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문학 연구 분야 간 학술 논문의 이독성 비교 연구

        김도아 국어교과교육학회 2016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인문학 연구 분야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글쓰기’라는 공통 분모로 묶이는 것에 문제의식을 갖고 인문학 연구 분야 간 학술 논문의 이 독성 차이를 어휘와 문장 복잡도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요인을 검토하였다. 먼저 국어교육 논의에서 이독성 공식 개발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어휘 이독성은 Dale-Chall 공식을 적용하였고, 문장 복잡도는 서혁 (2013)의 체계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Dale-Chall 공식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라 첫째, 이독성이 낮은 역 사학에 작용하는 이독성 요인과 둘째, 연구 분야 내에 이독성 차이 요인, 셋째, 문학과 언어학의 이독성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 넷째, 외국어와 문학 논문의 이독성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논문 이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체적 지식을 요구 하는 고유 명사 요인, 띄어쓰기 요인-개인의 글쓰기 습관, 문학과 언어학- 주제의 차이, 외국어 사용과 학문의 관례’로 제시하였다. 문장 복잡도는 ‘꼬꼬마 한글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 저 문장 복잡도와 Dale-Chall 공식의 서론․본론․결론 분석 결과를 중심으 로 비교하였다. 그 후 인문학 연구 분야 간 문장 복잡도의 차이를 살펴보았 다. 그 결과 어휘의 난도와 문장 복잡도, 문장의 길이 간에 유의미한 관계 가 있었다. 끝으로 이독성은 단순히 양적 측정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양적 측정을 통해 글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를 파악할 수 있고, 글쓰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국어교육에서 이독성을 연구하 는 것은 학습자의 발달에 따른 텍스트를 제시하는 데 중요한 기준을 제시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작업 중 하나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analyzing readability of academic theses among the liberal arts research fields based on the critical mind that liberal arts research fields are combined as a common ground of ‘writing’, and evaluated the factors therein. Firstly, this research reviewed the research on misreading formulation develop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iscussion, based on this, applied Dale-Chall formulation for language misreading, and analyzed sentence complexity based on Seo, hyuk(2013)’s system. As the analysis result by applying Dale-Chall formulation, this research comprehended as follows. First, misreading factors applied to the historical studies with low readability, second, difference factors of readability in the research field, third, factors that bring misreading difference between literature and linguistics, fourth, ‘readability factors of foreign language and literature thesis’. Based on this, this research suggested ‘proper noun factor, spacing factor that require concrete knowledge - individual writing habit, literature and linguistics - difference in theme, custom of using foreign language and study’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is misreading. This research analyzed sentence complexity using ‘Kkokkoma hangul morpheme analyzer’. Firstly, compared based on sentence complexity and introduction․body․conclusion analysis result of Dale-Chall formulation. Then investigated difference of sentence complexity between liberal arts research fields. Accordingly, a significance relation appeared among lexical difficulty level, sentence complexity, and sentence length. In conclusion, readability is not a factor that could be determined by a mere quantitative measurement, however it is significant since it can determine the factor that influences writing by comprehending basic factors that compose writing. Accordingly, research on mis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n essential task, since it can suggest an important standard to suggest a text along with the learners’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부모의 심리적 통제 개정판(PCDS) 타당화 연구

        김도아,최은실 한국발달지원학회 2019 발달지원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PCDS which measure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y adolescents. PCDS designed to focus on the essence of psychological control, which make children feel disrespected by parents. The results from 418 adolescents in high schools revealed as follows. The reliability was good and single factor structure was appropriate.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tion validity was verified by examining correlations with parental support and behaviour control.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also verified by examining correlation with conventional psychological control scale(PCS) and regressions with youth outcomes(Depression, Antisocial behaviour, Self-esteem, Self-worth and Self-derogation). Additionally, the present study was told that PCDS generally accounted for more and unique variance in youth outcomes than PCS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PCDS is more appropriate to measure the essence of psychological control than traditional scal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Barber(1996)가 개발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를 2012년에 개정한 Psychological Control-Disrespect Scale(PCDS)을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척도는 “자녀의 개성을 무시”하는 심리적 통제의 본질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 41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PCDS의 신뢰도(Cronbach’s α), 확인적 요인분석, 구성타당도,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더 나아가 PCDS와 기존 심리적 통제(PCS)의 결과 변인(우울, 반사회적 행동, 자아존중감, 자기가치 및 자기비하)에 대한 예측을 비교하였다. PCDS는 높은 내적 합치도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단일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부모의 지지,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PCDS의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기존 심리적 통제(PCS), 자녀의 결과변인을 통해 준거 타당도 또한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청소년 자녀의 결과변인에 대한 PCDS와 기존 척도 PCS의 예측력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PCDS가 PCS와는 달리 고유의 설명량을 갖는, 의미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존 척도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PCDS가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심리적 통제의 본질을 측정하기에 더 적합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IPL 처리를 통한 고분자 나노구조의 기계적 특성 향상 연구

        김도아,김두인,정명영,Kim, D.,Kim, D.I.,Jeong, M.Y.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20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7 No.4

        논문에서는 고분자 나노구조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광열효과를 이용한 열처리 공정을 응용하여 나노임프린트로 제작된 고분자 나노구조 필름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Hybrid resin과 UV 나노임프린트을 이용하여 저반사 나노구조를 성형하고 IPL (intense pulsed light)를 이용하여 열처리를 수행한 뒤, 제작된 나노구조 필름의 투과율과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여 나노구조의 성형성과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나노패턴의 특성에 의해서 나노구조의 투과율은 550 nm 파장에서 97.6%로 고투과율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IPL을 이용한 열처리를 진행한 경우 Hotplate를 이용한 열처리보다 경도는 0.51 GPa로, 0.27 GPa로 열처리한 시편에 비해 1.8배 향상하였으며, 동일 실험 조건에서 탄성율은 Hotplate 이용 시 4 GPa에서 IPL 이용 시 5.9 GPa로 1.4배 증가하였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photo-thermal effect in order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structure on polymer films made by nanoimprint process with hybrid resin. Nanostructures which have a low refractive characteristic were fabricated by UV nanoimprint and after tha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using IPL (intense pulsed light) under process condition of 550 V voltage, pulse width 5 ms, frequency 0.5 Hz. The transmittance and mechanical property of fabricated nanostructure films were evaluated to observe changes in the pattern transfer rat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structures. The transmittance of the nanostructure was measured at 97.6% at 550 nm wavelength. Nanoindentat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improved anti-scatch properties. Result was compared by the heat source. In case of post treatment with IPL, hardness was 0.51 GPa and in the case of hotplate was 0.27 GPa, resulting the increase of hardness of 1.8 times. Elastic modulus of IPL treated sample was 5.9GPa and Hotplate treated one was 4GPa, showing the 1.4 time increase.

      • KCI등재

        저시력자 크리에이터를 위한 인클루시브 카메라 구조 디자인 연구

        김도아,강수진,안채량,정나은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콘텐츠가 소통의 언어가 되면서 영상 플랫폼은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는 매개체가 되었다. 이에 크리에이터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손쉽게 카메라로 일상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SNS에 공유하고 있다. 카메라는 일상을 담는 익숙한 도구가 되었지만, 시각 요소에 의존하는 카메라의 구조와 비장애인의 시선에서 설계된 카메라는 여전히 저시력자에게 어려운 제품이다. 그러나 이에 관련한 연구가 미비하여 저시력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인클루시브한 카메라 구조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시력자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카메라 사용 경험에 관한 인터뷰를 진행하여 기존 카메라의 촬영 여정별 페인 포인트와 니즈를 발굴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저시력자의 특성을 반영하고 접근성을 개선한 카메라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를 실제 목업으로 제작한 후 제품의 사용성 평가 및 인터뷰를 진행하여 제안한 카메라 구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개선 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저시력자는 보는 영역과 조작 영역을 분리한 카메라의 구조가 편리하다고 답했으며, 이러한 구조가 저시력자에게 접근성이 더 높을 것이라는 연구의 가설을 지지했다. 이는 인터랙션과 보이스오버를 함께 고려해야 하는 터치스크린 방식보다 물리 버튼이 직관적이고 편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촬영 중인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는 구조가 불편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저시력자에겐 오히려 편한 구조였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접근성을 위해 제안되었던 보이스오버와 햅틱과 같은 알림은 촬영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최소화하는 것이 좋으며, AI 기능은 촬영을 고도화하는 기능보다 카메라의 초점이나 수평 등 기본적인 촬영을 보장하는 기능에 집중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도 저시력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제품이 디자인되어 신체적 어려움이 소통의 어려움을 저해하지 않고 누구나 사회의 일원으로서 연결될 수 있는 사회에 기여하길 바란다. As content has become ‘the language’ in our lives, video platforms have become influential mediums for self-expression and connecting with others. Not only creators but also the majority of people are easily capturing their daily lives on camera and sharing them on social media. Cameras have become a familiar tool for capturing everyday life, but cameras that rely on visual elements and are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of non-disabled individuals are still difficult products for people with low vision. However, there is a need for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to communicate with their surroundings through visual media, so research on an inclusive camera structure tha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is necessary.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visually impaired creators to understand their camera usage pain points and needs. Based on this, we proposed a camera structure that reflects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and enhances accessibility. We created a prototype and conducted usability evaluations and interviews to validate and improve the proposed camera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prefer a camera design that separates the viewing area from the operating area. This design improves accessibility for them as physical buttons are more intuitive and convenient compared to touchscreens which requires considering both interaction and voiceover. Additionally, a camera structure that doesn't allow real-time monitoring of the recording was found to be comfortable for visually impaired users. Minimizing notifications like voiceover and haptic feedback is also recommended to avoid interfering with the recording process. Finally, AI functionality should focus on ensuring basic recording features like focus and level without adding complexity.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products design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contributing to a society where anyone can be connected as a member of society without physical difficulties hindering communication.

      • KCI등재

        다양한 눈꺼풀 질환에서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찍어냄생검의 임상적 결과

        김도아,이승현,유혜린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7

        목적: 눈꺼풀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진단 방법 중 외래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찍어냄생검에 대해 소개하고 그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시행하는 찍어냄생검의 시술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2006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본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눈꺼풀 질환의 양상이 비정형적으로 조직 검사가 필요하여 찍어냄생검을 시행하였던 33명을 대상으로 조직학적 소견 및 치료결과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는 총 33명(남:여=12:21)으로 평균 연령 57.27 ± 19.12세였다. 우안 19안(57.6%), 좌안 14안(42.4%)이고, 상안검 15안(45.5%), 하안검 18안(54.5%)이며, 피부 경유는 24안(72.7%), 검판 경유는 9안(27.3%)이었다. 조직학적 검사 결과 양성 21안(63.6%), 악성 12안(36.4%)으로 확인되었다. 양성은 콩다래끼(52.4%), 급, 만성 염증(23.8%), 가시세포증(4.8%), 이소성 첩모(4.8%) 등의 순이었으며, 그 후 치료는 병변 내 스테로이드 주사, 절개 배농 등 보존적 치료가 시행되었다. 악성은 피지샘암(33.3%), 편평세포암(25%), 기저세포암(16.7%) 순이었으며 치료는 수술적 절제,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등으로 진행되었고, 다양한 치료가 이루어졌다. 결론: 찍어냄생검은 눈꺼풀 질환 중 조직학적 진단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외래에서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악성이의심되는 경우에서도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방향 결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화형 에이전트의 선제적 발화에서 호출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과 인식

        김도아 ( Kim Doa ),( Liz L. Chung ),이지은 ( Lee Jieun ),이혜인 ( Lee Hyein ),김아영 ( Kim Ah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4 No.-

        오늘날 대화형 에이전트는 우리의 삶에서 많은 역할로서 수행하고 있으나, 사람의 호출로 이루어지는 후행 발화 방식은 반복적인 호출 경험에 의해 사용성을 저하할 수 있으며 대화의 방식과 흐름에 있어서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에 최근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에이전트의 선제적 발화가 연구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의 선제적 발화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호출하는 방식에 대해 주변, 간접, 직접적으로 정의를 하였으며, 세 가지 발화 방식에 기반한 선제적 발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16명의 피실험자와 Wizard of Oz 실험 방식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의 6가지 시나리오 상황에서 에이전트의 세 가지 선제적 발화 방식이 사용자의 인식과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는 실제 사람 간 상호작용하는 상황과 관계를 연상하여 에이전트의 선제적 발화 방식에 반응하며, 이러한 반응은 개인의 상황과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람 간의 능동적인 소통을 위한 대화 방식 연구의 발전 가능성에 주요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versational agents, commonly known as voice assistants, play a variety of roles in our everyday lives. Their passive nature, limited to responding to user queries based on pre-programmed scripts, however, often leads to user dissatisfaction, and hinders the possibility of natural conversation.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recent research has focused on developing proactive conversational agents capable of initiating conversations with users. In this study, we delved into the various prompts that conversational agents can employ to initiate conversations and proposed an initial prompt model based on three main categories: ambient initiation, indirect initiation, and direct initiation.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involving 16 participants using the Wizard of Oz method,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three types of initial prompts on user experience across six connected daily life scenarios. The results reveal that users respond differently to the three types of initial prompts, not only based on the level of disruption caused but also due to their association with real-life situations and the implicit meaning inherent in human-human interaction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guidelin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roactive conversational agents.

      • 대화형 에이전트의 오류 상황에서 시각적 피드백을 통한 오류 회복 전략 제안

        김도아(Doa Kim),오지원(Jiwon Oh),강수진(Jeannie Ka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대화형 에이전트의 오류 상황에 대해 다양한 오류 회복 전략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시각적인 측면보다는 언어적인 측면에서 연구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그로 인해 대화형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말을 인식하고 있는 정도의 소극적인 시각적 힌트만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오류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화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오류 상황의 대처를 돕는 시각적 피드백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화형 에이전트의 오류 상황을 이해하고, 사람 간의 대화와 사람과 에이전트 간의 대화를 비교하는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CASA 패러다임(Computer Are Social Actors)에 기반하여 언어 및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시각화 필요성을 발굴한 후, 대화 여정별로 오류 상황의 회복을 돕는 시각적 피드백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용자 발화과정에서의 시각적 신호, 둘째, 검색 중인 화면에서의 반영적 경청, 셋째,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의 수정기회라는 시각적 피드백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와 대화형 에이전트 간의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해지길 기대한다.

      • 충무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충무로 인쇄골목 활성화를 위한 영상문화시설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도아(주저자) ( Do Ah Kim ),박가현(주저자) ( Ga Hyun Park ),이형은(주저자) ( Hyung Eun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와 공간디자인간의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한 공간의 리노베이션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문제로 인식되어 강조 되고 있는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그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시도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충무로의 지역과 역사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충무로의 대표 산업인 인쇄와 영화 산업이 쇠퇴되어 있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해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본 결과 리노베이션을 적용한 영상문화시설을 도출해 내었다. 충무로라는 지역의 문제점을 사회문화적 측면과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바라보고 각각의 해결방안을 공간디자인을 적용해 풀어내 지역재생을 도모하고자 한다. 디자인 컨셉은 충무로의 영화산업에서 도출하였으며 공간 계획과 이에 맞는 프로그램은 ‘영상문화시설’이라는 목적에 맞게 구성해보았다. 최종 결과물로는 ‘충무로 르네상스’라는 이름으로 충무로 지역 분석부터 도면, 3D, 모형을 제작하였으며 결과물은 총 A3 20장으로 정리하여 가인 인테리어 공모전에 제본 형태로 제출하였다. Through a convergence project between social problems and space design, the study conducted a project to deal with social issues that loom large in the modern society by renovating a space and solve such social problems. In this project, the study identified the sluggish printing and movie industries, which have been the district’s two most representative industries, as problem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geographics and history of Chungmuro, and suggested the renovation of visual culture facilities as a viable solution to address the problems. This study strives to revitalize the Chungmuro area by viewing it from viewpoints of social culture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applying space design to each solution. The concept of the design was derived from the movie industry of Chungmuro, and the space planning and programs were developed to serve an intrinsic purpose as a ‘visual culture facility.’ As the end results of the project named as ‘Chungmuro Renaissance,’ the analysis of geographics of the area was conducted, and the drawings, 3D layouts and models were produc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to 20 A4 pages, which was bound into a book and then submitted to the Gain Interior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