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Utility of Surgical Resection in the Management of Metachronous Krukenberg’s Tumors of Gastric Origin

        김권식,김갑중,Beom Su Kim,Tae Hwan Kim,육정환,오성태,김병식 대한위암학회 2010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10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 significance of metastatectomy for Krukenberg’s tumors of gastric origi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 who underwent gastric surgery from 1992 through 2005, 90 female patients with Krukenberg’s tumors of gastric origin were identifie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prognostic factors,and treatments for primary gastric cancer. We also investigated the prognostic risk factors for the onset of metachronous Krukenberg’s tumors and the survival time of patients who underwent an operation for metachronous Krukenberg’s tumors. Results: The presence of a synchronous Krukenberg’s tumor (mean survival time=17.6 months, P<0.01), peritoneal seeding (14.5months, P<0.01), and non-curative resection (15.1 months,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time in female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 stage of primary gastric cancer (P=0.049) and lymph node metastasis (P=0.011)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recurrence time of a metachronous Krukenberg’s tumor. In the metachronous Krukenberg’s tumor group (n=53), the mean survival time of the metastatectomy group (n=46, 43.2 months, P=0.012) was longer than that in the chemotherapy or conservative treatment groups (n=7 and 24 months, respectively). Metastatectomy, presense or abscence of residual tumor and extent of residual tumor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time in female patients with metachronous Krukenberg's tumor of gastric origin. Conclusions: A close observation and evaluation with ultrasound or computed tomography is necessary in female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o detect a metachronous Krukenberg’s tumor as soon as possible. The surgeon must operate more aggressively in patients with metachronous Krukenberg’s tumors.

      • KCI등재

        복지정책이념과 정책수단 선택에 관한 실증연구

        김권식(Kim, Kwon-sik)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연구주제는 정책수단 선책 영향요인으로서의 이념(idea)에 관한 것이다. 한 정치체계의 이념적 요소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대통령 정책이념, 집권세력의 이념적 정향, 그리고 정치체계의 이념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적 사건 등의 요인들이 특정 정부 시기별로 어떠한 이념적 차이를 야기하며, 이러한 이념적 성향의 특성이 정책수단 선택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 주제의 핵심 주제이다. 이에 따라 역대정부 기간을 산업화 시기(박정희, 전두환 정부), 민주화시기(노태우, 김영삼 정부), 진보정권기(김대중, 노무현 정부)로 구분하여 각 기간별로 정책이념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권기간별 이념의 차이가 실제 정책수단의 선택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Hood의 분류론(NATO 모형)을 기초로 한 다섯가지 정책수단 유형분류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크게 민주화시기를 그 이외의 시기와 비교함으로써 정치체계에 가해진 민주화라고 하는 외생적 충격과 집권세력 및 대통령의 교체라고 하는 정치체계 내부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어떠한 이념적 성향을 형성하며 그 결과 정책수단 선택 패턴에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가설은 진보주의 이념을 표방하고 있는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시기를 다른 정부시기와 비교하는 것으로 대통령 및 집권세력과 같은 정책결정 담당자들의 이념적 성향이 정책수단 선택 패턴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 민주화시기의 정부기간에는 규제의 선택이 산업화시기에 비해 감소하였고, 규제완화가 증가하며 정보적 수단과 조직형 수단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보정권기에 들어서면서 규제의 감소폭이 이전보다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규제완화 증가 경향도 이전보다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정보형 수단의 선택가능성이 다른 시기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민주주의의 심화, 제도화 및 정책과정에서의 시민참여의 활성화로 인한 새로운 정책수단 선택 패턴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welfare policy ideas, using policy instrument taxonomies derived from political science theories. The first research hypothesis is related to the effects of the era of democratization, beginning in 1987. The democratization era includes the periods of both the Roh Taewoo and Kim Youngsam governments, i.e., the Sixth Government and the Civilian Government. The Second hypothesis deals with the matter of welfare policy ideas according to different governmental periods. For this purpose governments which publicly expressed progressive ideas in the field of healthcare policy, i.e.,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governments, are considered to be part of the period of progressive ideas. Empirical analysis are carried out using a binary logit model, and the categories of Hood’s taxonomy (NATO model) are used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policy tool choices before and after democratization; in the era of democratization, regulations decreased, while the types of deregulation, information and instruments increased. This patter of policy tool choice continued to develop as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played out and levels of citizen participation settled down. Secondly, in the era of progressive governments, the process of deregulation continued, while the use of information tools was expanded. This means that the degree of democratization, and settling down of citizen participation impact upon the process of policy tool choi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ory development on welfare policy ideas, and choice of policy tools through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healthcare policy legislative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규제자유특구 사업의 법적 쟁점과 입법 과제

        김권식 ( Kwon-sik Kim ),이광훈 ( Kwang-hoon Lee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2 공공정책연구 Vol.39 No.1

        기술혁신의 물결을 활용하여 사회발전과 경제성장에 선순환 되도록 하는 제도적 틀을 만드는 것이 국가 미래를 좌우한다는 데에 전 세계적인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 각국은 기술 혁명에 걸맞은 제도적 기반을 갖추기 위해 현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법령과 제도가 이를 따라 잡지 못하고 도리어 걸림돌과 장애요인이 되는 제도적 지체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저성장·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해 신제품·서비스의 출시를 막는 규제를 타파하는 개혁이 필요한 시점에서, 기존 지역특구에 규제샌드박스를 접목한 규제자유특구 사업은 비수도권 지역의 혁신성장을 통한 국토 균형발전과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춘 기술혁신이라는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규제자유특구 사업은 기존 규제체계와 다른 접근방식과 내용으로 인하여 현행 법체계상 다양한 쟁점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규제자유특구 사업 시행 초기에 제기되는 다양한 논의를 정리하여 제도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사업의 신청 및 심의 단계와 적용 및 사후관리 단계로 구분하여, 법적 해석상 쟁점사항과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s the creation of an institutional framework that utilizes the wav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o create a virtuous cycle for so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determines the future of a countr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urrently attempting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the existing law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do not keep up with technological changes, and thus institutional reforms are needed to break the regulations that prevent the launch of new products and services. The Special Regulatory Free Zone project, which grafted the regulatory sandbox with the existing regional special zones, is a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innovative growth in non-metropolitan areas, with pursuing the goal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line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 Special Regulatory Free Zone project raises various issue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due to different approaches and contents from the existing regulatory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various discussions raised in the early stag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Regulation Free Zone project were arranged to identify problems and issues regarding legal interpretation and legislative tasks.

      • KCI등재
      • KCI등재

        환경규제 수단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 탐색: 지방분권화, 입법주체 및 규범형식을 중심으로

        김권식 ( Kwon Sik Kim ),이광훈 ( Kwang Hoon L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환경분야 규제 형성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 지방분권화, 입 법주체 및 규범형식 측면의 요인이 실제 규제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 는 규제개혁위원회 등록규제 DB에 등록·공개된 환경부 소관 규제로서 최초 등록 시기부 터 이명박 정부 기간까지의 모든 등록규제(총 867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지방자치제 실시 효과로서 사전승인형 규제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대폭 감소하는 반면에 시장유인 형 규제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뚜렷이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정부에 규제권한이 위임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사전승인형 및 투입형 규제의 선택가능성이 낮아지는 반 면에 성과형 및 시장유인형 규제의 선택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 한편, 해당 규제 근거법 률의 발의주체가 의원입법인 경우에는 정부입법일 경우에 비하여 투입형 규제가 감소하고 시장유인형 규제가 증가하였다. 법률의 형식인 규제일 경우에는 명령, 규칙, 고시 등과 같 은 행정입법의 형식일 경우에 비하여, 명령지시적 규제인 투입형 규제가 감소하는 반면에 비명령지시적 규제인 성과형 규제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 규제의 합리적 개혁을 위해서는 지방자치제도 및 지방분권의 긍정적 효과를 적절히 활용하여 규제제도를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 등록규제들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입 법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행태적 유인과 동기를 고려한 효과적인 규제개혁 방안을 모 색할 것이 요구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ssess the effects of decentralization, bill proposer, and forms of legal norms on the choices of instruments for environmental regulation.The article analyzes all 867 registered regulation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ranging from the 1960s to 2012. The binary logistic analysis results show that various factors affected the types of regulatory tools. First,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since 1991 tends to decrease prior approvals and increase market-based/information tools. Second, regulations mandated to local governments are likely to have less prior approvals/input standards and more output standards/market-based tools. Third, bills proposed b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end to have less input standards and more market-based tools than bills proposed by the president. Fourth and finally, with respect to forms of legal norms, regulations included in acts are likely to have less input standards and more output standards than regulations included in administrative legislation such as presidential decrees, ordinances of prime minister and ministries, and administrative rules.

      • KCI등재

        문화예술 분야 지방재정사업의 성과지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강원도 지역 행사·축제를 중심으로

        김권식 ( Kim Kwon-sik ),이광훈 ( Lee Kwang-hoon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論集 Vol.48 No.1

        지방자치단체별 재정난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방재정 투자사업 예산의 지출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 즉 재정사업을 통해 유발되는 부가가치나 긍정적 편익이 투입된 비용을 정당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증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 행사·축제에 대한 대표적인 원가회계정보인 총원가(총비용), 사업수익, 순원가 등 재무회계정보를 성과정보로 활용하여 행사·축제의 성과를 비교·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차원의 지표를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효과성 지표는 물론, 투입대비 산출의 비율분석를 활용한 단순효율성지표 및 자료 포락분석을 적용한 다중효율성지표의 구분, 그리고 행사·축제가 산출한 직접효과 외에 지역경제에 미치는 간접효과 포함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양한 평가지표들을 검토하였다. 특별히 보조금은 단순히 상위 지자체로부터 이전되는 수입으로서, 지역 행사·축제가 산출하는 성과가 아니라 오히려 순수하게 외부에서 투입된 자원으로 간주하고 보조금을 제외한 성과지표를 제안하였다. 나아가 동지표들을 활용하여 2014년 강원도 내에서 개최된 행사·축제 중 지방재정365 데이터베이스에 공개된 총 47개를 대상으로 성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지역 행사·축제의 성과측정을 위한 다양한 지표들의 필요성 및 활용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financial performance indicators of local events and festivals by using various financial accounting information such as total cost, operating income, net cost. The article attempts to measur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with employing input/output ratio,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article also suggests several performance indicators includ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s well as excluding grants, which can be regarded as input factors instead of output or performance. Using these indicators, the article compares the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of 47 local events and festivals hosted in Gangwon province in 2014. The findings of the article suggest the necessity and applicability of various indicators measuring performance of local events and festiv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