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ata Visualization in Our Daily life : Case Studies of Exposing Hidden Patterns of Movement

        강수진(Kang Jeanni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1

        We live in an age when information is more prolific and widely available than ever before, and visualizing data and information is getting more popularity due to its impact for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or communication. However, many of Data Visualization exploration has been revolved around the world we are living in from social, political, financi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 rather than individual activity perspective. This paper is dealing with various cases studies to explore how Data Visualization is used to expose hidden patterns of our daily activities, which could be the most mundane activity such as walking, running or sleeping, and provide actionable insight and ultimately enhance our life. As a result, we could also see designing personalized data-driven experiences is empowering user's brand engagement.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치료를 위한 협업 공유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제안

        한지원,강수진,Han, Ji-won,Kang, Jeanni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Recently, due to the temporary closure and isolation of faciliti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the pain suffered by consumers is getting worse, and there is no clear solution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on inpatient servi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ervice system that can prevent institu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for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ystematic inpatient treatment guides, post-discharge management, and correc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guardians. After deriving the needs and improvement factors of consumers through domestic service case analysis, we conducted co-creation with end-users using the double diamond methodology. A possible service concept was derived. Accordingly, a collaborative sharing app service was proposed, and the usefulness of the service was confirmed through the usability evaluation and verific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an assistance system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ward based on user experience.

      • KCI등재

        사용자의 성격이 AI 스피커와의 상호작용에서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과제 및 관계 중심의 대화 유형 중심으로 -

        김의연 ( Kim Eui Yeon ),강수진 ( Jeannie Kang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1 No.3

        AI 스피커 시장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가운데 그 이용 양상은 일방향적인 소통에서 쌍방향적 소통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에서 소통하는 주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사용자 경험이 생김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성격이 인터랙션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 중심 및 과제 중심 대화유형 하에 사용자의 big5 성격 5요인이 AI 스피커에 대한 친밀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친화성, 개방성이 친밀감과의 관계에서 대화유형의 유의미한 조절 효과가 발견되었다. 관계 중심 상황의 경우 친밀감에 대하여 친화성은 부(-)적인 영향을, 개방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과제 중심 상황에서 친밀감에 대하여 친화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개방성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신경성의 경우 유의한 효과는 아니었으나 대화유형에 따라 친밀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위한 AI 스피커와 정서적인 측면의 인터랙션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During the growing market size of AI speakers, their usage patterns are changing from one-way communication to two-way communication. As different user experiences are creat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ng subjec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each user's personality on the interact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user's five personality factors affect intimacy with AI speakers under relationship-oriented and task-oriented conversation types. As a result,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he conversation type was found in agreeable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with intimacy. In the case of relationship-oriented situations, agreeable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intimacy, openness to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and agreeabl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imacy in task-oriented situations, while openness to experience had no effect. In the case of neuroticism, it was not a significant effect, but confirmed the conversation typ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imacy. Based on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multi-faceted researches on the emotional interaction with AI speakers will be conducted for a positive user experience.

      • KCI등재

        인공지능을 활용한 투사적 그림검사 플랫폼에 대한 UX 시나리오 및 개발 방향성 제안

        김은정(Kim Eun Jeong),강수진(Kang Jeannie)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9 No.1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등장하면서,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일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일이 아니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본 연구는 타인에게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는 것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적합한 검사인 투사적 그림검사를 인공지능 기술과 활용하여 검사의 정확성 및 그림해석의 시간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인공지능을 활용한 투사적 그림검사의 피검자와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정량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심리치료에 대한 효과성과 고려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투사적 그림검사의 심리치료 효과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피검자와 그림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개발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투사적 그림검사 중 많이 사용되는 HTP(Home-Tree-Person) 검사를 중심으로 피검자들이 그린 그림을 탐지하고, 그림의 특징들이 갖는 의미를 키워드로 도출한 후, 각 키워드를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해설하는 방식으로 제언하였다. 앞서 진행한 정량적 설문조사와 전문가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검사 선택, 진행, 결과 순으로 사용해보게 하고 관련된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효율성 및 결과 해석에 대한 신뢰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투사적 그림검사를 넘어 심리검사의 다양한 유형과 인공지능의 협력을 통해 상담사와 인공지능이 각자의 강점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피검자의 심리적인 건강 증진을 위해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has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and analyze human emotions, which was once a distant dream.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method of improving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projective drawing tests, which are suitable for people who find it difficult to reveal their inner selves to others, by combining them with AI technology.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therapy using AI through quantitativ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users and experts of AI-powered projective drawing tests. The research findings highlighted the potential benefits and considerations of AI-based therapy, and this study proposes a novel development framework and interface for AI-assisted projective drawing tests to enhance their therapeutic potential for clients using mental health services using mental health services.I suggested that the drawings drawn by people undergoing psychological testing be automatically detected, the meaning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wings be extracted as keywords, and each keyword be explained using generative AI. Th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quantitative survey and expert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earlier were asked to use the test in the order of test selection, progress, and results, and related evalua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this study was able to obtain a positive evaluation in terms of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interpretation of results.This study is expected to stimulate research on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and improving the psychological health of clients using mental health services by employing AI in conjunction with diverse psychological tests and complementing each others strengths through collaboration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 대화형 에이전트의 오류 상황에서 시각적 피드백을 통한 오류 회복 전략 제안

        김도아(Doa Kim),오지원(Jiwon Oh),강수진(Jeannie Ka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대화형 에이전트의 오류 상황에 대해 다양한 오류 회복 전략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시각적인 측면보다는 언어적인 측면에서 연구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그로 인해 대화형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말을 인식하고 있는 정도의 소극적인 시각적 힌트만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오류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화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오류 상황의 대처를 돕는 시각적 피드백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화형 에이전트의 오류 상황을 이해하고, 사람 간의 대화와 사람과 에이전트 간의 대화를 비교하는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CASA 패러다임(Computer Are Social Actors)에 기반하여 언어 및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시각화 필요성을 발굴한 후, 대화 여정별로 오류 상황의 회복을 돕는 시각적 피드백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용자 발화과정에서의 시각적 신호, 둘째, 검색 중인 화면에서의 반영적 경청, 셋째,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의 수정기회라는 시각적 피드백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와 대화형 에이전트 간의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사용자 간 추천을 활용한 OTT 서비스 내 콘텐츠 탐색과 선택 방안 제안

        이수아 ( Lee Su A ),이소미 ( Lee So Mi ),강수진 ( Kang Jeanni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2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2 No.6

        디지털 시대 속 사용자는 많은 양의 정보에 노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생기는 피로감을 줄여주기 위해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OTT 서비스에서도 마찬가지이며 각 서비스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하여 선택을 돕는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넷플릭스 증후군’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난 것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는 여전히 콘텐츠를 선택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OTT 서비스의 콘텐츠 선택 경험에 대해 기술이 아닌 정성적 접근의 필요성, 선택 경험 속 능동성의 필요성, 사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추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실제적인 OTT 서비스 콘텐츠 선택 경험을 얻기 위해 OTT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도출된 UX 인사이트에 따라 사용자 간 경험 기반 추천을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 선택 경험을 제안하였고 주요 상황 시나리오에 따른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OTT 서비스에서 콘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으로 이어지는 사용자 경험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기여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digital age, users are overwhelmed with information. As a solution to this issue, various industries are implementing services that preemptively provide users with useful information. This trend is also apparent in OTT services, where each service offers a recommendation system to help users choose content that suits their preferences. However, many users still struggle with content selection. Our study confirmed that a qualitative approach, rather than just technology,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election experience. We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ser activity in the selection process and the impact of communication between users on content selection. Through interviews with OTT users and affinity diagram analysis, we have proposed a new selection experience based on user experiences and created prototypes for scenarios. And we verified it through Usability Test. We expect that this study positively contribute to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selection process of OTT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