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Intracellular Invas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gainst Human Gingival Fibroblasts

        김강주,정규용,Kim, Kang-Ju,Jung, Kyu-Yong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2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2 No.3

        황색 포도상구균은 급성 구강 감염에 있어서의 병원균이다. 그러나 그러한 황색 포도상구균의 병원성 기전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 이전 실험에서 황색 포도상구균의 단백질 A와 골격근의 액틴 필라멘트는 인체 상피 세포로의 황색 포도상구균의 침입에 관여한다. 구강 내 감염에 있어서의 황색 포도상구균의 병원성 기전을 조사하기 위해 인체의 치은 섬유모 세포에 대한 침입이 연구되고 있다. 급성 구강 감염을 가진 환자로부터 분리된 ATCC 25923 황색 포도상구균과 OPT 2 황색 포도상구균의 침입은 시간(0-120분)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60분을 초과하는 배양시간은 다시 배양된 균집락수 증가를 가져왔다. 배지에 접종한 세균의 숫자가 증가할 때 (100?10,000,000 cfu/ml/well),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단백질 A가 결핍된 Wood 46 황색 포도상구균의 침입은 단백질 A가 발현된 균주(ATCC 25923과 OPT 2)의 침입보다 훨씬 낮았다. 액틴 필라멘트의 합성을 방해하는 Cytochalasin D는 인체 치은 섬유모세포로 황색 포도상구균 (ATCC 25923과 OPT 2)이 침입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러한 결과는 구강내 감염을 일으키는 황색 포도상구균의 병원성 기전이 세포내 침입에 관여하고, 황색 포도상구균 단백질 A와 골격근의 액틴 필라멘트가 인체 치은 섬유모세포로의 황색 포도상구균의 침입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사람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HEp2 세포에서 BCH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기전

        최봉규(Bong Kyu Choi),정규용(Kyu Yong Jung),조선호(Seon-Ho Cho),김춘성(Chun Sung Kim),김도경(Do Ky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5

        사람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HEp2 세포를 이용하여 아미노산 수송계 L 억제제인 BCH의 암세포 성장억제에 미치는 효과와 세포성장 억제기전을 밝히기 위해 HEp2 세포에서 uptake 실험, MTT 분석, DNA fragmentation 분석 및 immunoblotting 등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미노산 수송계 L 억제제인 BCH는 L-leucine uptake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IC50은 51.2±3.8 μM로 산출되었다. BCH는 HEp2 세포의 성장을 시간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BCH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DNA fragmentation 현상은 볼 수 없었다. BCH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procaspase-3과 procaspase-7의 proteolytic cleavage 현상은 볼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사람 두경부 편평세포 암종 HEp2 세포에서 아미노산 수송계 L 억제제 BCH는LAT1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성장에 필수적인 L-leucine 등 중성아미노산의 세포 내 고갈을 유도함으로써 HEp2 세포의 성장억제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mino acid transporters are essential for the growth and proliferation in all living cells. Among the amino acid transporters, the system L amino acid transporters are the major nutrient transport system responsible for the Na+-independent transport of neutral amino acids including several essential amino acids. The L-type amino acid transporter 1 (LAT1), an isoform of system L amino acid transporter, is highly expressed in cancer cells to support their continuous growth and proliferation. 2-Aminobicyclo-(2,2,1)-heptane-2-carboxylic acid (BCH) is a model compound for the study of amino acid transporter as a system L selective inhibitor. We have examined the effect and mechanism of BCH on cell growth suppression in HEp2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The BCH inhibited the L-leucine transpor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a IC50 value of 51.2±3.8 μM in HEp2 cells. The growth of HEp2 cells was inhibited by BCH in the time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The formation of DNA ladder was not observed with BCH treatment in the cells. Furthermore, the proteolytic processing of caspase-3 and caspase-7 in the cells were not detected by BCH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CH inhibits the growth of HEp2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through the intracellular depletion of neutral amino acids for cell growth without apoptotic processing.

      • KCI등재후보

        아래 눈꺼풀에 발생한 원발성 피부 점액성 에크린 암종 1예

        용민준(Min Jun Yong),신혜경(Hea Kyeong Shin),정규용(Kyu Yong Jung),장태정(Tae Jung Jang),이준호(Joon Ho Lee)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2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9 No.1

        Mucinous Eccrine carcinoma (MEC) is a rare malignant tumor related to the eccrine sweat gland and is commonly located on the face, especially around the eyelids and scalp. Most of these tumors are diagnosed at age 40’s to 60’s and exhibit a wide variety of patterns in addition to the general appearance previously reported. MEC is difficult to diagnose clinically, but can be diagnosed by accompanying biopsy. We present the case of a 75-year-old man who complained of a gradually growing Left lower lid tumor of duration one year. Initially, the tumor was mistaken for an epidermal cyst and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However, biopsy findings resulted in a diagnosis of Mucinous Eccrine carcinoma. Therefore, we performed wide excision and flap reconstruction surgery. In a one year follow-up examination, the patient achieved successful functional and aesthetic results without regional or distant metastasis and recurrence.

      • KCI등재후보

        랫드에 있어서 키토산이 납중독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

        권오덕(Oh-Deog Kwon),정규용(Kyu-Yong Jung) 한국독성학회 2003 Toxicological Research Vol.19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tosan on lead metabolism in SD rats. Ten male rats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rats were administered by water contaminated with 100 mg/l of lead for 4 weeks, respectively. Experimental group received diets supplemented artificially with 5% of chitosan for 4 weeks. Body weight change, food and water consumption, fecal and urinary excretion, and fecal and urinary lead excretion were measur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food<br/> and water consumption, and fecal and urinary excretion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fecal lead excretion of rats fed the diet containing 5% of chitosan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ereas urinary lead excretion of rats fed the diet containing 5% of chitosan we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chitosan prevents the gastrointestinal lead absorption in rats.

      • KCI등재

        아미노산 수송체 TAT1에 의한 방향족 아미노산의 수송특성

        김윤배(Youn Bae Kim),최봉규(Bong Kyu Choi),김종근(Jong Keun Kim),정규용(Kyu Yong Jung),김명수(Myong Soo Kim),윤정훈(Jung Hoon Yoon),박주철(Joo Cheol Park),국중기(Joong Ki Kook),정해만(Hae Man Jung),김생곤(Saeng Gon Kim),최은상(Eun S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5

        hTAT1에 의해 수송되는 방향족 아미노산들의 수송특성을 밝히기 위해 hTAT1의 cRNA를 미세주입한 Xenopus laevis oocyte에서 hTAT1에 의해 유도되는 방향족 아미노산의 uptake를 여러 조건 하에서 관찰하였다. hTAT1은 L-[¹⁴C]tryptophan의 uptake를 유도하였으며, 그 uptake는 Na^+-과 Cl^--비의존적이었다. hTAT1은 L-[¹⁴C]tryptophan의 uptake를 시간-의존적으로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hTAT1에 의한 L-[¹⁴C] tryptophan의 uptake는 방향족 아미노산인 phenylalanine, tyrosine 및 tryptophan에 의해서 억제되었으며, hTAT1에 의한 아미노산들의 uptake 실험에서 L-[¹⁴C]phenylalanine, L-[¹⁴C]tyrosine 및 L-[¹⁴C]tryptophan의 수송을 확인하였다. hTAT1에 의한 L-[¹⁴C]tryptophan의 uptake는 포화되었으며, K_m치는 452.2±27.8 μM, V_max 값은 2.1±0.3 pmol/oocyte/min이었다. L-[¹⁴C]tyrosine 및 L-[¹⁴C]phenylalanine의 K_m치는 각각 636.3±59.4 μM과 740.5±96.7 μM이었다. 실험용액의 pH 5.5에서 8.5까지의 변화는 hTAT1에 의한 L-[¹⁴C]tryptophan의 uptake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hTAT1의 cRNA를 미세주입한 oocyte에서 배양시간 의존적인 L-[¹⁴C] tryptophan의 efflux를 볼 수 있었으며, 이 efflux는 oocyte 외 용액의 tryptophan 존재 유무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hTAT1이 상피세포로부터 혈류로의 방향족 아미노산의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type amino acid transporter 1 (TAT1) is a Na^+-independent amino acid transporter which selectively transports aromatic amino acids subserving the amino acid transport system T. To understand the transport properties of aromatic amino acids by human TAT1 (hTAT1), we have examined the hTAT1-mediated aromatic amino acid transports using a Xenopus laevis oocyte expression system. When expressed in Xenopus laevis oocytes, hTAT1 induced L-[¹⁴C]tryptophan transport which was not dependent on Na^+ or Cl^- in the medium. Uptake was timedependent and exhibited a linear dependence on incubation time up to 30 min. The L-[¹⁴C]tryptophan uptake was highly inhibited by L-isomers of tryptophan, tyrosine and phenylalanine, whereas other L-amino acids did not inhibit hTAT1-mediated L-[¹⁴C]tryptophan uptake. The hTAT1 induced the relatively low-affinity transport of aromatic amino acids such as L-[¹⁴C]tryptophan, L-[¹⁴C]tyrosine and L-[¹⁴C]phenylalanine (K_m values: 450~750 μM), consistent with the properties of classical amino acid transport system T. The L-[¹⁴C]tryptophan uptake did not show any remarkable pH dependence within the pH range of 5.5 to 8.5. The time-dependent efflux of L-[¹⁴C]tryptophan was detected from the oocytes expressing hTAT1, which was not affec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L-tryptophan in the extracellular medium, indicating that hTAT1-mediated transport is due to the facilitated diffusion. Expression of hTAT1 in Xenopus laevis oocytes induced the transport of tryptophan, tyrosine and phenylalanine, indicating that hTAT1 is a transporter subserving system 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TAT1 has essential roles in the absorption of aromatic amino acids from epithelial cells to the blood stream. Because hTAT1 is proposed to be crucial to the efficient absorption of aromatic amino acids from intestine and kidney, its defect such as blue diaper syndrome could be involved in the disruption of aromatic amino acid transpor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흰쥐에서 스트레스가 불안 및 공간지각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진훈(Jin Hoon Lee),이준호(Jun Ho Lee),최근한(Keun Han Choi),김원정(Won Jung Kim),이수진(Su Jean Lee),정지혜(Ji Hye Jung),문성근(Sung Keun Moon),정규용(Kyu Yong Jung),최봉규(Bong Kyu Choi),이서울(Seoul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2

        개체가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스트레스에 의한 감정과 신체의 대응에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반복되어지는 구금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초래되는 행동변화를 관찰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신체의 대응양상으로서 선천적 행동(innate behavior)과 학습과 기억(learning and memory)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9주령 수컷 흰쥐(Sprague-Dawley)를 이용하여 7일 동안 연속적으로 하루 6시간씩 구금 스트레스(restraint stress) 환경에 노출시킨 스트레스군(Stressed group)은 정상적인 사육조건에서 사육된 대조군(Control group)에 비해 개체의 성장추세가 지연되었다. 구금 스트레스 노출 직후 흰쥐의 편도(amygdala)에서 NADPH-diaphorase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뇌 산화질소생성효소(nNOS) 활성을 관찰한 결과 스트레스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 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동일한 스트레스에 노출 직후 흰쥐의 개방공간 탐색행동 검사(open-field exploratory behavior test)를 시행하였다. 개방공간에 최초 노출된 경우 스트레스군의 보행활동도(ambulatory activity)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으나, 개방장소 탐색활동도 측정을 통한 탐색 영역 분석 결과, 스트레스군의 경우 개장공간의 중앙영역에서 나타나는 탐색행동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이후 3일 동안 반복하여 동일한 탐색활동도 측정 장치에 노출시킨 경우, 스트레스군의 보행활동도는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스트레스 환경은 흰쥐에서 편도의 산화질소 생성효소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불안을 표출하는 행동양식의 변화를 수반하였다. 본 연구에서 반복되는 스트레스는 선천적 행동양식의 변화를 초래하였지만, 공간지각에 대한 학습과 기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environmental stress may produce to behavioral changes. In this study using a rodent stress model that exposure to the repetitive restraint stress elicits behavioral alterations, especially changes the patterns of the innate behavior but not the contextual memory and learning abilities. Nine weeks old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given the restraint stress (the stressed group) for 6 hours per day for seven consecutive days. The stressed rats were indicated the retarded development within the stressed-s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osure to restraint stress for seven days, the rats" brains were performed to the NADPH-diaphorase stain on the limbic region of the brain. In the stressed animals have increased the counts of the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active neurons in the central amygdala of the brain. For behavioral assessments, animals were subjected to the exposure to novel environment-open-field apparatus-in order to examining the exploratory behaviors especially the ambulatory activity after the stress paradigm. The stressed animals indicated a significantly higher ambulatory activity for 5 min compare to the control animals. Moreover, the zone analysis of the tracking of exploration in open-field monitoring system, the stressed rats were a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activities in the center of arena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However, the stressed rats were repetitively exposed to the same arena at once per day for 3 consecutive days, which ambulatory activity did attenuate to the control levels 3 days after explor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counts of the nNOS reactive neurons in the central amygdala area due to the experience of repetitive stress paradigm can alter the eliciting pattern of the innate behavior and which has not been modulate the contextual learning and memory functions of the brain. (Korean J Str Res 2011;19:107∼114)

      • KCI등재

        Streptozotocin - 유도 당뇨모델을 이용한 쥐눈이콩 분말의 혈당강하 및 인슐린 감수성의 효과

        이대훈(Dae-Hoon Lee),곽동훈(Dong-Hoon Kwak),김성민(Sung-Min Kim),주은진(Eun-Jin Ju),최한길(Han-Gil Choi),김옥희(Ok-Hee Kim),황진봉(Jin-Bong Hwang),배남궁(Nahm-Gung Bae),정규용(Kyu-Yong Jung),한진철(Jin-Chul Han),박흠대(Hum-Dai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10

        본 연구에서는 임실특산물인 쥐눈이콩및 쥐눈이식초콩의 혈당강하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효과를 검정콩, 메주콩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식이물질의 성분검사 결과 쥐눈이콩과 쥐눈이식초콩이 검정콩과 메주콩에 비하여 당뇨개선의 효과가 있는 여러 아미노산 및 식이섬유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실험을 위해 평균체중 195.5±0.98 g의 숫컷쥐를 정상군(NC), 당뇨대조군(DI, DC), 검정콩식이군(DB), 메주콩식이군(DY), 쥐눈이콩식이군(DS), 쥐눈이식초콩식이군(DSS)으로 총 7개군으로 나누어 해당식이첨가 시료로 4주간 사육하였다. 당뇨유발을 위해 STZ를 1회(70 mg/kg/rat) 투여하였으며 그 결과 체중변화는 당뇨대조군(DC)에서 21.12 g 감소함에 반하여 각각의 시료를 첨가식이한 당뇨실험군에서 특히 쥐눈이콩(DS)과 쥐눈이식초콩(DSS) 식이군은 높은 식이이용 효율(FER)을 보여 각각 14.73±3.65 g 및 16.71±5.54 g의 몸무게 증가를 보였다. 음용수 및 뇨량의 측정결과 역시 당뇨실험군에서 유의적인 감소(p<0.05)를 보였다. 혈당량은 당뇨대조군(DC)에 비하여 검정콩(DB), 메주콩(DY), 쥐눈이콩(DS), 쥐눈이식초콩(DSS) 식이군이 각각 17.9%, 16.9%, 10.35%, 19.54%씩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정상대조군(NC)보다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당뇨쥐의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관찰결과 당뇨대조군 중 인슐린 무처지군(DC)에 비하여 모든 당뇨실험군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임실산 쥐눈이콩과 쥐눈이식초콩은 당뇨쥐의 혈당강하 및 인슐린감수성에 대한 개선작용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당뇨합병증 예방의 기능성 식품으로 기대된다. Beans are acknowledged to be food resources, which have more abundant proteins and fats. The constituent parts of beans (i.e. aspartic aid, glycine, arginine) are effective against diabetes, and dietary fiber contained in the beans has an important property to maintain insulin sensitivity. Based on these, using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at-eye soybean, which is principal products of the Imsil province, is effective to attenuate and/or prevent the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We divided rats into the non-diabetic and diabetic group, and diabetic group was further subdivided into six experimental groups [DC, diabetic control; DI, diabetes with insulin treatment (4~6 IU/rat); DB, diabetes with black bean;DY, diabetes with yellow soybean; DS, diabetes with rat-eye soybean; DSS, diabetes with vinegar-fermented rat-eye soybean. All bean treatment (1.5 ㎎/1 g body weight).]. Food efficiency ratio (FER), body weight and insulin sensitivity in diabetic ra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ose in normal control animals. These reductions were obviously attenuated by administration of a variety of beans used in this study (20~30%), and the recovery effects were comparable to the results obtained by insulin treatment.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all beans used may have an essential property to improve and/or attenuate the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in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