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수·학습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의 효과적 활용

        이성흠(Lee, Sung-Heum) 한국교육방송공사 2012 미디어와 교육 Vol.2 No.1

        교수·학습과정에서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은 교육의 형식과 틀을 바꾸는 교육개혁에 공헌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학교교육을 포함하여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교육의 규모와 폭을 넓히고 있다. 이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의 교수·학습과정에서 효과적인 매체활용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교수·학습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의 연구동향을 요약하고 인터넷방송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탐구과제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교수·학습매체로서 교육방송의 활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둘째, 통신·방송의 융합과 인터넷방송의 연구동향을 요약하였다. 셋째, 교수·학습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탐구과제는 (1) 기술적인 측면에서 기반시설 확충, (2) 인터넷방송용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3) 상호작용과 사용자 편의성, (4) 교수·학습과정에서 효과적인 인터넷방송 활용을 위한 교사교육, (5) 평생교육에서 인터넷방송의 활용전략 등의 분야로 종합·제시 되었다. 차세대 교수·학습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이 교육의 책무성과 교육력 신장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이론연구에 기초하여 교수·학습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통합·활용되는 실천이 요구된다. Recent developments of educational technologies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have introduced a new element in the form of rapid communication. This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eachers and learners being separated in time and space, even if not necessarily by distance. As new technologies developed, instructional media such as audiotapes, videotape, radio and television broadcasting, and satellite transmission were added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scribe the roles of broadcasting as a medium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summarize the studies of radio and television utilization for the classroom, and to prospect the development of intercasting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order to pro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intercasting utilization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broadcasting were considered and summarized. Broadcasting as an effective medium for teaching and learning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many areas including content, educational method, availability, and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Especially, intercasting offers a unique way for teachers to integrate technology into the curriculum in the networked information society. Teachers with Internet connections will find intercasting an accessible technology for bring the world to their students. Finally, future directions for intercasting research are suggested in the areas of infrastructure, program development, interaction / usability, teacher education, and strategies of utilization for life-long education.

      • 교육방송의 공적 가치와 정체성 비교 분석

        정용준(Yongjun Jung) 한국교육방송공사 2011 미디어와 교육 Vol.1 No.1

        교육방송은 교육개발원 부설의 국영교육방송을 거쳐 2000년대에 교육방송 공사로 정립되었다. 교육방송은 예산도 증가하였고, 교육과 교양다큐를 중심으로 채널정체성도 어느정도 확립하였다. 공영방송의 공적가치로 볼때, EBS는 아일랜드와 같은 국가교육방송모델에서 공영방송채널모델로 이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정이 불안전하고 주변부방송으로 인식되어 교육방송공사로서의 임무와 비전이 불확실한 것도 사실이다. 앞으로 EBS는 교육방송공사법이라는 별도의 법이 아니라 방송법에서 공적 가치가 분명하게 제시되도록 방송법을 개정해야 한다. 또한 수신료 배분비율을 15% 이상으로 하고 상업광고와 출판물 수입을 줄여야 한다. EBS is settled from the state educational broadcasting to public educational broadcasting corporation in 2000. The budget of EBS has increased, and channel identity focused on educational and documentary programme was also somewhat established. EBS, as like the Irish educational broadcasting model, is transitting from the state educational broadcasting to public educational broadcasting corporation. Nevertheless, EBS suffered the financial instability and considerd as the peripherial broadcasting, so it is uncertain as public educational broadcasting corporation’s mission and vision. Hereafter, In the Broadcasting Act, The public value of EBS should be presented clearly. also, It is upgraded the allocation of 15% or more in the license fee, and should reduce the income of commercials and publications.

      • 한국 언론의 교육보도 특성과 뉴스 가치 분석

        손승혜(Seunghye Sohn),황하성(Hasung Hwang),장윤재(Yoonjae Jang) 한국교육방송공사 2011 미디어와 교육 Vol.1 No.1

        한국의 교육 현실은 그 중요성에 대한 높은 관심과 막대한 사회적, 개인적 비용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만족도는 매우 낮고 정책 방향과 효율성에 대한 논란도 끊임이 없다. 언론의 교육보도와 관련된 태도와 시각이 이러한 현실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 현실의 인식과 개선을 위해서는 언론의 책임이 크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언론 교육 보도 형식과 내용, 그리고 뉴스 가치 방식을 분석해 언론 보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간지(조선, 동아, 한겨레)와 지상파 방송(KBS, MBC,SBS) 저녁 종합뉴스의 교육보도 중 총 1,422건의 표본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신문과 방송이 교육 현실의 다양한 대상과 주제들에 대한 균형잡힌 보도와 체계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비리/사건 중심의 부정적 시각이나 홍보와 소개 기사들을 경쟁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라는 시각으로 제공함으로써 구성원들의 교육 현실 이해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육 현실의 개선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이고 합리적인 교육 정책과 실행 방식의 수립과 평가에 기여할 수 있는 언론의 다양한 형식, 내용, 시각의 교육보도 실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Due to high social and individual costs,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have always been a target for strong criticism among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Since it is strongly believed that mass medi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our attitudes and perspectives on educational issu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reporting in order to improve our education systems. This research explores the current status of news reporting on educational issues by analyzing the content, formats and news values of education coverage of major mass media.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422 education news articles from three newspapers(Chosun Ilbo, Dong-A Daily News, and Hankyoreh Shinmun), and evening news programs of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KBS 1, MBC, SB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a number of problems in current education reporting via major news media outlets. Firstly, with respect to format, educational issues are delivered mainly in straight, outbreak reporting format with little in-depth analysis or discussion. Furthermore, educational issues are rarely front page news indicating a lack of emphasis by major media outlets. Secondly, in terms of topics and target demographics, the analysis shows a number of significant problems in the methods newspapers and TV news use to convey educational issues. While newspapers allow for a substantial amount of their pages for PR/ introduction stories, TV media outlets cover information relating more to accident/corruption issues. Interestingly, both newspapers and TV news pay greater attention to secondary schools with a strong focus on college entrance processes. Finally, the analysis of news values also show a strong concentration on the specific aspects of education reporting; newspapers deliver PR/introduction stories mainly with a frame of ‘usefulness’ value, while TV news frame the accident/corruption stories with ‘negativity’ value. The research results highlight the limited role of Korean mass media in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and balanced perspectives on educational iss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better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education reporting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systems in our society.

      • 시각장애인의 교육방송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최은경(Choi, Eunk-Young) 한국교육방송공사 2012 미디어와 교육 Vol.2 No.2

        본 연구는 최근 교육 복지와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을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다. 특히 교육 복지에 대한 권리를 누릴 수 없거나, 제한적으로 누리고 있는 장애인을 위해 교육방송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제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 방송 소외계층 지원 정책을 조사했으며, 특히 화면해설방송의 정의와 화면해설방송 지원 정책을 검토한 후, 교육방송의 해면해설방송 서비스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영국의 화면해설 방송 정책과 현황에 대해 데이터 분석 및 심층면접을 통해 국내 사례와 비교함으로써 함의를 도출해보았다. 연구 결과 최근 장애인방송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늘어나면서 국내 유일한 교육 방송인 EBS의 장애인 방송 편성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면해설방송은 제작에서부터 사회적, 문화적, 기술적 특수성이 신중히 고려되어야 하며, 우리 교육 현실에 맞는 전문 제작 시스템을 개발해야한다. 그리고 교육 복지의 실천 방안으로 교육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구체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audio description services its role in reinforcing educational broadcasting specially the digitalized broadcasting scenario. It is clear that the digital divide and the knowledge gap pose significant hurdles towards universal access of broadcasting services specially among vulnerable and socially weaker sections of the society. In particular, visually impaired people are the most disadvantaged when it comes to consuming broadcast content. He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broadcasting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visually impaired consumers. The study then goes on to specically analyse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regarding the production of broadcast content with audio description and its pertinent issues. A comparative study is also made with audio description services currently in place within the UK. The motivation behind this comparison is the fact that the UK introduced such services almost a decade ago. Within Korea,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 (EBS) is entrusted with the responsibility of providing educational broadcasting. However, the production and incorporation of audio description services within educational broadcasting are a necessity although this involves extensive consideration of various techn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Considering such a scenario, the availability of similar services in the UK and its wide reach and acceptance, can serve as a baseline, which Korea can adapt. It is envisaged that designing an appropriate policy around this baseline can serve as a very effective mechanism in order to not only ensure wider acceptance of educational broadcasting services but also overcome the digital divide.

      • 준사회적 교육지원 모델로서 ‘IPTV 공부방’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정원조(Jeong, Won-Jo),윤익한(Yoon, Ik-Han),김동우(Kim, Dong-Woo) 한국교육방송공사 2013 미디어와 교육 Vol.3 No.2

        시장화, 다원화되는 사회에서 부모의 경제 수준이 자녀의 학업 수준으로 이어지는 불평등의 고착화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방안의 모색은 국가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토대로, 본 연구는 ‘교육 소외(educational alienation)’라는 개념을 통해 정부와 민간 영역 간 협력 모델로서 IPTV 공부방이 무상으로 빈곤층 학생들의 교육격차 해소와 교육기회를 확대해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IPTV 공부방 운영 사례의 현황을 검토하고 준사회적 교육지원 모델로서 IPTV 공부방이 갖는 함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IPTV 공부방에서 이뤄지는 무상 교육 서비스가 교육격차 해소와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영상의 개선사항으로는 지역아동센터의 만성적인 재정악화로 인하여 시설 및 교사, 교재 지원 등이 필요하고, 양방향 IPTV 교육 콘텐츠의 보급, 확대가 요구되었다. 결론적으로, 빈곤층 학생들이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으로부터 소외되는 현실에 개입하는 방안으로서 그리고 준사회적 교육지원 모델로서 IPTV 공부방이 정착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지속적인 복지예산의 확충과 민간 차원에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지역별 공민영 네트워크의 구축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the society of marketization, diversification, the economic level of parents is directly connected to children’s academic level. To find a way to resolve these kinds of inequality is expanding from society to nation’s level. In basis of this reality,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Educational Alienation’that ‘IPTV study room’which is cooperative model between the government and public sector has filled in gaps in education and expanded the education opportunities to students in low-income group for free of charge. This research reviewed the case of IPTV study rooms and analyzed the meaning as a parasocial model of supporting education. In result of analysis, free education service in IPTV study room is contributing on resolving the gaps in education and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IPTV study rooms are required some improvements in terms of its operation. First of all, it needs Facilities, teachers and teaching materials because of chronically aggravation of financial condi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s. Secondly, it is required to expand and supply interactive IPTV educational content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continuously expansion the welfare budget from a local government and the necessity of regional public network construction which is able to lead an active participation from a private sector. This is finally for settling down IPTV study room as a parasocial model of supporting education, an intervention way for poor students to be isolated from educational environment, contents and methods.

      • EBS 평생·직업교육 전략

        김진모(Jin-Mo Kim),송병국(Byeong-Kug Song),정진철(Jinchul Jeong),길대환(Dae-Hwan Kil),박종선(Chong Sun Park),이주영(Joo Young Lee),지준오(Jun-Oh Jee) 한국교육방송공사 2011 미디어와 교육 Vol.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EBS의 평생·직업교육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EBS의 평생·직업교육 영역을 설정하였고, 평생·직업교육 내·외부 환경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평생·직업교육 전략 방향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평생·직업교육 관련 문헌연구 및 국외 평생·직업교육 기관의 우수사례 분석을 수행하였고, EBS의 경영진과 실무진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EBS 이해관계자 및 평생·직업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협의회 및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S 평생·직업교육의 영역을 8개의 영역(기초문해교육, 학력보완교육, 직업교육, 문화예술교육, 인문교양교육, 민주시민교육, 건강스포츠교육, 외국어교육)으로 설정하였고, 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25개의 세부영역을 도출하였다. 둘째, EBS의 내부 평생·직업교육 관계자 분석 및 EBS TV, EBS+1, EBS+2, EBS e, EBS FM 등 5개 매체의 평생·직업교육 콘텐츠 분석을 통해 평생·직업교육 예산, 인력, 네트워크 및 협력체계, 영역 별 콘텐츠 비중, 주요 대상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국외 우수 평생·직업교육 기관을 분석하여 평생·직업교육 유관기관과의 협업체계 구축, 체계적 수요자 분석에 기반한 콘텐츠 개발 및 편성전략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EBS의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세 가지 전략 방향(EBS 평생·직업교육 체제 강화, EBS 평생· 직업교육 콘텐츠 강화, EBS 평생·직업교육 매체 및 전달방식 강화)과 각 전략 방향에 따른 11개 전략 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strategies for EBS. For this purpose, we identified domains in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established strategic directions accordingly.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ases analyseis of broadcasting companies in other countries, interviews with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managers and producers, experts consultations and discussions with EBS stakeholders and outside professionals in the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field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eight domains of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such as literacy education, academic ability supplementation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humanities and liberal arts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ealth and sports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were identi¬fied with 25 sub-domains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gram content of the fi¬ve EBS channels (EBS TV, EBS +1, EBS +2, EBS e, EBS FM) and interviews with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managers and producers, it is recommended to secure the budget and human resource, establish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and evenly allocate the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contents through the identified domains. Also, from the review of the case analysis of other countries’ broadcasting companies, it is suggested that EBS establish a partnership with other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and develop contents and programming strategies based on a systematic analysis of its consumers. Third, three strategic directions (improving the system, contents, and delivery methods of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11 strategic tasks were suggested for the EBS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조상식 한국교육방송공사 2016 미디어와 교육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다보스 포럼’의 의장이자 이 그룹을 이끌고 있는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의 『제4차 산업혁명』에서 제시된 미래 진단을 참조하면서 그 교육적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분석을 통하여 미래 교육을 조망하면서 그에 뒷받침되는 교육철학적 원칙 및 기초가 무엇인지 탐색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미래혁신교육에서 여전히 지지될 수 있는 교육철학적 방안으로 탈교과적 일반능력으로서 역량, 비선형적 · 다차원적 학습모형, 과정중심평가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변화하는 실재를 개방적으로 반영하되, 이를 교육적 안목에서 비판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인재상을 제안하였다. 그로부터 논문은 그 기반이 되는 교육철학적 원칙으로서 신(新)목적률(new teleonomy)에 입각하여 미래의 급변하는 사회상에 개방적이면서도 동시에 안정된 교육철학적 가치 확립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교육 전문 방송기관으로서 EBS의 주제 아이템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교육제도, 교육과정, 교육문화, 교육철학 및 가치 등의 차원에서 제안하고 있다.

      • 조기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EBS의 역할과 과제

        장명림(Chang, Myung-Lim) 한국교육방송공사 2012 미디어와 교육 Vol.2 No.2

        본 논문에서는 5세 누리과정의 제정 배경 및 정책적 의미를 살펴보고, 취학전 출발점 평등을 실현을 위한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 가정과 유아 지원 강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 TV 유아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고, 외국 방송사의 교사 및 부모 지원 우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교육격차 해소 및 유아교육 복지강화를 위한 국가 공영 교육방송으로서 EBS의 역할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과제로는 첫째, 3∼5세 누리과정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누리과정의 영역 내용 및 생활주제를 균형 있게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누리과정의 이해 및 가정과의 연계 지도 방법 등이 포함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조기 유아교육 격차 해소 및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EBS의 유아교육 자료 제공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인터넷 홈페이지를 보다 체계화·전문화하고, 시청자(부모 포함)들의 다양한 의견과 요구를 수렴하여 프로그램의 질과 만족도를 제고해야 한다. 다섯째,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활용하여 방송 - 부모 간, 부모 - 부모 간의 소통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유아 프로그램 자문위원단 및 기획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을 강화해야 한다. 일곱째, EBS와 유아교육 지원 기관들과 긴밀한 연계 지원으로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In Korea, starting March 2013, any children aged 3 to 5 who enroll in either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will be provided with the ‘Nuri Curriculum for 3 to 5 year olds’. This paper contains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Next, the need of governmental support towards the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nd vulnerable social groups to ensure equal starting point for primary school is considered. In this regard, characteristics of current television programs for preschoolers provided by Korea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EBS) were analyzed. Moreover, several outstanding examples of foreign broadcasting stations in terms of teachers and parents supporting system were also analyze. Last, the roles and challenges of EBS as a Korea public broadcasting station are proposed in order to reduce the education gap among preschoolers and to carry out strength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학교 미디어교육 도입 평가와 활성화 방안 연구

        정미정(Joung Mi-Joung),한찬희(Han Chan-Hee) 한국교육방송공사 2013 미디어와 교육 Vol.3 No.1

        이 연구는 경기도 내 학교 미디어교육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진행됐다. 그동안 관련 학계와 시민사회 영역에서 미디어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여러 논의를 진행해왔다. 일선 교사들도 미디어교육을 교과목에 접목해 실시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둬왔다. 이제 미디어교육은 특정한 매체 중심의 교육에서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행동 양식의 교육으로 학습의 방향을 선회하고 있다. 자라나는 세대들이 민주시민으로 양성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 소양과 능력을 개발시키는 미디어교육은 제도적인 공교육의 일환으로 실행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학교에서 실제로 미디어교육을 지도하고 있는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경기도 내일선 학교에서는 미디어교육은 충분히 정착되었다고 평가하기 어려우며 여러 방면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기도 내 미디어교육의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 몇 가지 과제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of activation and introdu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Meanwhile, there has been various discussion for the activ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area of related academia and civil society. Also, teachers in the fields have achieved the desired outcomes by integra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with previous subjects. Through discussion of relevant researchers and teachers, media literacy education have explored a new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concept and the shift of paradigm.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media literacy education, since it has not been established into current curriculum. Moreo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institutional support in real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need for media literacy for young children to develop their communication literacy and ability as democratized citizens has been continuously brought up to question. Therefore, in order to explore direction of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for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hich have motto of creative intelligence. Results revealed that front lin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have not established media literacy education. Also, it is found that those schools require vast support in many way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rew some tasks for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Gyeonggi Province.

      • 지역방송사 종사자의 직업만족도 요인이 조직 전념에 미치는 영향

        김인경(Kim, In-Kyung) 한국교육방송공사 2012 미디어와 교육 Vol.2 No.1

        본 연구는 미디어 융합 환경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방송사 구성원의 조직 전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지역방송의 문제를 방송 산업 및 시장 구조적 차원에서 해결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역방송 발전을 위한 전략적 방안 제시가 아니라 미래 방송환경에 대비 하고자 조직의 내적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직업만족과 조직 전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에 지역방송 종사자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역에 대한 관심, 언론기능, 중앙 통제, 인적자원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지역방송 종사자들의 직업만족도가 조직 전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지역관심, 언론기능, 자율성이 지역방송 종사자들의 직업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앙에서의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방송사 구성원들이 인지하는 직업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만족도는 조직 전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이 조직 전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which experiencing severe problems under the media convergence environment. So far, many preceding studies have argued that the problems of local broadcasting have to be solved from the aspect of broadcasting industry and market structure. However, this study presented not a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broadcasting but a discussion on job-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ere necessary to prepare for future broadcasting environment. For this, such influential factors upon local broadcasting company employees’ job-satisfaction as interests in communities, media functions, central controls and human resources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local broadcasting company employees’ jobsatisfaction up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xamined. Study findings show that interests in communities, media functions and selfregulation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local broadcasting company employees’ job-satisfaction. In particular, when the extent of central controls was higher, local broadcasting company employees’ perceived job-satisfaction was lower. In addition, job-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all the influential factors upon job-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