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유우의 사양관리

        노상호 한국낙농육우협회 2001 낙농·육우 Vol.21 No.1

        건유우관리와 관련된 사항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수정일과 분만일을 정확히 기록한다. 2. 착유후기에 적절한 사료급여로 건유직전에 BCS를 3.5 수준에 맞춘다. 3. 건유기간은 소에 EK라 45$\~$60일 사이로 정한다. 4. 충분한 조사료와 분만시 적절한 신체상태유지를 위해 약간의 농후사료를 공급한다. 5. 광물질과 비타민을 충분히 공급한다. 6. 분만 3주전부터는 3$\~$6kg의 농후사료를 급여하

      • KCI등재

        Shifting Perceptions of Insects in the Late Chosŏn Period

        노상호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5 No.1

        In this paper, I examine the historical shift of Korean perceptions about insects that occurred in the late Chosŏn period. By analysing three specific cases of bees, moths, and hoppers, I argue that Korean knowledge of insects expanded its volume with the appearance of new consciousness about nature. Although Korean concepts of insects initially depended on Chinese books and Neo-Confucian natural philosophy, th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y saw new voices of Koreans who perceived insects as the object of scientific research. The Chosŏn dynasty and its ruling ideology of Neo-Confucianism introduced the notion that humans and insects were inter-connected in the same realm of li. Moral philosophy not only instructed how humans could cultivate their moral integrity by watching virtuous insects but also encouraged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philosophical fiction that insects could think and behave ethically nurtured early interest in insects, but some Korean intellectuals, most notably Yi Ik (1681-1763), Yi Pinghŏgak (1759-1824) and Yi Kyu-kyŏng (1788-?), realized the distance between moral philosophy and physical reality. Especially, Yi Kyu-kyŏng at-tempted to reform Korean knowledge of insects by using observation and empirical evidence. His realistic description of Korean insects reflected the intellectual efforts to relativize moral knowledge in the 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fluenced by many Chinese thinkers such as Xu Guangqi (1562-1633) and Fang Yizhi (1611-1671), the Korean thinkers of the late Chosŏn period questioned how accurate knowledge of things could be found. Their discourses on the insects of Korea, therefore, give us a unique opportunity to see how Korean perceptions of nature trans-formed within their Confucian tradition on the eve of the modern era.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후기 곤충에 대한 지식이 어떠한 궤적을 통해서 변해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벌, 나방, 메뚜기를 사례로 삼아서 살펴봄으로써 조선후기 자연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발전이 성리학적 전통 속에서 형성된 자연관(自然觀)의 변화와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성리학의 ‘격물치지(格物致知)’의 방법론과 농상(農桑)을 중시하는 전통은 곤충을 중요한 담론의 대상으로 삼았지만 곤충에 대한 지식은 인물(人物)의 동질성을 전제로 하여 당위적 도덕률을 확인하는 것을 중요한 목적으로 삼았다. 곤충의 덕성(德性)과 양잠의 당위성은 인간으로 하여금 곤충을 관찰하고 연구하는 모티브가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곤충을 형이상학적 주체로 삼았기 때문에 곤충을 그 자체로 관찰하고 연구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조선후기 이익(李瀷)과 이규경(李圭景)은 곤충에 대한 실험적 글쓰기를 통해서 이러한 형이상학적 담론에서 벗어나서 곤충을 순수한 관찰과 탐구의 대상으로 삼으려 하였다. 조선 후기 박물학자들은 덕성(德性)과 재이관(災異觀)에서 한걸음 나아가서 조선에서 관찰로 습득한 곤충의 독특한 특성을 기록하고자 하였다. 서광계(徐光啓)와 방이지(方以智)의 영향을 받아서 이익과 이규경은 물(物)의 자체적 특성을 고찰함에 중국과 다른 조선의 곤충들에 대해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곤충에 대한 윤리적, 규범적 지식은 보다 정확하고 증명 가능한 과학적 지식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보이는 나나니벌, 야잠(野蠶), 벼멸구에 대한 발견적 보고는 성리학의 전통 속에서 보다 실증적인 방법을 통해서 한반도의 자연을 탐구하고자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곤충담론은 근대과학의 전래 이전에 전통적 자연철학과 방법론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한 지적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중화권 대중문화의 한국 내 유행과 현지화에 관한 일고찰 : 무협영화와 소설을 중심으로

        노상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한국문화연구 Vol.30 No.-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amine cultural interac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in the 1960s. In the postwar era, ‘Free’ Asia of anti-communist states such as South Korea and Hong Kong shared human networks and similar historical experiences which connect ed them beyond national borders. From the late 1950s, the two countries tested a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s. A movie Love with an Alien co-produced by a South Korean company and Hong Kong’s Shaw Brothers shows us the close distance of the two countries from an angle of an oversea Chinese woman who evacuated perhaps during the Korean War from South Korea to Hong Kong. Entering the 1960s, the Hong Kong Wave started in South Korea with surprising popularity of Wuxia films and novels. The Wuxia (Martial Arts) culture successfully appealed to South Korean popular audience who could easily understand moral heroism based on Confucian ethics. Especially, Shaw Brothers and ‘New Wuxia Culture’ of Hong Kong and Taiwan imagined transnational cultural identity of the Chinese at their Wuxia culture. Although South Koreans did not regard themselves as one of such imagined community, South Korean audience unexpectedly welcomed the Wuxia culture as universal stories, not as “Chinese” stories. As the 1960s came to an end, South Korea began to have its first Wuxia fandom which not only consumed the culture, but also tried to make their own local Wuxia culture. Many South Korean novels which claimed the authorship of Wolung Sheng appeared at the turn of the decade, and the phenomenon of the fake novels proved the rapid localization of Wuxia culture as a new sub culture in South Korea. Especially, the South Korean Wuxia culture took its root among male audience which embraced it as their new world of male fantasia. Thus, the popularity of Hong Kong Wave and hybridity of Wuxia culture in South Korea strongly indicates that South Korea was experiencing the dynamic growth of pop culture and the diversification of its cultural consumption and production. 본고에서 필자는 1960년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를 초국가적인 문화교류와 중화권 대중문화의 현지화 과정을 통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계속된 동아시아의 전쟁과 이산(離散), 냉전은 전후 새로운 민족국가의 틀을 뛰어넘는 트랜스내셔널한 문화망의 기반을 만들어놓았다. 한국과 홍콩은 반공과 이산이라는 유사한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1950년대 말부터 상호간의 문화교류를 추진한다. 최근 발굴된 한국과 홍콩 합작영화인 <이국정원(異國情鴛)>은 한국출신 화교여인의 경험을 소재로 하고 한국인과 홍콩인이 서로를 잃어버린 가족으로 인식할 수도 있는 판타지에 기반한 멜로드라마이다. 특히 홍콩 대중문화는 1960년대에 들어서 무협소설과 무협영화의 인기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한국사회에 침투한다. 마침 한국사회에서는 1960년대 소비문화의 성장과 함께 액션의 스펙터클에 열광하는 대중문화가 성장하고 있었다. 대중들은 고난을 극복하고 도덕적 목표를 성취해 가는 무협의 입신출세담에 쉽게 빠져들었다. 이러한 대중문화의 월경(越境)은 신무협의 보편적 문화주의에 기인하는 면도 있지만 한국 내에서 이러한 문화를 수용하고자 하는 구심력이 작용했음을 간과할 수 없다. 한국대중의 욕망은 이런 문화적 수용과정을 이해할 때 핵심적인 부분을 이루는데, 중화권 문화가 한국에서 현지화(現地化)되어가는 현상은 1960년대가 끝나갈 무렵부터 등장하는 무협소설의 위작(僞作)들을 통해서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960년대 말부터 와룡생의 이름을 내세운 수많은 위작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한국형 무협문화는 욕망하는 남성의 판타지물로서, 심지어 포르노적 요소를 가미한 채 한국 대중문화에서 하위문화적인 위치를 점하기 시작한다. 즉, 1960년대 말, 70년대 초부터 소위 ‘색협지’의 초기적 형태가 발견된다. 본고에서 필자는 선우인이라는 번역가(들)의 작품에 초점을 맞추어서 대내외적 문화적 역학관계 속에서 한국 대중문화의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었는가를 고찰한다.

      • KCI등재

        1940~50년대 ‘전시체제’와 국영전력사업체의 등장

        노상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7 한국문화연구 Vol.33 No.-

        In the 1940-1950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mained under the control of wartime state in colonial Korea and independent South Korea. The wartime regime created a strong notion and system that the state monopolized energy production and policy-making process, preventing any access of civilians and private firms. I would like to analyze the energy production and its policy during the long wartime period (from 1937 to 1953) by examining the formation and change of Korean Electric Power Company (Chosŏn chŏnŏp, KEPC) before and after the wars. So-called ‘reform bureaucrats’ of the Japanese wartime regime not only distrusted capitalist market economy, but also firmly believed that tight control and mobilization of critical resources were the key for the preparation and victory in modern ‘new-generation’ warfare. In colonial Korea, the KEPC was made by the state in 1943 to monopolize the energy production. The state’s control, however, did not end after WWII. In independent South Korea, the KEPC consistently demanded the state’s ownership over the electric power whereas there appeared critical voices and American pressure of demanding the privatization of energy industr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egan to use the KEPC as de facto state enterprise for ‘recovery from the war’, ‘industrial development’, and ‘effective use of American aids’. In the 1950s, therefore, the KEPC extended its business and interest from hydroelectric power to thermal power and later showed strong interest in nuclear power. 한국의 전력사업(電力事業)은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의 관리와 통제라는 원칙을 유지, 발전시켰다. 에너지의 생산과 배분은 시민들이나 사기업이 관여할 수 없는 국가적 사업이라는 인식과 제도가 20세기 중반 전쟁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전업주식회사(朝鮮電業株式會社)의 형성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1930년대 말부터 등장한 전시체제의 자원관리를 분석하였다. 소위 혁신관료라고 불리는 일제의 전시관료집단은 기존의 시장경제원칙을 불신하고 전쟁의 준비와 승리를 위한 자원관리, 동원체제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그들은 자원과 산업의 개발이야말로 미래전의 승리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믿었고 결국 일제는 민유국영안이라는 전력의 국영화를 이루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낳은 전시자원관리는 해방 이후에도 계속 남한에서 존속하였다. 특히 조선전업은 지속적으로 전력국영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거대국영기업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과 목소리는 미국 측의 민영화 요구와 함께 국영화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한국전쟁 이후 전재복구, 산업개발, 미국원조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정부는 이미 조선전업을 사실상 ‘정부대행기구’로 활용하였다. 1950년대 조선전업은 수력과 화력발전의 복구, 확대를 주도하였고 나아가 원자력발전에도 상당한 관심과 지식을 축적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1940년대와 50년대 전력국영관리체제의 성립과 변화는 상당한 연속성을 보이며 에너지 정책과 개발과정이 갖고 있었던 폐쇄적 성격의 역사적 기원과 변화상을 잘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