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부자유인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

        조홍,박상희,박주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how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differently the importance and hindrance level of following accessibility : ①road factor ②public facilities factor, ③residential facilities factor, ④public transport factor, and ⑤communication fact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6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χ2 test) were conducted. In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a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the whole items was .966 in the importance of accessibility, and .975 in a hindr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road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4.6%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Second, for「public facilities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2.8%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Third, for「residential facilities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0%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8.46%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ourth, for「public transport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0.9%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0.9%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inally, for「communication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1.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89.8%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or the perception of accessibility in the physically disabled, while mean 92.8% of them perceived as important in the whole areas, mean 92.2% perceived them as hindrance. For sex, female(96.1%) perceived more important in five subareas than male(87.8%). For the hindrance factors of accessibility, female(97.41%) perceived more important in five subareas than male(87.8%). 본 연구에서는 ① 도로 요인, ② 공공시설 요인, ③ 주거시설 요인, ④ 대중교통 요인, ⑤ 통신 요인의 접근권의 중요 정도와 저해 정도에 대해서 지체부자유인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본 조사는 지체부자유인 166명을 대상으로 하여 ① 도로 요인, ② 공공시설 요인, ③ 주거시설 요인, ④ 대중교통 요인, ⑤ 통신 요인의 접근권의 중요 정도와 저해 정도에 대해서 빈도분석 및 chi-square분석(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 중 접근권의 중요 정도의 전체항목의 Cronbach′ Alpha 계수는 .966이며, 저해 정도의 전체항목의 Cronbach′ Alpha 계수 .97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권 중 「도로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6%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0%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접근권 중 「공공시설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6%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2.8%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접근권 중 「주거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0%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3.4%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접근권 중 「교통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0.9%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0.9%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접근권 중 「통신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1.6%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89.8%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접근권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영역에서 평균 92.8%가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영역에서 평균 92.2%가 저해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서는 5개 하위영역에서 남성 지체부자유인(87.8%)보다 여성 지체부자유인(96.1%)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동시에 접근권의 저해요인에 대해서 남성 지체부자유인(87.8%)보다 여성 지체부자유인(97.4%)이 더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 레이블링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담론

        조홍,김미경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2 국제문화연구 Vol.15 No.1

        Labelling refers to meaning-building activity of deviating an object by putting a negative tag on a person, action, or event. Labeling in special education is a diagnosis name to select person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and has the advantage of briefly explaining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he administrative aspect. However, it is worried that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ay be perceived as ‘labelling’ or ‘stigma’. This study analyzed a case of ‘intellectual disability’ labelling in AAIDD and the meaning of disability labelling written in ‘World(世界)’, Japanese magazine, ‘Pinocchio’, a novel for children, and ‘Unmanned Police’, SF novel. For the case of ‘intellectual disability’ labelling in AAIDD, this study examined twelve-time changes of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for 100 years from the first edition of 1912 to the 12th edition of 2021 and the meaning of special education in ‘intellectual disability’ labelling inherent in the other side of changes in the defini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e case of ‘disability’ labelling case in Japan, debate on ‘disability’ labelling of ‘World’ and the meaning of ‘visible discrimination’ and ‘invisible discrimination’ of ‘disability’ labelling inherent in ‘Pinocchio’, a novel for children, and ‘Unmanned Police’, SF novel was analyzed in the view of special education. These two cases suggest that discrimination caused by disability labelling begins with a failure to perceive in our society that does not treat different things differently. It means that the cause for discrimination is not in individual’s ‘disability’ but in all kinds of regulations and cultural limitations. It is because ‘disability’ is not a simple phenomenon that can be viewed accurately and clearly. The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and ‘typicalization’ of disability without sufficient reflection can be unfair and careless behavior.

      • KCI등재

        장애인의 고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성차를 중심으로-

        조홍,전이상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4 No.4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사회생활에서 차별을 받아왔다. 여성 장애인은 남성 장애인보다 더 심각한 차별을 받을 수 있는데, 그들은 여성이고, 또한 신체적인 장애까지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 장애인이 더 심각한 사회적 차별의 대상일 수 있다는 사실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장애인의 문제보다 더 많은 것을 함축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이 여성으로서 직면해야 하는 문제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여성 장애인의 문제는 “이중 차별”로 불린다. 고용과 같은 경제 활동이 될 때, “이중차별문제”는 더욱 명확해진다. 우리 사회에서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 여성 장애인은 적어도 만족스러운 수입을 보장하는 더 많은 고용 기회를 제공받아야 한다. 그러나 그들은 직업을 얻을 때 신체적으로 뿐 아니라 성적으로도 차별을 받아왔다. 그들이 직업을 갖기 어려운 이유는 인적 자본, 문화적 차별, 사회적 차별 같은 요인의 차이에서 발견될 수 있다. 고용의 차별을 해결하기 위해서, 노동 경험의 확장과 자격 증명서, 기술, 직무 훈련이, 문화적 차별과 편견의 해결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부여받는 권리를 위해서 투쟁해야 한다. 그들이 고용의 권리를 보장받기 위해서, 서비스 프로그램의 배치와 함께 사회 정책과 시스템의 개발이 유지되고 획득되어야 한다. The disabled person have been under discrimination in social life compared to normal people. The female disabled person could be under more serious discrimination than the male disabled person in that they are women and have the physical problem with them. The fact that the female disabled person can be objects for more serious social discrimination implies more than the disabled person's problems in the androcentric society, because there are many troubles they have to face as women. In this reason. the problems concerning the female disabled person are called “Double Discrimination”. When it comes to economic activities such as employment, this "Double Discrimination Problem" is distinct. To relieve this problem in our society, they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to ensure at least satisfactory income. But, they have been under discrimination not only physically but sexually in getting a job. The reason why they have difficulty getting employed can be found in the difference of the factors such as Human Capital, Cultural discrimination, and Social discrimination. To settle down the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it is required the expansion of working experienc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skill, and job training with the settlement of Cultur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nd, most of all, they have to struggle for their rights endowed as social members. For them to be guaranteed the right of the employment, the development of social policies and system should be maintained and acquired with the arrangement of service program.

      • KCI등재후보

        뇌병변장애아동의 AAC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조홍,김일명,김정란 한국발달장애학회 2013 발달장애연구 Vol.17 No.2

        This study reviewed 36 domestic theses on ACC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s follows: (1)The types of research, (2)the objectives of research, (3)the subjects of intervention, (4)intervention environment, (5)intervention symbols, (6)intervention instruments, and (7)intervention strateg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type of theses on ACC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was experimental research(88.89%). Second, the most common objective of research on theses on ACC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was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54.05%). Third, the highest subject number of research on theses on ACC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was three(81%). Fourth,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environment of research on theses on ACC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was special school(50%). Fifth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symbol of research on theses on ACC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was a graphic symbol(59.37%). Sixth, the most highest intervention instrument of research on theses on ACC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was VOCA(Voice of Communication Aid)(28.12%). Finally, for the intervention strategy of research on theses on ACC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the highest number of treatment session was 11~20(59.38%) and the highest intervention activity was play and routine activity(25.00%). The highest intervention strategy of research on theses on ACC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was direct instruction(29.79%).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장애아동의 AAC를 주제로 한 36편의 국내 학위논문을 (1) 연구유형, (2) 연구목적, (3) 중재대상, (4) 중재환경, (5) 중재상징, (6) 중재도구, (7) 중재전략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병변장애아동의 AAC 학위논문의 연구유형은 실험연구가 88.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뇌병변장애아동의 AAC 학위논문의 연구목적은 의사소통기능향상이 5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뇌병변장애아동의 AAC 학위논문의 중재대상 수는 3명인 연구가 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뇌병변장애아동의 AAC 학위논문의 중재환경은 특수학교가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뇌병변장애아동의 AAC 학위논문의 중재상징은 그림상징이 59.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뇌병변장애아동의 AAC 학위논문의 중재도구는 음성출력도구(VOCA)가 28.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뇌병변장애아동의 AAC 학위논문의 중재전략은 실험처치의 경우 11∼20회기가 59.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재활동은 놀이활동, 자연스런 일과가 2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뇌병변장애아동의 AAC 학위논문의 중재전략은 직접교수가 29.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의 개념에 관한 고찰 : 관련 법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홍,이미정 한국발달장애학회 2012 발달장애연구 Vol.16 No.3

        지난 5월 30일 발의된 「발달장애인 지원 및 권리보장에 관한 법률안」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는 발달장애에 대한 용어가 장애인관련 단체 등 현장과 교육분야, 복지분야 등 각 분야에 따른 차이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발달장애인지원법」등의 타법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 지원 및 권리보장에 관한 법률안」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특수교육 대상자와「장애인복지법」상의 장애개념 관련 용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연령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향후 혼란이 예상된다. 따라서 학제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분야별법과의 상호연계성 확보를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법률간 조정과 기관과 연계의 근거를 제시하는 법률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일본의 「장애인기본법」처럼 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각 분야별로 법률이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학제간 공동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 또한, 법률적, 의료적 현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내외 발달장애의 개념을 비교분석한 결과, 발달장애는 뇌기능 결함과 관련된 장애로, 중증의 만성적인 장애가 있으며, 유아기 아동도 그 대상에 포함되어야 점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