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부자유인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

        조홍중,박상희,박주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how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differently the importance and hindrance level of following accessibility : ①road factor ②public facilities factor, ③residential facilities factor, ④public transport factor, and ⑤communication fact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6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χ2 test) were conducted. In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a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the whole items was .966 in the importance of accessibility, and .975 in a hindr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road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4.6%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Second, for「public facilities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2.8%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Third, for「residential facilities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0%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8.46%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ourth, for「public transport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0.9%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0.9%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inally, for「communication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1.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89.8%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or the perception of accessibility in the physically disabled, while mean 92.8% of them perceived as important in the whole areas, mean 92.2% perceived them as hindrance. For sex, female(96.1%) perceived more important in five subareas than male(87.8%). For the hindrance factors of accessibility, female(97.41%) perceived more important in five subareas than male(87.8%). 본 연구에서는 ① 도로 요인, ② 공공시설 요인, ③ 주거시설 요인, ④ 대중교통 요인, ⑤ 통신 요인의 접근권의 중요 정도와 저해 정도에 대해서 지체부자유인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본 조사는 지체부자유인 166명을 대상으로 하여 ① 도로 요인, ② 공공시설 요인, ③ 주거시설 요인, ④ 대중교통 요인, ⑤ 통신 요인의 접근권의 중요 정도와 저해 정도에 대해서 빈도분석 및 chi-square분석(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 중 접근권의 중요 정도의 전체항목의 Cronbach′ Alpha 계수는 .966이며, 저해 정도의 전체항목의 Cronbach′ Alpha 계수 .97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권 중 「도로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6%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0%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접근권 중 「공공시설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6%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2.8%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접근권 중 「주거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0%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3.4%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접근권 중 「교통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0.9%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0.9%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접근권 중 「통신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1.6%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89.8%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접근권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영역에서 평균 92.8%가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영역에서 평균 92.2%가 저해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서는 5개 하위영역에서 남성 지체부자유인(87.8%)보다 여성 지체부자유인(96.1%)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동시에 접근권의 저해요인에 대해서 남성 지체부자유인(87.8%)보다 여성 지체부자유인(97.4%)이 더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체장애 학교의 학교교육계획에 나타난 지체장애 교육 실태

        조홍중,방그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1 No.3

        「School education plan」becomes the standard for daily educational activity or the specific basis to perform educational activity and has the functions to propose, structure, and assess the direction of education activity.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of physical disabilities revealed in the「school education plan」of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The analysis subjects of this study were「school education plan」of 10 physical disabilities schools meeting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requirements of subject school were 1)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defined as physical disabilities, 2) to teach children with brain lesion, 3) to be selected equally all over the country not to incline toward a specific region, and 4) to accede to a request of「school education plan」. The results of actual state of education of physical disabilities revealed in the「school education plan」of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school education goals, ① the position of school education goals was established in the form of specific goal in the subarea of education goals. ② School education goals were mainly expressed as a one-line simple sentence, whereas specific goals was done as a clause-type simple sentence. ③ The contents of school education goals such as health, rehabilitation, and independence were reflected in「education goals」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school of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④ Instructions were established in association with basic goals rather than specific ones. The structure and form of school education goals varied with school. Second, regarding the system of school education plan, ① four schools used the name of 「school education plan of this school」. ② The system of school education plan consisted of min. 7 areas to max. 10 areas. ③ The nature of school catalog was the reduction or appendix of school education plan. Third, regarding the actual state of students' disabilities, ① the number of students to a teacher was 3.64: there was mean 155 students and mean 43 teachers in one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② For the number of students by disability, the highest percentage was found in brain lesion disability(82.9%). Finally, regarding the assesment of school administration, ① 9 of a total of 10 physical disability schools suggested the area of school administration assessment, while one school had no such area in「school education plan」or school catalog. ② Assessment items ranged from min. 37 to max. 142. 「학교교육계획」은 각 교사가 일상적인 교육활동을 하는 기준이 되거나 교육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구체적인 근거가 되며 교육활동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구조화하며, 평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 학교의 「학교교육계획」에 나타난 지체장애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전국 지체장애 학교 중 다음 조건을 충족한 대상학교의「학교교육계획」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학교의 충족조건은 첫째, 지체장애 교육기관으로 명기된 지체장애 학교일 것, 둘째, 뇌병변 아동이 주 대상일 것, 셋째, 특정 지역에 치우치지 않도록 전국적으로 균등하게 선정할 것, 넷째,「학교교육계획」의 혜증(惠贈)을 수락한 학교로 총 10개 학교가 선정되었다. 지체장애 학교의 「학교교육계획」에 나타난 지체장애 교육의 실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의 목표는 ① 학교교육목표의 위치설정은 교육목표에 대한 하위영역으로 구체목표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② 학교교육목표의 표현형식은 교육목표의 진술의 경우, 1행의 단문형 문장 형식을 주로 취하고 있는 반면, 구체목표의 진술의 경우는 주로 조목형의 단문 형식을 취하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③ 학교교육목표의 내용은 지체장애 학교라는 특수학교의 특성을 반영하여 건강이나 재활, 자립에 관한 내용이 교육목표에 반영되고 있었다. ④ 교훈의 설정은 구체목적 보다는 기본목적과 관련되어 있었다. 둘째, 「학교교육계획」의 체제는 ①「학교교육계획」의 명칭 4개 학교에서「본교 교육계획」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었다. ②「학교교육계획」의 체제는 최소 7개영역에서 최고 10개영역으로 구성되었다. ③ 학교요람의 성격은 학교교육 계획의 축소판이나「학교교육계획」의 부록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의 장애 실태는 ①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3.64대 1명으로 지체장애 학교에는 평균 155명이 학생 재학하고 있으며, 교사 수는 평균 43명이 재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장애별 학생수는 뇌병변장애가 82.9% 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경영 평가는 ① 총10개 지체장애 학교 중 9개 학교에 학교경영 평가 영역이 제시되어 있으나 1개 지체장애 학교에는 「학교교육계획」이나 학교요람에 평가영역이 제시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평가항목은 최소 37항목에서 최대 142항목까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조홍중,최은영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5 놀이치료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ly basic materials of integrated education by examining teachers' attitudes to integrated educa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4 teachers, who did not studying special education and worked in Y City of Jeonnam, and their attitudes to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were examined.This study used a scale for integra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Basic attitude to integrated education」, 「recogni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advantage of integrated education」,「disadvantage of integrated education」, and「system and equipment necessary to integrated education」. A total of 91 items of these five subareas were used to examine teachers' attitudes. The Cronbach α coefficient of this scale was more than 0.883.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recogni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only 28.0% of teachers thought positively. The positiveness in five subareas is as follows. Recogni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41.7%) was the most positive, followed by 「Basic attitude to integrated education」(33.7%), 「disadvantage of integrated education」(26.9%), 「advantage of integrated education」(20.5%), and「system and equipment necessary to integrated education」(16.3%). For the positiveness by teacher's sex, there was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system and equipment necessary to integrated education」. In other words, female teachers(12.2%) were more positive than male teachers(23.0%). 본 연구에서는 일반교사의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통합교육의 경험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본 조사에서는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는 Y시 일반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으며, 사용한 척도는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에 대한 척도이며,「통합교육에 대한 기본태도」,「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인식」,「통합교육의 장점」,「통합교육의 단점」,「통합교육에 필요한 시스템 및 설비」의 5개 하위영역 총91문항에 대해서 일반교사의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에 대한 태도를 검토하였다. 이 척도의 Cronbach α계수는 .883이상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은 전체교사의 28.0%만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5개의 하위영역별 긍정도의 순서를 보면「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인식(41.7%)」이 5개 영역 중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통합교육에 대한 기본태도(33.7%)」,「통합교육의 단점(26.9%)」,「통합교육의 장점(20.5%)」 순으로, 5개영역 중「통합교육에 필요한 시스템 및 설비(16.3%)」가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교사의 성별에 따른 긍정도를 비교해 보면 「통합교육에 필요한 시스템 및 설비」에서 가장 큰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교사(12.2%)에 비해 남교사(23.0%)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조홍중,강정화 한국통합교육학회 2006 통합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ly basic materials of integrated education by examining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9 students, who did not studying special education in G City and their attitud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were examined. This study used a scale for integra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basic attitude toward integrated education」, 「recogni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advantage of integrated education」, 「disadvantage of integrated education」, and「system and equipment necessary to integrated education」. A total of 91 items of these five sub-areas were used to examine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integra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The Cronbach α coefficient of this scale was more than 0.88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recogni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only 36.2% of college students was positive in integrated educa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The order of positiveness in five sub-areas was as follows: 「System and equipment necessary to integrated education」(47.7%), 「advantage of integrated education」(41.6%), 「basic attitude to integrated education」 (36.5%), 「disadvantage of integrated education」(30.2%),「recogni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24.1%). For the characteristics of positiveness of five areas, 「system and equipment necessary to integrated education」was most positive, while 「recogni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was most negative. For the positivenes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contact with the handicapped, contactors(27.5%) were more positive than non-contactors(8.7%) in all areas. For the difference of positiveness according to contact, 「system and equipment necessary to integrated education」was found biggest. In other words, contactor(37.6%) was more positive than non-contactor(10.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통합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조사에서는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는 G시 대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하는 척도는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에 대한 척도의 즉,「통합교육에 대한 기본태도」,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인식」, 「통합교육의 장점」,「통합교육의 단점」, 「통합교육에 필요한 시스템 및 설비」의 5개 하위영역 총91문항에 대해서 대학생의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에 대한 태도를 검토하였다. 이 척도의 Cronbach α계수는 0.883이상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은 전체 대학생의 36.2%만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5개의 하위영역별 긍정도의 순서를 보면 「통합교육에 필요한 시스템 및 설비(47.7%)」「통합교육의 장점(41.6%)」「통합교육에 대한 기본태도(36.5%)」「통합교육의 단점(30.2%)」「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인식(24.1%)」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5개 영역에 대한 긍정도의 특징을 보면 5개영역 중「통합교육에 필요한 시스템 및 설비(47.7%)」 영역이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인식(24.1%)」영역이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지체부자유학생과의 접촉유무에 따른 긍정도를 비교해 보면 전 영역에서 접촉 경험자(27.5%)가 미경험자(8.7%)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5개 영역 중 접촉유무에 따른 긍정도의 차이는「통합교육에 필요한 시스템 및 설비」영역에서 가장 큰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접촉 경험자(37.6%)가 미경험자 (10.1%)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자폐아동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에 대한 인식조사

        조홍중,강수균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3 동서정신과학 Vol.6 No.1

        자폐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의 적용에 대한 연구는 특수교육 분야에 있어서 비교적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중증자폐아동은 조음 그 자체보다는 화용론적인 면의 곤란이 더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중증자폐아동의 경우에는 단순히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를 적용함으로써 의사소통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사용방법과 더불어 의사소통의 기본원리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조사에서는 의사소통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중증자폐아동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학교 교사가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지식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실제로 현장에서 어느정도 활용하고 있는가, 그리고 중증자폐아동의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에 있어서 저해요인은 무엇인가 등을 검토함으로써 특수학교교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for the children with autism has increased comparatively lately in a special education field. In particular, the difficulty in pragmatics of children with severe autism become an issue rather than their articulation itself. Thus children with severe autism may not solve their communication problem by simply applying AAC. In addition to using ACC, their research should presuppose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principle of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materials for training special school teachers by examining how much knowledge of ACC special school teachers, who teach children with severe autism, especially a communication problem, have, their practical use in the field, and what is hindrance factors in applying children with severe autism to ACC.

      • KCI등재

        ‘장애’ 레이블링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담론

        조홍중,김미경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2 국제문화연구 Vol.15 No.1

        Labelling refers to meaning-building activity of deviating an object by putting a negative tag on a person, action, or event. Labeling in special education is a diagnosis name to select person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and has the advantage of briefly explaining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he administrative aspect. However, it is worried that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ay be perceived as ‘labelling’ or ‘stigma’. This study analyzed a case of ‘intellectual disability’ labelling in AAIDD and the meaning of disability labelling written in ‘World(世界)’, Japanese magazine, ‘Pinocchio’, a novel for children, and ‘Unmanned Police’, SF novel. For the case of ‘intellectual disability’ labelling in AAIDD, this study examined twelve-time changes of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for 100 years from the first edition of 1912 to the 12th edition of 2021 and the meaning of special education in ‘intellectual disability’ labelling inherent in the other side of changes in the defini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e case of ‘disability’ labelling case in Japan, debate on ‘disability’ labelling of ‘World’ and the meaning of ‘visible discrimination’ and ‘invisible discrimination’ of ‘disability’ labelling inherent in ‘Pinocchio’, a novel for children, and ‘Unmanned Police’, SF novel was analyzed in the view of special education. These two cases suggest that discrimination caused by disability labelling begins with a failure to perceive in our society that does not treat different things differently. It means that the cause for discrimination is not in individual’s ‘disability’ but in all kinds of regulations and cultural limitations. It is because ‘disability’ is not a simple phenomenon that can be viewed accurately and clearly. The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and ‘typicalization’ of disability without sufficient reflection can be unfair and careless behavior.

      • KCI등재

        장애인의 고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성차를 중심으로-

        조홍중,전이상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4 No.4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사회생활에서 차별을 받아왔다. 여성 장애인은 남성 장애인보다 더 심각한 차별을 받을 수 있는데, 그들은 여성이고, 또한 신체적인 장애까지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 장애인이 더 심각한 사회적 차별의 대상일 수 있다는 사실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장애인의 문제보다 더 많은 것을 함축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이 여성으로서 직면해야 하는 문제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여성 장애인의 문제는 “이중 차별”로 불린다. 고용과 같은 경제 활동이 될 때, “이중차별문제”는 더욱 명확해진다. 우리 사회에서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 여성 장애인은 적어도 만족스러운 수입을 보장하는 더 많은 고용 기회를 제공받아야 한다. 그러나 그들은 직업을 얻을 때 신체적으로 뿐 아니라 성적으로도 차별을 받아왔다. 그들이 직업을 갖기 어려운 이유는 인적 자본, 문화적 차별, 사회적 차별 같은 요인의 차이에서 발견될 수 있다. 고용의 차별을 해결하기 위해서, 노동 경험의 확장과 자격 증명서, 기술, 직무 훈련이, 문화적 차별과 편견의 해결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부여받는 권리를 위해서 투쟁해야 한다. 그들이 고용의 권리를 보장받기 위해서, 서비스 프로그램의 배치와 함께 사회 정책과 시스템의 개발이 유지되고 획득되어야 한다. The disabled person have been under discrimination in social life compared to normal people. The female disabled person could be under more serious discrimination than the male disabled person in that they are women and have the physical problem with them. The fact that the female disabled person can be objects for more serious social discrimination implies more than the disabled person's problems in the androcentric society, because there are many troubles they have to face as women. In this reason. the problems concerning the female disabled person are called “Double Discrimination”. When it comes to economic activities such as employment, this "Double Discrimination Problem" is distinct. To relieve this problem in our society, they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to ensure at least satisfactory income. But, they have been under discrimination not only physically but sexually in getting a job. The reason why they have difficulty getting employed can be found in the difference of the factors such as Human Capital, Cultural discrimination, and Social discrimination. To settle down the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it is required the expansion of working experienc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skill, and job training with the settlement of Cultur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nd, most of all, they have to struggle for their rights endowed as social members. For them to be guaranteed the right of the employment, the development of social policies and system should be maintained and acquired with the arrangement of servic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