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RD 윤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국내 기업체 HRD 윤리 교육 실태분석

        길대환 한국산업교육학회 2008 산업교육연구 Vol.16 No.-

        이 연구의 목적은 HRD 윤리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국내 기업체의 HRD 윤리 교육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20개 기업의 HRD 담당자 대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HRD 윤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HRD 윤리의 일반적 원리와 표준을 분석하였다. HRD 윤리 관련 연구는 국내외에서 모두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특히 국내의 경 우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가 전혀 없었다. HRD 윤리교육 실태분석 결과 직접적인 HRD 윤리 교육을 실시하는 곳은 20개 대상 중 한 곳으로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업무 수행 중 비형식적인 교육을 하거나 다른 직무교육의 일부분으로 포함시켜 실시하고 있었다. 직접적인 윤리교육 실시가 어려운 이유로는 다른 교 육에 비해 우선순위가 밀리고, HRD 담당자 수가 적어 이들만을 위한 별도의 교육을 마련하 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기업에 적합한 HRD 윤리 강령 및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HRD ethics theory and HRD ethics training in Krean corporate. Research targets were 20 corporate HRD practitioners. They took the interview. Through theoretical study on HRD ethics, general principle and standards of HRD ethics were found. But there was little precedent study on HRD ethic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re was only one corporate which had HRD ethics training programs. Most of research targets trained HRD ethics by OJT or some HRD practitioner training programs included content about ethics.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there should be continuing study which has various research target to identify the standards of HRD ethics in Korean corporate.

      • KCI등재

        기업체 HRD 담당자의 직무교육 요구분석

        길대환,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eeds for HRD practitioners in corporations.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① Identifying directions of HRD ② Identifying HRD practitioner's competencies ③ Identifying training needs of HRD practition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even Korean HRD trends which is organizational needs were found. Eleven roles and twenty two competencies of HRD practitioner were found which were related to organizational needs. And According to questionnaire, organizational change agent w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HRD practitioner and role of analyst, program designer in order.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 most important HRD practitioner's role was organizational change agent and analyst, program designer in order. And information searching and processing competency, investigation and analysis competency, business understanding competency, organization understanding competency, diagnosis and evaluation competency were necessary to perform these roles successfully. So these competencies should be developed preferentially as core competencies. 이 연구는 기업체 HRD 담당자의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① HRD의 방향에 대한 조직 차원의 요구 구명’, ‘② HRD 담당자의 과업 차원의 요구 구명’, ‘③ HRD 담당자의 개인 차원의 요구 구명’의 3단계의 연구절차를 설정하고, HRD 전문가 대상 인터뷰 및 검토, HRD 담당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 대기업의 HRD가 나가야 할 일곱 가지 방향을 도출하여 조직차원의 요구를 구명하였다. 또한 HRD 방향에 따른 HRD 담당자의 11가지 역할과 22가지 역량을 규명하여 과업차원의 요구를 구명하고, HRD 담당자의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교육경험, 역할에 대한 인식에 대한 조사를 통해 개인 차원의 요구를 구명하였다. 그 결과 HRD 담당자들에게 특히 중요한 역할로 조직변화촉진자, 요구분석가, 설계자 역할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역할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필요한 역량으로 정보수집역량, 조사분석역량, 사업이해역량, 조직이해역량, 진단 및 평가 역량으로 나타났다. 이 역량들은 HRD 담당자들의 설문결과 요구도 역시 상위 순위에 위치하고 있어 이 역량들이 HRD 담당자의 핵심적인 역량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들은 HRD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으로 판단되어, 조직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의 영농정착률 제고 방안

        김진모,주대진,길대환,황영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deferred farming practice or the repayment of tuition waivers among the graduates from NCAF(the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2) to establish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ustained farming practice ratio of NCAF graduate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s on NCAF including its internal docum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NCAF graduates who deferred farming practice or paid back their tuition waivers after graduation. And for further analysis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the survey instrument. The responded survey results of 88 out of the total 242 graduates who deferred farming practice or paid back their tuition waiv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three causes of deferring farming practice and paying back tuition waivers were the lack of foundational resource, low farming households income, and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Also, the minor caus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the lack of farming skills and experiences, difficulties in finding a spouse, giving up farming after marriage, and heavy workload in farm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deferring farming practice or paying back of tuition waivers among the NCAF graduates, subject matter experts and the research team established fiv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ustained farming practice ratio: 1) improvement of the freshmen selection system of NCAF, 2) improvement of the start-up support system for farming successors, 3) customization of the farm business start-up funds according to their specialties and major fields of farming, 4) improvement of the obligated farming practice system, and 5) role specification and enhanced liaison among NCA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local governments in supporting NCAF gradua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supporting NCAF graduates’ starting-up farm business and their farming practices. 이 연구는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중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자들의 특성과 원인을 구명하고 이들의 영농정착률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농수산대학 관련 문헌과 내부자료 분석을 통해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 졸업생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원인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중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자 전체 242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조사에 응답한 88명의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영농기반 부족, 농가소득 부족, 부모와의 갈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영농기술 및 경험부족, 결혼문제, 결혼 후 영농이탈·영농노동량과다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한국농수산대학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의 원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진회의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다섯 개의 영농정착률 제고 방안을 수립하였다. 첫째, 한국농수산대학의 신입생 선발 시스템 개선, 둘째, 후계농 창업지원제도 개선, 셋째, 영농현실을 고려한 영농분야 및 전공에 따른 맞춤형 지원방안 수립, 넷째, 영농희망자를 고려한 의무영농제도 개선, 다섯째, 한국농수산대학·농림수산식품부·지방자치단체 등 영농창업 및 정착과 관련된 기관들 간의 지원역할 명확화 및 연계강화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의 영농창업 및 영농정착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수준 진단

        김진모,주대진,길대환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도공무원들의 역량을 진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김진모(2006)가 제시한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모델을 바탕으로 개별 역량의 정의문을 질문문항으로 개발하였고,이를 전체 농촌지도공무원이 역량에 대한 숙련도 수준을 참고하여 각 문항별로 자신의 수준을 자기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우리나라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수준은 개발목표 대비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니었다. 따라서 현재의 역량수준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노력이 조직 및 개인 차원에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 날 농촌지도사업의 성패는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에 따라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연령과 근무기간이 많아질수록 역량지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신규지도사의 선발 이후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조직적 차원의 지원으로는 계층별로 맞춤화된 다양한 역량강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역량진단을 통해 우선적으로 강화시켜야 할 역량들은 기초직무 역량군에 속하는 여러 역량들과 전문직무 역량군의 기술/주제 전문성 등이었다. 이러한 역량들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정규교육만으로는 한계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육성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우선 농촌지도 공무원의 역량 중심 계충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시해야 한다. 또한,농촌지도공무원의 경력개발 체계를 수립하여 실시하고,이들의 부족한 역량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하여 실천하려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etency levels of rural extension workers in Korea.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a Competency Model by Dr. Kim(2006), and a self-test was conducted for all of the extension workers in Kore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ajor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y levels of rural extension workers in Korea were not so high for their development goal. The organizational and personal efforts were urgently made for dramatically raising the present competency level. Second, the higher the age and the working period were, the lower their competency index were. It shows that the organizational support is needed for systematically developing the expertise of rural extension workers after being employed as new rural extension workers. Third, the main competencies that should be first strengthened through competency assessment were several competencies in foundational competency cluster and a subject-matter expertise in technical competency cluster. Various forms of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se competencies should be sought because the only formal training is not enough to effectively develop these competencies. To practically uti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First,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position level for rural extension worker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career development systems for rural extension workers were set up and carried out, and the efforts to develop and apply the various approaches for their insufficient competencies should be made.

      • KCI등재

        농촌지도리더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전이와 전이풍토의 관계

        김진모,이진화,길대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1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f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Korean farmers. Based on the survey of 773 farmers from Korean Advanced Farmer Federation(KAFF), Woman Agricultural Farmer Federation(WAFF), an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Farmer Respondents, the needs for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ncluding program contents, program methods, and program supports were analyzed. The need analysis indicated that farmers need program contents such as managing farm labor resource, managing tools, equipment & supplies, and setting up farm business as well as raising livestock and crop, and marketing; farmers prefer small-size class and field trip with practical instruction; farmers prefer experts understanding their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farmers prefer practice-based program evaluation; farmers prefer short-term and winter season program; farmers are acquiring program information mainly through agricultural officers and mass media; farmers want to be supported with program registration fee and post-program information;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specific needs for program contents, methods, and supports according to farmers' products, managing level, farming career, and gender. 이 연구는 농촌지도리더를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전이 성과와 전이풍토 간의 관계를 구명하고, 훈련 유형에 따라 학습전이와 전이풍토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종속변인으로서의 학습전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총 39개의 전이행동 측정지표를 개발하였다. 독립변인인 전이풍토는 상사의 지원, 상사의 제재, 동료의 지원, 동료의 제재, 변화가능성, 전이기회, 조직보상 등 7개의 하위변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43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55명의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보상을 제외한 7개의 전이풍토 하위변인들과 학습전이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것은 농촌지도리더들이 그들이 학습한 것을 현업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상사의 지원과 제재, 동료의 지원과 제재와 같은 사회적 지원 요소들을 더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전체 학습전이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전이풍토 요소로는 동료의 지원과 전이기회였다. 따라서 학습전이를 촉진하기 위해서 동료 간에 서로의 성과에 대한 지원과 조언을 제공해야 하며, 학습한 것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훈련유형별로 학습전이와 상관이 있거나 예측변인으로 작용하는 전이풍토 요소들은 상이하였다. 이것은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풍토 요소들이 훈련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는 학습전이 전략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농업인의 농업생산 역량 진단도구 개발

        김진모,정철영,주대진,길대환,박종선,송민철 한국농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4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농업인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하는 현 시점에서 농업인에게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능력 및 역량을 표준화하고 농업인의 능력수준을 체계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농업생산 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 전문가 협의회,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23개 품목별 농업인의 성장단계 및 성취기준을 설정하고, 농업생산 역량모델을 개발한 후 이를 토대로 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농업생산 역량모델은 직무분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직무과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역량 및 행동지표를 개발하였다. 역량 진단도구는 자가진단 방식으로 현재수준을 측정하도록 하였으며, 전문가 패널을 통해 설정한 개발목표 및 중요도와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인의 성장단계를 초보자, 준전문가, 전문가의 3단계로 규정하였다. 둘째, 농업인의 성장단계별 성취기준을 품목별로 설정하였다. 셋째, 23개 품목별 직무과제 분석을 통해 농업생산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넷째, 품목별 역량모델의 행동지표를 활용한 문항개발을 통해 농업생산 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There are increasing needs to systematically foster professional farmers who can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t competency standards for farmers and to systematically measure levels of farmers competencies.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farmers agriculture production competenc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ouncil meetings, experts consultation and survey, we set developmental stage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farmers for 23 farming products, developed an agricultural production competency model, and finally developed an agricultural production competency assessment tool. A competency model for agricultural production was developed using job and task analysis, and competency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job analysis result. A competency assessment tool was made to measure farmers’present state of competency level by a self-assessment method and was designed to be able to compare themselves with developmental objectives and level of importance set by the expert pane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Developmental stages of farmers were determined as three levels: beginners, semi-professionals and professionals; 2)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of farmers were set; 3) Agriculture production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using job and task analysis for 23 farming products; 4) Assessment tool for agriculture production competency was developed by developing questionnaire items with competency behavioral indicators.

      • KCI등재

        ISD 모델에 기초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진모,이택선,이경숙,김경란,길대환,김효철,이찬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ISD 모델에 기초하여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으며,이를 위해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 개발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 환경분석,학습자분석,과제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과를 반영하여 ‘안전의식 함양’,‘근골격계질환’,‘농약중독예방’,‘농기계 안전 사용’의 4개 모듈과 10개의 레슨을 설계하였다. 요구분석 및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재/보조 자료/매체를 개발하였다. 교재의 경우,학습자용과 강사용을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에 대한 검토 및 보완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프로그램 시연회를 실시한 후 교육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그 후,농작업안전시범마을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시험 운영하였고,그 결과를 반영하여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또한 이상의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통해 나타난 논점을 토대로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based on ISD Model. We set up 5step(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 for developing the program. After analyzing environment, learner and task, four modules(① Safety and Health Mindset, ②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s, ③ Agrichemical Poisoning Prevention, and ③ Using Farm Machines Safely) and 10 lessons were designed. W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and supplement materials for the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based on need analysis and program design. Teaching materials consisted of the learner's and instructor's. The developed program was examined by expert groups and the weak points were revised through professional workshop. Finally, we tested the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at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model village and fixed the program by reflecting the test results.

      • KCI등재
      • EBS 평생·직업교육 전략

        김진모(Jin-Mo Kim),송병국(Byeong-Kug Song),정진철(Jinchul Jeong),길대환(Dae-Hwan Kil),박종선(Chong Sun Park),이주영(Joo Young Lee),지준오(Jun-Oh Jee) 한국교육방송공사 2011 미디어와 교육 Vol.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EBS의 평생·직업교육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EBS의 평생·직업교육 영역을 설정하였고, 평생·직업교육 내·외부 환경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평생·직업교육 전략 방향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평생·직업교육 관련 문헌연구 및 국외 평생·직업교육 기관의 우수사례 분석을 수행하였고, EBS의 경영진과 실무진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EBS 이해관계자 및 평생·직업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협의회 및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S 평생·직업교육의 영역을 8개의 영역(기초문해교육, 학력보완교육, 직업교육, 문화예술교육, 인문교양교육, 민주시민교육, 건강스포츠교육, 외국어교육)으로 설정하였고, 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25개의 세부영역을 도출하였다. 둘째, EBS의 내부 평생·직업교육 관계자 분석 및 EBS TV, EBS+1, EBS+2, EBS e, EBS FM 등 5개 매체의 평생·직업교육 콘텐츠 분석을 통해 평생·직업교육 예산, 인력, 네트워크 및 협력체계, 영역 별 콘텐츠 비중, 주요 대상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국외 우수 평생·직업교육 기관을 분석하여 평생·직업교육 유관기관과의 협업체계 구축, 체계적 수요자 분석에 기반한 콘텐츠 개발 및 편성전략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EBS의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세 가지 전략 방향(EBS 평생·직업교육 체제 강화, EBS 평생· 직업교육 콘텐츠 강화, EBS 평생·직업교육 매체 및 전달방식 강화)과 각 전략 방향에 따른 11개 전략 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strategies for EBS. For this purpose, we identified domains in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established strategic directions accordingly.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ases analyseis of broadcasting companies in other countries, interviews with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managers and producers, experts consultations and discussions with EBS stakeholders and outside professionals in the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field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eight domains of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such as literacy education, academic ability supplementation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humanities and liberal arts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ealth and sports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were identi¬fied with 25 sub-domains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gram content of the fi¬ve EBS channels (EBS TV, EBS +1, EBS +2, EBS e, EBS FM) and interviews with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managers and producers, it is recommended to secure the budget and human resource, establish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and evenly allocate the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contents through the identified domains. Also, from the review of the case analysis of other countries’ broadcasting companies, it is suggested that EBS establish a partnership with other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and develop contents and programming strategies based on a systematic analysis of its consumers. Third, three strategic directions (improving the system, contents, and delivery methods of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11 strategic tasks were suggested for the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