O. albistylum and 1.53m/s for A. parthenope. Third, we conducted two additional biomechanical analyses: (1) we calculated the magnitude of the force involved in the strike and (2) we compared the water resistance that the labia encountered during hunting using a second-order differential equation that calculates terminal velocity of damped oscillation. Our findings may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bia can explain the ecological differences between O. albistylum and A. parthenope. We found out that O. albistylum is better adapted to catching small prey, whereas A. parthenope is more adept at catching larger and faster prey. This study is not only expected to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insects, but is also expected to be highly valuable for future research on biomimetic devices. 잠자리 수채는 물 속에서 길게 접힌 아랫입술을 순간적으로 뻗어 먹잇감을 낚아챈다. 수채 아랫입술은 그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크게 국자형(scooped)와 주걱형(flat)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징을 가장 잘 대표하는 밀잠자리(O. albistylum) 와 왕잠자리(A. parthenope)를 선정해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번 연구는 수채의 사냥에서 나타나는 생체역학적 특징을 두 가지 아랫입술 형태에 따라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세부 목적에 맞게 나눈 3가지 탐구를 진행했다. 첫째로, 아랫입술구조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위해 아랫입술 해부 후 각 부위의 길이, 질량과 관절 펼침각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국자형 아랫입술은 3차원적 구조로 인해 관절 펼침각에 제한이 생김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수채의 사냥영상을 Tracker program으로 분석했으며 아랫입술 속도, 가속도와 같은 물리량을 구하였다. 그 결과, 아랫입술을 펼칠 때 밀잠자리는 평균 0.4m/s, 왕잠자리는1.5m/s의 속도를 내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로, 앞선 탐구 결과를 종합해 두 가지 생체역학적 분석을 시도했다. 사냥 시 아랫입술이 내는 힘의 계산과 사냥 중 아랫입술에 가해지는 물의 저항을 추정한 것이 그 둘이며 각각을 위해 뉴턴 제 2법칙과 감쇠진동 종말속도 식을 사용했으며 왕잠자리가 밀잠자리보다 25배 큰 힘을 내는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 밀잠자리와 왕잠자리의 사냥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할 수있을 뿐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시도된 적 없었던 아랫입술 형태 기반의 생체역학적 분석을 수행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중도입국 및 외국인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간 구조관계: 한국어 능력의 매개효과

        김민서,안현정 한국비즈니스학회 2024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9 No.6

        본 연구는 부모지지 및 교사지지가 중도입국 및 외국인 아동·청소년의 한국어 능력 및 학교생활 적응 간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각 변인 간 직접 영향 및 한국어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2기 패널 1차(2019년) 초등학교 재학중인 중도입국 및 외국인 아동·청소년 4학년 422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26.0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사회학적 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26.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회귀모형에 대한 부합도, 타당도, 직접효과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중도입국 및 외국인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부모지지 및 교사지지가 각각 정(+)의 유의한 영향을, 한국어 능력도 정(+)의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지지와 교사지지는 각각 한국어 능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이 있다. 셋째, 부모 및 교사지지와 중도입국 및 외국인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간에는 한국어 능력의 부분 매개효과가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입국 및 외국인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신장하기 위한 이론적, 정책적, 실무적 차원에서의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teacher support 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of immigrant and foreign children and adolescent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study selected 422 fourth-grade immigrant and foreign children and adolescents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s from the first wave (2019) of the second panel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demograph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dditional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regression model analysis, including fit indices, validity, direct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were performed using AMOS 26.0.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upport and teacher support each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f immigrant and foreig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Second, both parental support and teacher support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ir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nd teacher support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immigrant and foreign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oretical,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to enhance the school adjustment of immigrant and foreig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강행규범의 보편성

        김민서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34 No.3

        In this paper, there are two fundamentally raised issues regarding jus cogens of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1969) (the 1969 Convention). One is whether jus cogens of Article 53 and (new) jus cogens of Article 64 are different, and the other is whether jus cogens, and jus cogens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are the same. Personally, I have not yet seen Korean or foreign references dealing with these issues. However, this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issue related to the universality of jus cogens, which may affect the ICJ'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jus cogens in the future. These two issues are divided into four: 1)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les 53 and 64 of the 1969 Convention, 2) jus cogens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and the persistent objector rule, 3) jus cogens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and the requirements for establishment of jus cogens, 4) the effects of jus cogens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And the conclusions on them are as follows. First, jus cogens of Article 53 of the 1969 Convention and (new) jus cogens of Article 64 are not different. One and the same jus cogens can be both a cause for invalidation for a treaty and a cause for termination of another. In other words, jus cogens acts as a cause for termination of the treaty for the preceding treaty (the treaty before the establishment of some jus cogens) and as a ground for invalidation of the subsequent treaty. This is due to the universality of jus cogens and is supported by Article 71 of the 1969 Convention. Secondly, jus cogens, and jus cogens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stipulated in the 1969 Convention are different. However, it cannot be accepted that the exception of the persistent objector rule is applied to jus cogens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for this reason. This is because it fundamentally denies the universality of jus cogens that do not allow any deviation. Thirdly, jus cogens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is related to the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jus cogens. jus cogens is not a new source of international law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of international law, and can ultimately be treated as a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 this way, customary international law will be divided into customary international law, which has been given the status of jus cogens, and oth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 addition, although jus cogens is universal international law,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In other words, jus cogens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can be interpreted as the basis for the norms that are ‘accepted and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States as a whole’, which is a prerequisite for the establishment of jus cogens. Fourthly, today theories and precedents have broadly recognized jus cogens. However,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ICJ will broadly recogniz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jus cogens in practice.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jus cogens stipulated in Article 71 of the 1969 Convention is so strong that it can greatly affect the existing treaty relationship. 이 논문에서 1969년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69년 협약)의 강행규범에대해 근본적으로 제기하는 문제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제53조의 강행규범과 제64조의 (신)강행규범이 다른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강행규범과일반국제법의 강행규범이 다른가 하는 문제이다. 개인적으로 아직까지 이문제들을 다룬 국내외의 문헌을 본 적은 없다. 그러나 이는 장차 ICJ가 강행규범을 해석하고 적용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강행규범의 보편성과관련된 중요한 문제라고 판단된다. 여기서는 두 가지 문제를 1) 69년 협약 제53조와 제64조의 관계, 2) ‘일반국제법의’ 강행규범과 완강한 반대국가, 3) ‘일반국제법의’ 강행규범과성립요건, 4) 강행규범의 효과와 적용범위라는 네 가지 쟁점으로 나누어다루면서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첫째 69년 협약 제53조의 강행규범과 제64조의 (신)강행규범은 다른 것이 아니다. 강행규범은 조약의 무효사유이면서 동시에 종료사유이다. 즉강행규범은 전조약(해당 강행규범이 확립되기 이전의 조약)에 대해서는조약의 종료사유로 작용하고 후조약에 대해서는 조약의 무효사유로 작용한다. 이는 강행규범의 보편성에 기인하며 69년 협약 제71조를 통해 뒷받침된다. 둘째 강행규범과 69년 협약에서 규정한 일반국제법의 강행규범은 다르다. 그러나 이를 이유로 일반국제법의 강행규범에도 완강한 반대국가의 예외가 적용된다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이는 이탈이 허용되지 않는 강행규범의 보편성을 근본적으로 부정하기 때문이다. 셋째 일반국제법의 강행규범은 강행규범의 성립요건과 연결된다. 이는강행규범이 기존의 국제법의 연원과 다른 전혀 새로운 연원이 아니며 궁극적으로 국제관습법의 한 형태로 해석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국제관습법은 강행규범의 지위가 인정되는 국제관습법과 그 밖의 국제관습법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강행규범은 보편국제법이지만 일반국제법의과정을 통해 성립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일반국제법의’ 강행규범은 강행규범의 성립요건인 ‘전체로서의 국제공동사회가 수락하며 또한 인정하는’ 규범의 근거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오늘날 학설과 판례는 확장적으로 강행규범을 인정한다. 그러나 실제에서 ICJ가 강행규범의 적용범위를 폭넓게 인정할지는 지켜볼 문제이다. 실정법적 측면에서 69년 협약 제71조에 규정한 강행규범의 효과가 너무강력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